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립배경과 현안
- 제 2차 계획의 핵심 수단이었던 “「성장거점도시개발촉진법」” 제정 실패로 수도권 인구집중 가속
- 1988 서울올림픽 유치에 따른 국토기반시설의 대대적 개선과 경제발전에 부응하는 국토전략 필요
| 시기 | 과정 |
|---|---|
| 1985년 3월 | 건설부가 국토개발연구원에 계획 수정 및 5년 단위 연동화 방안 연구 의뢰 |
| 1985년 7월 | 제 6차 경제사회 발전계획 지역개발부문위원회가 개최되어 골격안이 작성 |
| 1986년 1월 | 시도별 의견 수렴 |
| 1986년 8월 | 전문가 자문을 통한 초안 완성 |
| 1986년 12월 8일 | 국토건설종합계획심의회 심의 |
| 1986년 12월 26일 | 국무회의 의결 |
| 1986년 12월 31일 | 대통령 재가 |
| 1987년 1월 19일 | 계획의 공고(대통령 공고 제92호) |
이념
국토공간의
국민생활의
국토이용의
국토개발의 기본목표
* 주 : 다음 자료에서 재구성한 비전을 발췌
국토연구원, 2022, 국토종합계획 50년-함께 일궈온 50년, 모두 누리는 100년, 122-123
| 계획의 구성 | 체계 |
|---|---|
|
제1편 계획의 배경과 기본목표 |
|
| 제2편 국토공간구조의 개편 |
|
| 제3편 자원개발과 환경보전 |
|
| 제4편 국민생활환경의 정비 |
|
| 제5편 국토개발기반의 확충 |
|
| 제6편 국토의 이용과 관리 |
|
계획의 전략
| 부문 | 주요 계획 과제 |
|---|---|
| 국토공간구조의 개편 |
|
| 자연개발과 환경보전 |
|
| 국민생활환경의 정비 |
|
| 국토개발기반의 확충 |
|
| 공간구획 구분 | 위치 | |
|---|---|---|
| 수도권 | 정비에 초점을 맞추고, 국제적·중추적 기능을 제외한 부분의 이전 추진 | |
| 지역경제권 | 중부권 |
|
| 동남권 |
|
|
| 서남권 |
|
|
| 특정권역 | 제주도 | 국민관광을 기반으로 한 국제관광개발 |
| 다도해 | 도서격절성(섬의 고립·단절 문제) 해소 및 주민복지 수준 제고 | |
| 88 올림픽 고속도로주변 | 산간오지 지역개발 및 주민소득 증대 | |
| 태백산 | 광산지대 생활환경 개선을 비롯한 도시기반시설 및 사회복지시설 확대 | |
| 목표 | 집행성과 |
|---|---|
| 인구의 지방정책 유도 |
|
| 개발가능성의 전국적 확대 |
|
| 국민복지수준의 제고 |
|
| 국토자연환경의 보전 |
|
본질적으로 3차 계획때의 평가이기 때문에, 2차 계획의 성과와 크게 다르지 않음
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정계획(1987-1991) 원문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