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383) 선택됨
- 발간물(169)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211) 선택안됨
- 국토교육(2)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0) 선택안됨
- 콘텐츠(1) 선택안됨
- 첨부파일(0) 선택안됨
- 직원검색(0) 선택안됨
발간물 (169)
더보기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연구
수치지도상의 공동주택위치 표현방법이 헤도닉 함수추정에 미치는 영향
통권38호(2003년 9월)
저자 손 철
발행일 2003-09-01
발간물 > 부동산소비심리
2025년 7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2025년 7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2018년 12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부터 세종과 제주를 포함하여 공표 ●‘25. 7월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3.7 전월(112.1)대비 8.4p 하락 -‘25. 7월 수도권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104.7로 전월(119.4)대비 14.7p 상승 ●‘25. 7월 전국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6.0로 전월(115.0) 대비 9.0p 하락 -‘25. 7월 수도권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6.8로 전월(122.5) 대비 15.7p 하락 *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0~200의 값으로 표현되며, 이 값에 따라 9개 등급(상승국면 1~3단계, 보합국면 1~3단계, 하강국면 1~3단계)으로 소비심리지수의 수준을 구분하고 상황을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지도상에 표현하고 있습니다. * 수도권 지도는 서울 등 지역별 색상 표현을 위해 작성된 지도로 실제 지도와 지역의 모양,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통계청 KOSIS 홈페이지에서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 ‘국내통계>기관별통계>연구기관>국토연구원>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조사’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kremap.krihs.re.kr)에서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 구독이 가능합니다.
등록일 2025-08-18
연구원소식 (211)
더보기연구원소식 > 입찰공고
「노후 저층 주거지 DB 및 관리시스템 구축 -소규모 정비 사전타당성 조사지원 플랫폼 감리용역-」 위탁용역 입찰 공고
「노후 저층 주거지 DB 및 관리시스템 구축 -소규모 정비 사전타당성 조사지원 플랫폼 감리용역-」 위탁용역 입찰 공고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는 다음과 같이「노후 저층 주거지 DB 및 관리시스템 구축 -소규모 정비 사전타당성 조사지원 플랫폼 감리용역-」위탁용역을 시행하고자 합니다. 참여하고자 하는 업체는 다음의 사항을 참조하시어 제안서를 제출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다 음 - 1. 과업 개요 가. 계 약 명 : 노후 저층 주거지 DB 및 관리시스템 구축 -소규모 정비 사전타당성 조사지원 플랫폼 감리용역- 나. 계약기간 : 계약일부터 2025.12.24. 다. 용역설계금액 : 일금칠천사백만원정(74,000,000원, 부가가치세 포함) 라. 참가자격 : 제안요청서 참고 마. 계약업체 선정기준 - 협상에 의한 계약 (국토연구원의 「위탁연구사업규칙」 제3조 제2항 제4호를 적용하여 심사위원회 를 구성, 제안서를 평가하여 85점 이상인 자를 대상으로 제안서 점수와 입찰가격점수를 합산하여 고득점 순으로 가격협상 실시) 2. 