'지방소멸'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142) 선택됨
- 발간물(26)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110) 선택안됨
- 국토교육(1)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2) 선택안됨
- 콘텐츠(0) 선택안됨
- 첨부파일(3) 선택안됨
- 직원검색(0) 선택안됨
발간물 (26)
더보기발간물 > 연구보고서
접경지역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기본 24-21
저자 이성수, 오호영, 박태선, 임용호, 김범수, 김상규, 황희정
발행일 2024-12-31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
[용어풀이 318] 지방소멸, 이주민의 지역정착
통권521호 (2025. 3.)
저자 조은주
발행일 2025-03-10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정책 Brief
[국토정책Brief 제998호]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 산업구조 전환 전략
등록일 2025-01-22
발간물 > 단행본
[국가균형발전시리즈7] 지방소멸론의 함정
저자 야마시타 유스케 지음, 김진범 감수, 변경화 번역, 이동우 감역, 국토연구원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펴냄
발행일 2023-12-29
발간물 > 세미나/공청회자료
[국가균형발전정책 세미나 주제발표 2] 지방소멸 위기에 대한 국가적 대응전략
저자 구형수
연구원소식 (110)
더보기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시론] 중앙 의존적인 지방소멸대응기금
등록일 2025-09-09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인구감소시대의 콤팩트-네트워크 공간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과 활용방안
"인구감소시대의 콤팩트-네트워크 공간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과 활용방안" 국토硏, 국토정책Brief 제1029호 □ 인구감소의 속도만큼 어디에서 얼마나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지, 행정 단위의 총량적 변화뿐만아니라 공간구조(중심지-주변부, 생활권) 차원에서 인구감소의 규모와 패턴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 국토연구원(원장직무대행 김명수)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 임은선 선임연구위원과 연구진은 국토정책 Brief 제1029호 “임구감소시대의 콤팩트-네트워크 공간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과 활용방안”을 발간하고 정책을 제안하였다. ◦ 콤팩트-네트워크 공간전략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1km2 격자 단위로 장래인구분포의 변화를 추정하고 시범적으로 KPI(공간구조 효율성, 생활서비스 형평성 등)를 개발하여 적용함 □ 임은선 선임연구위원 과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 국정과제 관련 지역개발, 지방소멸대응 사업의 계획수립 시 후보지 개발효과를 사전에 시뮬레이션하여 거점개발지, 연계협력 사업대안별 장단점 비교 등 계획수립지원 도구로 활용 ◦ 콤팩트-네트워크형 도시공간구조로 성장관리할 수 있도록 분산적 토지이용의 비효율을 방지하고, 생활인프라 공유를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할 때 시뮬레이션 모형을 적용 ◦ 지역맞춤형 계획의 목표 및 정책성과지표(KPI) 개발과 성과 모니터링에 활용, 예측가능하고 실험가능한 국토의 미래에 대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주민·이해관계자와의 소통에 활용 ◦‘KRIHS 인터랙티브 리포트(https://interactive.krihs.re.kr/interactive)’와 같은 마이크로 데이터기반 동적 소통플랫폼을 활성화하여 공간정책의 개선효과를 국민들에게 적극 홍보 ◦ 지속가능한 생활권-도시권-광역권-국토 전반의 성장관리 정책지원체계로 활용될 수 있도록 민관협력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활용을 제도화하여 정책실효성을 도모
등록일 2025-09-09
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청주공항~보은~김천 철도’ 중부·내륙 지방 소멸 늦춘다”
등록일 2025-09-02
국토교육 (1)
더보기멀티미디어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