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방형 통합국토축 형성
|
-
동북아를 겨냥한 국제적 생산 및 교류기반 구축
-
신산업 육성을 위한 서해안과 남해안으로 이어지는 신(新)산업지대망을 구축
-
산업도시 간 연계강화, 국제공항, 항만, 고속도로 등의 기반시설을 개발하며, 배후도시를 연계, 복합적으로 개발
-
신개방 전략거점으로서 무관세 자유항(自由港) 지역 육성 및 외국인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국제경제기반 조성
-
10대 광역권 개발. 수도권에 대응하는 지역균형개발의 핵심거점 및 지방의 세계화 전진기지로 육성
|
|
지역별 경쟁력의 고도화
|
-
수도기능의 지방분산 추진, 수도권내 분산과 계획적 정비, 수도권의 국제기능 강화와 세계도시로의 발전기반 구축
-
지방대도시를 「산업별 수도」로 육성
-
중소도시를 전문기능도시로 특화·육성
-
농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수출산업화 유도
-
농촌의 지역경제기능 다원화와 복합산업공간화 추진
-
낙후지역의 자연경관, 역사·문화자원을 「신자원」으로 활용·육성
-
농산어촌 정주여건 개선을 통한 주민복지증진
-
지역특성에 따른 다양한 문화·관광권의 개발(7대 문화관광권)
|
|
건강하고 쾌적한 국토환경 조성
|
-
환경친화적 개발을 위한 제도적 장치 강화와 환경-개발 통합관리
-
국토생태통합네트워크 기반 생태계 보전과 복원
-
토지이용의 계획화, 공공성 강화
-
지가안정과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는 주거정책, 2020년까지 770만호 주택보급 등
|
|
고속 교통·정보망의 구축
|
-
전국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는 종합기간교통망 형성
-
동북아 관문역할 수행을 위한 국제교통인프라 확보 : 인천공항, 부산항, 광양항 등
-
인간존중·환경중시의 교통체계 구축
-
투자효율성 제고를 위한 비용절감형 교통체계 확립
-
지능화된 디지털 국토의 조성
|
|
남북한 교류협력기반 조성
|
-
남북한 교류협력거점 및 사업의 적극 발굴
-
남북 연계 교통망의 복원 추진
-
남북교류협력 추진체계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