제안서 및 관련서류 제출안내 가. 제안서 제출 - 제출기한 : 2025.9.22.(월) 17시까지 방문 접수 - 제 출 처 : 세종특별자치시 국책연구원로 5, 국토연구원 5층 도시연구본부 문대희 연구원(☎044-960-0183) 나. 제출서류 ◦ 제안서 8부(업체명 기명 제안서 1부, 업체명 무기명 제안서 7부) ※ 제안요청서 별지 8호 서식 참고 ◦ 제안서 파일 USB 1개 ◦ 가격제안서 (별지 제6호 서식) 1부 ※ 밀봉 날인하여 제출 ◦ 입찰참가신청서(별지 제9호 서식) 1부 ◦ 입찰보증증권 (입찰가격의 100분의 5 이상) 1부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5693호, 2025.8.5 일부개정/ 2025.8.23. 시행) 제37조에 의한 보증서 ◦ 법인인감증명서 및 사용인감계 1부 ※ 인감 지참(제안서 접수 시 입찰참가등록대장에 날인) ◦ 법인등기부등본, 사업자등록증 각 1부 ※ 사본인 경우, 원본대조필 날인 ◦ 위임장 및 재직증명서(대리인 접수 시) 각 1부 ◦ 국세, 지방세, 4대보험 완납증명서 각 1부 ◦ 사업실적증명서 1부 ◦ 경쟁입찰참가자격등록증 1부 (조달청 발행) - 소프트웨어사업자(1468), 정보시스템 감리법인(6146) 업종을 모두 등록 ◦ 중소기업(소상공인) 확인서 1부 ◦ 컨소시엄인 경우 추가제출 서류 : 공동수급표준협정서(별지 제10호), 합의각서(별지 제11호) 각 1부 ※ 공동수급체 구성원도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법인인감증명서 및 사용인감계 등 증빙서류 제출 ※ 컨소시엄 구성원의 경우, 동일과제의 타 컨소시엄에 참여할 수 없음 다. 제안서 및 관련 서류 작성 방법 ◦ 연구원 홈페이지(www.krihs.re.kr)에서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여 제출 ◦ 과업지시서 및 제안요청서를 바탕으로 작성 3. 제출방법 및 유의사항 가. 제출방법 : 제안서는 직접 제출하여야 하며, 우편접수는 불가함 나. 유의사항 및 기타사항 - 제출된 제안서는 일체 반환하지 않으며, 본 제안과 관련된 일체의 소요비용은 제안서 제출자의 부담으로 함 - 제안서의 구성 및 목차는 가능한 한 제안서 작성 지침의 순서 및 목차에 의해 작성하여야 하며, 증빙과 관련된 자료는 별도 첨부하여야 함 - 제안내용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추가자료 요청 또는 현지실사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안서 제출자는 이에 응하여야 함 - 제안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관련 자료는 제안서의 별첨으로 제출하여야 함 - 응용시스템 설계 및 구축은 우리원의 의견과 방식을 토대로 구현하여야 함 - 사업결과에 따른 시스템 및 산출물 소유권은 국토연구원에 있음 - 제안서 작성 시 모호한 표현은 평가가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함 - 선정 결과는 개별 통보하며 평가결과 및 선정사유는 공개하지 않음 4. 향후 일정 가. 접수마감: 2025. 9. 22.(월) 17시까지 방문 접수 나. 제안서 발표 및 평가 : 2025.9월 중 (※ 개별통지) 다. 협상 및 계약 : 2025.9월 중 (※ 개별통지) ※ 상기 일정은 추진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5. 문의처 - 사업문의: 도시연구본부 문대희 연구원 (044) 960-0183, dhmoon@krihs.re.kr - 계약문의: 예산경영팀 금희종 3급행정원 (044) 960-0506, hjkuem@krihs.re.kr 2025년 9월 8일 국토연구원장
등록일 2025-09-08
연구원소식 > 입찰공고
「노후 저층 주거지 DB 및 관리시스템 구축 -소규모 정비 사전타당성 조사지원 플랫폼- 」위탁용역 입찰 공고
