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기 | 과정 |
|---|---|
| 1978년 |
국토계획 수립 전문 기관으로 “국토개발연구원(현 국토연구원)”의 설립(1978)
|
| 1980년 | “국토개발장기구상 연구”와 각 부처 의견 수렴(건설부 및 국토개발연구원) |
| 1981년 | 국토개발연구원의 자체 연구 “제 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안)”을 시작 |
| 1981년 1월 | 계획 골격안 건설부 장관 보고 |
| 1981년 12월 16일 | 계획안 국토건설종합계획심의회 심의 |
| 1981년 12월 22일 | 국무회의 의결 |
| 1981년 12월 24일 | 대통령 재가 |
| 1981년 12월 31일 | 계획의 공고(대통령 공고 제80호) |
이념과 전제
국토개발의 기본목표
* 주 : 다음 자료에서 재구성한 비전을 발췌
국토연구원, 2022, 국토종합계획 50년-함께 일궈온 50년, 모두 누리는 100년, 122-123
1편에는 계획의 개요가, 6편에는 계획의 관리가, 2~5편은 계획의 4대 목표별 세부 추진계획이 담겨 있음
| 계획의 구성 | 체계 |
|---|---|
|
제1편 계획의 배경과 기본목표 |
|
| 제2편 인구정착기반의 조성 |
|
| 제3편 자원개발과 환경보전 |
|
| 제4편 국민생활환경의 정비 |
|
| 제5편 국토개발기반의 확충 |
|
| 제6편 국토의 이용과 관리 |
|
계획의 전략
| 부문 | 주요 계획 과제 |
|---|---|
| 인구정착기반의 조성 |
|
| 자연개발과 환경보전 |
|
| 국민생활환경의 정비 |
|
| 국토개발기반의 확충 |
|
| 권역 | 주요 계획 과제 |
|---|---|
| 대도시생활권 |
|
| 지방도시생활권 |
|
| 농촌생활권 |
|
| 목표 | 집행성과 |
|---|---|
| 인구의 지방정책 유도 |
|
| 개발가능성의 전국적 확대 |
|
| 국민복지수준의 제고 |
|
| 국토자연환경의 보전 |
|
2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82-1991) 원문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