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대전환 시대의 글로벌 흐름 변화와 불확실성 증대

  •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ition): AI·융합기술 기반 산업·도시 구조 전환
  • 그린 전환(Green Transition):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전환 강화
  • 사회 전환(Social Transition): 인구감소, 개인·집단 가치의 변화 대응 필요
  • 이러한 변화는 국제관계·교류·경제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국토 공간구조의 재편을 요구

국내 여건 변화 가속과 국토·지역 위기 증대

  • 비수도권 GRDP 비중: 1985년 56.3% → 2023년 47.7%
  • 비수도권 청년세대 비중: 2000년 50.9% → 2020년 46.2%
  • 비수도권 혁신산업 일자리 비중: 2002년 40.6% → 2022년 36.6%
  • 저성장·불균형 심화·청년인구 이탈로 인한 국토 균형발전 체계 위기로 「국토 이용방식」 전환 필요

지속가능한 국가발전을 위한 새로운 국토경영 플랫폼 요구 증대

  • 인구감소, 경제 저성장 등 위기 타계를 위하여 각 지역의 고유한 경쟁력을 최대로 끌어 올리면서 상호 보완을 통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역주도 메가시티 구성 논의 및 노력 진행 중
  • 분권과 지방자치 업그레이드로 지방행정체계 변화
  • 국토정책 거버넌스에 영향
  • 이러한 변화는 국제관계·교류·경제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국토 공간구조의 재편을 요구

  • 충청권, 충청광역연합 출범(2024.12.18)
  • 부울경, 부울경 특별연합 구성 노력(2018~2022)
  • 광주·전남권,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공동선언(2024.7.4)
  • 대구·경북권,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공동 합의문 발표(2024.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