「노후 저층 주거지 DB 및 관리시스템 구축 -소규모 정비 사전타당성 조사지원 플랫폼-」 위탁용역 입찰 공고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는 다음과 같이「노후 저층 주거지 DB 및 관리시스템 구축 -소규모 정비 사전타당성 조사지원 플랫폼-」위탁용역을 시행하고자 합니다. 참여하고자 하는 업체는 다음의 사항을 참조하시어 제안서를 제출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다 음 - 1. 과업 개요 가. 계 약 명 : 노후 저층 주거지 DB 및 관리시스템 구축 -소규모 정비 사전타당성 조사지원 플랫폼- 나. 계약기간 : 계약일부터 2025.12.24. 다. 용역설계금액 : 일금오억이천육백만원정(526,000,000원, 부가가치세 포함) 라. 참가자격 : 제안요청서 참고 마. 계약업체 선정기준 - 협상에 의한 계약 (국토연구원의 「위탁연구사업규칙」 제3조 제2항 제4호를 적용하여 심사위원 회 를 구성, 제안서를 평가하여 85점 이상인 자를 대상으로 제안서 점수와 입찰가격점수를 합산 하여 고득점 순으로 가격협상 실시) 2. 제안서 및 관련서류 제출안내 가. 제안서 제출 - 제출기한 : 2025.9.17.(수) 17시까지 방문 접수 - 제 출 처 : 세종특별자치시 국책연구원로 5, 국토연구원 5층 도시연구본부 문대희 연구원 (☎044-960-0183) 나. 제출서류 ◦ 제안서 8부(업체명 기명 제안서 1부, 업체명 무기명 제안서 7부) ※ 제안요청서 별지 8호 서식 참고 ◦ 제안서 파일 USB 1개 ◦ 가격제안서 (별지 제6호 서식) 1부 ※ 밀봉 날인하여 제출 ◦ 입찰참가신청서(별지 제9호 서식) 1부 ◦ 입찰보증증권 (입찰가격의 100분의 5 이상) 1부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5693호, 2025.8.5 일부개정/ 2025.8.23. 시행) 제37조에 의한 보증서 ◦ 법인인감증명서 및 사용인감계 1부 ※ 인감 지참(제안서 접수 시 입찰참가등록대장에 날인) ◦ 법인등기부등본, 사업자등록증 각 1부 ※ 사본인 경우, 원본대조필 날인 ◦ 위임장 및 재직증명서(대리인 접수 시) 각 1부 ◦ 국세, 지방세, 4대보험 완납증명서 각 1부 ◦ 사업실적증명서 1부 ◦ 경쟁입찰참가자격등록증 1부 (조달청 발행) ◦ 중소기업(소상공인) 확인서 1부 ◦ 소프트웨어 사업자 신고확인서 1부 ◦ 컨소시엄인 경우 추가제출 서류 : 공동수급표준협정서(별지 제10호), 합의각서(별지 제11호) 각 1부 ※ 공동수급체 구성원도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법인인감증명서 및 사용인감계 등 증빙서류 제출 ※ 컨소시엄 구성원의 경우, 동일과제의 타 컨소시엄에 참여할 수 없음 다. 제안서 및 관련 서류 작성 방법 ◦ 연구원 홈페이지(www.krihs.re.kr)에서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여 제출 ◦ 과업지시서 및 제안요청서를 바탕으로 작성 3. 제출방법 및 유의사항 가. 제출방법 : 제안서는 직접 제출하여야 하며, 우편접수는 불가함 나. 유의사항 및 기타사항 - 제출된 제안서는 일체 반환하지 않으며, 본 제안과 관련된 일체의 소요비용은 제안서 제출자의 부담으로 함 - 제안서의 구성 및 목차는 가능한 한 제안서 작성 지침의 순서 및 목차에 의해 작성하여야 하며, 증빙과 관련된 자료는 별도 첨부하여야 함 - 제안내용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추가자료 요청 또는 현지실사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안서 제출자는 이에 응하여야 함 - 제안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관련 자료는 제안서의 별첨으로 제출하여야 함 - 응용시스템 설계 및 구축은 우리원의 의견과 방식을 토대로 구현하여야 함 - 사업결과에 따른 시스템 및 산출물 소유권은 국토연구원에 있음 - 제안서 작성 시 모호한 표현은 평가가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함 - 선정 결과는 개별 통보하며 평가결과 및 선정사유는 공개하지 않음 4. 향후 일정 가. 접수마감: 2025. 9. 17.(수) 17시까지 방문 접수 나. 제안서 발표 및 평가 : 2025.9월 중 (※ 개별통지) 다. 협상 및 계약 : 2025.9월 중 (※ 개별통지) ※ 상기 일정은 추진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5. 문의처 - 사업문의: 도시연구본부 문대희 연구원 (044) 960-0183, dhmoon@krihs.re.kr - 계약문의: 예산경영팀 금희종 3급행정원 (044) 960-0506, hjkuem@krihs.re.kr 2025년 9월 3일 국토연구원장
등록일 2025-09-03
연구원소식 > 우수보고서 소개
