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사회 정책지원을 위한 탄소통계지도 구축방향과 추진과제
임은선 선임연구위원, 손재선 부연구위원, 정예진 연구원, 박종순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장, 윤은주 부연구위원, 박종화 부연구위원
1> 탄소의 배출, 흡수와 관련된 사회현상과 자연환경에 대한 위치, 분포, 관계를 시공간 차원으로 나타내는 탄소현황지도를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연계하여 소지역단위의 공간통계지도로 구축하면 탄소중립 정책지원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2> 탄소통계지도 구축방향
① 탄소중립사회의 의사결정과 문제해결 수요를 중심으로 탄소인벤토리의 시공간화를 지향
② 마을-도시-국토 차원의 탄소통계지도를 구축 및 융합할 수 있도록 다층적 표준모델 개발
③ 지역사회의 탄소중립도 및 지속가능성 변화를 시뮬레이션하도록 활용성 위주로 구축
3> 탄소중립사회 의사결정도구로 탄소통계지도를 구축·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 개방, 탄소배출/흡수 원단위 개발 확장, 탄소인벤토리의 시공간 플랫폼 개발, 탄소중립 정책과 활동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
정책방안 |
① 마을, 도시, 광역 등 공간 위계별로 탄소배출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및 실천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도록 상세한 공간단위로 탄소통계지도 표준모델 개발 ② 시공간 통합모델을 적용한 탄소통계지도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단계적 로드맵 마련 (1단계) 지자체 대상 탄소배출/흡수 현황지도 구축을 위한 시공간 표준모델 개발 (2단계) 지자체 탄소감축목표 설정 및 시나리오 작성이 가능한 탄소통계지도 플랫폼 구축 (3단계) 탄소중립 영향평가 및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및 확산
③ 국토 및 지역계획, 도시 및 마을계획이 탄소중립의 관점에서 수립-시행-평가될 수 있도록 탄소중립 이행도를 점검하는 탄소통계지도 기반 공간모니터링 지표를 개발하고 활용방법 교육 및 확산 |
- 국토정책Brief 894호.pdf (9.77MB / 다운로드:1,092)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