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탄소중립사회 정책지원을 위한 탄소통계지도 구축방향과 추진과제

탄소중립사회 정책지원을 위한 탄소통계지도 구축방향과 추진과제

탄소중립사회 정책지원을 위한 탄소통계지도 구축방향과 추진과제

 

임은선 선임연구위원, 손재선 부연구위원, 정예진 연구원,  박종순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장,  윤은주 부연구위원, 박종화 부연구위원



1> 탄소의 배출, 흡수와 관련된 사회현상과 자연환경에 대한 위치, 분포, 관계를 시공간 차원으로 나타내는 탄소현황지도를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연계하여 소지역단위의 공간통계지도로 구축하면 탄소중립 정책지원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2> 탄소통계지도 구축방향

    탄소중립사회의 의사결정과 문제해결 수요를 중심으로 탄소인벤토리의 시공간화를 지향

   ② 마을-도시-국토 차원의 탄소통계지도를 구축 및 융합할 수 있도록 다층적 표준모델 개발

   ③ 지역사회의 탄소중립도 및 지속가능성 변화를 시뮬레이션하도록 활용성 위주로 구축 


3> 탄소중립사회 의사결정도구로 탄소통계지도를 구축·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 개방, 탄소배출/흡수 원단위 개발 확장, 탄소인벤토리의 시공간 플랫폼 개발, 탄소중립 정책과 활동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 



정책방안


  ① 마을, 도시, 광역 등 공간 위계별로 탄소배출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및 실천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도록 상세한 공간단위로 탄소통계지도 표준모델 개발


  ② 시공간 통합모델을 적용한 탄소통계지도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단계적 로드맵 마련

      (1단계) 지자체 대상 탄소배출/흡수 현황지도 구축을 위한 시공간 표준모델 개발

      (2단계) 지자체 탄소감축목표 설정 및 시나리오 작성이 가능한 탄소통계지도 플랫폼 구축

      (3단계) 탄소중립 영향평가 및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및 확산

 

  ③ 국토 및 지역계획, 도시 및 마을계획이 탄소중립의 관점에서 수립-시행-평가될 수 있도록 탄소중립 이행도를 점검하는 탄소통계지도 기반 공간모니터링 지표를 개발하고 활용방법 교육 및 확산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국토정책Brief 894호.pdf (9.77MB / 다운로드:1,092) 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