국유재산 기부 대 양여 사업 관리체계 개선 방안
기부 대 양여 사업은 국가시설 이전 재배치와 도시 공간 재구조화를 연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국방 군사시설과 같은 기피시설의 이전에 적합한 방식으로 주목받아 왔으며, 향후 국유재산 총괄 관리를 위한 정책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김고은 부연구위원이 수행한 「국유재산 기부 대 양여 사업 관리체계 개선 방안」 연구는 국유재산 총괄청의 관점에서 사업의 구조적·제도적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김고은: 그간에 기부 대 양여 사업은 국방부와 지자체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고, 국유재산을 총괄하는 중앙정부 차원의 전략적 관리와 협의 절차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사업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서 국유재산 정책 전반을 고려한 종합적 관리체계가 시급하다고 느꼈다. 특히 국가가 소유한 도심 기피시설 이전과 재산 교환이 동시에 이뤄지는 특수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협의 메커니즘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김고은: 이 연구는 기부 대 양여 사업이 ‘사업 시행’ 중심에서 ‘사업 관리’ 중심으로 전환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금까지 사업타당성 검토가 기부재산과 양여재산의 정량적 등가성에만 국한되어 있었다면, 본 연구는 정성적 가치평가 방식 도입, 협의 절차의 다각화 등 관리체계 전반의 개편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국유재산 종합계획 정책과제, 사업지침 개정안, 심의위원회 운영 방안, 평가 매뉴얼(안) 등 실제 정책 수단으로 구체화되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김고은: 연구기간 동안 기획재정부와의 업무협의, 지자체 실무자 인터뷰도 이루어졌는데, 각 기관이 처한 현실과 고민의 상황이 달랐다. 정부 부처, 지자체 등 사업 주체들마다 사용하는 표현에서도 사업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관점을 느낄 수 있었고, 서로 다른 주체들의 입장에 대해서 직접 실감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KRIHS: 보람을 느꼈던 점과 아쉬움이 있다면? 김고은: 연구 도중 법령·지침·훈령 등을 하나하나 분석하고, 기부 대 양여 사업들의 데이터를 정리해보면서, 기부 대 양여 사업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볼 수 있던 점이 보람 있었다. 한편으로는 사업의 규모가 점차 커져가고 있음에도 여전히 많은 제도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공정책 연구자로서 역할에 무게감을 느꼈던 것 같다. KRIHS: 앞으로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김고은: 기부 대 양여는 단지 시설의 이전 방식이 아니라, 도시공간과 국가재산, 지역개발을 동시에 설계해야 하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제도이다. 향후에는 기피시설 이전과 지역의 활성화에 대한 심도 높은 연구가 추진될 필요가 있겠다. 궁극적으로는 국유재산을 활용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이어가고자 한다. 김고은 부연구위원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2018년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21년도부터 현재까지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국공유지연구센터에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도시계획, 국공유지, TOD 등이다.
등록일 2025-09-01
국토교육 (2)
더보기국토교육 > 국토교육자료 > 지도로 보는 우리국토
[지도로 보는 우리 국토 59] 카토그램으로 보는 2035년 인구 분포 전망
국토 2023년 11월호(통권 505호) 지도로 보는 우리 국토 국토연구원 KRIHS 카토그램으로 보는 2035년 인구 분포 전망 2035년도 전체 인구 대비 수도권 인구의 비중은 49.991%로 예측되어 현 수준의 과밀화된 수도권 중심의 인구 분포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추정 인구수 (명) 인천 1,559588-3205714 고양 894,052-1,559,587 광주 894,052-1,559,587 수원 894,052-1,559,587 용인 894,052-1,559,587 대전 894,052-1,559,587 성남 894,052-1,559,587 울산 894,052-1,559,587 서울 3,205,715-9264,390 대구 1,559588-3205714 부산 1,559588-3205714 창원 894,052-1,559,587 카토그램 특정한 데이터 값의 변화에 따라 지도의 면적이 왜곡되는 그림 특정 통계 수치에 따라 면적을 표현하기 때문에, 만약 어떤 지역의 통계 수치가 크면 실제 면적이 작더라도 지도상에서는 크게 표현되고, 반대로 통계 수치가 작으면 실제 면적이 크다려도 지도심에서는 작게 표현두산백과 따라서 표현하는 주제의 상대적 공간적 분포를 사각적인 연에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 자료: 국가통계포OSS) 인구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 출처: 국토연구원 2020, 미래 인구 및 국토공간구조 전망(2005년) 8 [균형발전 모니터링&이슈 제3호] 인구 및 국토공간구조의 변화와 전망, 세종 국토연구원 작성 신휴식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heshin@krihsje.kr)
등록일 2023-11-23
국토교육 > 국토교육자료 > 지도로 보는 우리국토
[지도로 보는 우리 국토 53] 지도는 어떻게 변화해왔을까?
국토 2023년 6월호(통권 499호) 지도는 어떻게 변화해왔을까? 조선시대 1400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彊理歷代國都之圖) 권근 외, 1402년, 채색 필사본(일본 류코쿠대학교 소장본의 모사본), 158.0 x 168.0cm,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우리나라 만든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일 뿐 아니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 중국의 '성교광피도', '혼인광리도'와 조선 전도, 일본의 지도를 합하여 새롭게 편집.제작 제작한것으로 중국을 가운데 둔 것에서 중화적 세계관이 나타남. 그러면서도 서남아시아.아라비아반도.아프리카.유럽까지 포함하고, 아프리카 대륙을 온전하게 표현하는 등 미니의 세계에도 관심을 기울이던 개방적인 인식을 엿볼 수 있음. 1800 대동여지도(大東與地圖) 김정호, 1861년, 목판본, 각층 30.5 x 171.5cm(총 22층),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대동여지도는 약1/160,000 축척으로써 도로망에는 10리(약4km)마다 표시해 지역 간 거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 지형,교통,취학 등의 요소를 모두 갖춤과 동시에 산줄기와 물줄기를 사실적으로 그려넣어 지표의 기복을 충분히 전달하고 있으며 그림기호를 범례로 제시함 1900 정보수립 이후 대한전도(大韓全圖) 장지연,현성운,1970년, 33.7 x 25.0cm, 부산대학교 도서관 소장 1899년 최초의 현대식 지도,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지도 중 처음으로 경위선을 지도의 좌표로 사용 1969년의 지형도 1967~1974년 남한전역의 1/25천 지형도 762도엽 제작(현대적 지도제작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최초의 지도) 2015년의 수치지도 2003년부터 수치 지형도 2.0을 제작, 이를 이용한 1:5,000 지형도의 자동 제작이 실용화되었음. 현재와 미래 현재는 웹지도, 항공뷰, 위성영상 등 다양한 최첨단 지도 이용 서울시내 3d지도,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촬영한 정부세종청사 위성영상, 거리뷰 지도 1974년 이후 1/5천 지형도를 비롯한 국가기본도 및 국세지도, 연악해역기본도, 토지이용현황도, 위성영상지도, 사진지도 등 제작 항공사진촬영은 1966년 한화 협동 항공사진측량 협정 이래로 비약적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2004년부터 전국 아날로그 항공사진을 제공함 2015년부터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MMS를 활용한 정밀도로지도 구축 중 자료: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http://www.ngii.go.kr/kor/content.do?sq=49) 및 공식블로그(http://blog.naver.com/ngii2021)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등록일 2023-05-19
콘텐츠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