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144) 선택됨
- 발간물(32)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109) 선택안됨
- 국토교육(1)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0) 선택안됨
- 콘텐츠(0) 선택안됨
- 첨부파일(2) 선택안됨
- 직원검색(0) 선택안됨
발간물 (32)
더보기연구원소식 (109)
더보기연구원소식 > 공지사항
제 13회 아름다운 우리 국토 사진공모전 개최 안내
제 13회 아름다운 우리 국토 사진 공모전 개최 정부출연연구기관인 국토연구원에서 우리 국토의 아름다움과 생활상을 사진을 통해 국토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기회를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 13회 아름다운 우리 국토 사진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참여하기 □ 주최 : 국토연구원 □ 공모 대상 : 국민 누구나 □ 참가 분야 : 일반 사진 부문 / 드론 사진 부문 □ 공모 주제 : 국토, 우리 삶을 담다 - 일상 속 국토의 풍경 : 골목길, 시장, 학교, 동네 공원처럼 매일 스쳐 지나가는 곳들 속에 깃든 국토의 아름다움 -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진 공간 : 산책로, 들녘, 해안도로, 생태공원 등 자연과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포착 - 시간이 흐른 자리 : 오래된 골목, 재생된 마을, 새로 생긴 도시 등 국토 위에 쌓여온 시간과 변화 □ 응모 기간 : 2025년 7월 31일(목) ~ 8월 29일(금) (약 1개월 간) □ 참여 방법 : 온라인 접수(https://국토사진공모전.com - '참여하기' 버튼 클릭, 구글폼으로 이동하여 내용 작성) □ 응모기준 - AI 작업물 접수 불가 - 디지털 사진 파일로 컬러 작품만 접수(필름사진 출품 불가) - 가로형 사진이어야 함(3,000pixel 이상, jpg 파일로 응모) - 1인당 5점 이내로 출품 - 2022년 1월 1일부터 촬영한 사진만 출품 가능 - 사진촬영정보(EXIF)를 삭제하지 않은 파일 제출 - 드론 사진의 경우 ‘비행 및 촬영 허가서’를 반드시 첨부하여야 함 □ 시상 내역 : 총 38편 시상, 합계 상금 1,000만 원 - 대상 1편, 일반 부문 22편(최우수/우수/장려/입선) 드론 부문 15편(최우수/우수/장려/입선) 구분 부상 대상(1편) 국토연구원장상 200만 원 일반 사진 부문 최우수상(2편) 국토연구원장상 각 100만 원(총 200만 원) 우수상(3편) 국토연구원장상 각 50만 원(총 150만 원) 장려상(5편) 국토연구원장상 각 20만 원(총 100만 원) 입선(12편) 국토연구원장상 각 5만 원(총 60만 원) ※ 문화상품권으로 지급 드론 사진 부문 최우수상(1편) 국토연구원장상 100만 원 우수상(2편) 국토연구원장상 각 50만 원(총 100만 원) 장려상(2편) 국토연구원장상 각 20만 원(총 40만 원) 입선(10편) 국토연구원장상 각 5만 원(총 50만 원) ※ 문화상품권으로 지급 □ 수상발표 : 11월 중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 및 개별연락 ※ 결과활용 - 제출작은 국토연구원 SNS(영상 및 카드뉴스 콘텐츠), 월간국토 표지 및 연구원 생산 달력, 출판물 등에 자유릅게 쓰일 예정이며, 대국민 홍보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참여자는 제출작을 제출함과 동시에 주최 및 주관기관에서 공익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허락하며, 주최자가 필요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는 것에 동의함으로 간주합니다.
등록일 2025-07-30
연구원소식 > 공지사항
「제30회 전국초등학생 국토사랑 글짓기대회」개최 안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인 국토연구원에서는 미래 우리국토의 주역이 될 어린이들에게 국토와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전하고 삶의 터전인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하고자 「제30회 전국 초등학생 국토사랑 글짓기대회」를 개최합니다. □ 주최 및 후원 ◦ 주최 : 국토연구원 ◦ 후원 : 교육부·국토교통부 □ 응모대상 : 전국 초등학생 □ 응모방법 ◦ 작품형태 : 생활문(일기, 수필, 기행문 등), 손 글씨 작성 ◦ 작품분량 : 원고지(200자) 5~10매 이내 또는 줄글 1,000⁓2,000자 이내 (홈페이지 내 양식 별도 첨부) ◦ 응모방법 : 단체접수 혹은 개인 접수(우편접수) ◦ 보낼 곳 : 세종특별자치시 국책연구원로 5 (우 30147) ① 우편 봉투 표지에 ‘국토사랑 글짓기 작품’으로 적으시기 바랍니다. ② 응모 시 양식 내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제출 및 원고지에 인적사항 기재 필수 - 개인 : ㅇㅇ초등학교 ㅇ학년 ㅇ반 학생명, 보호자 연락처 - 단체 : ㅇㅇ초등학교 ㅇ학년 ㅇ반 학생명 ※ 단체 응모 시, 학생들의 참가작품에 ‘단체 응모신청서’ 우편 동봉 제출, ‘단체 참가자명단’ 엑셀파일은 메일(contest@krihs.re.kr)로 추가 제출 필수 □ 주의사항 ◦ 손글씨로 작성된 작품만 접수 ◦ 1인 1편 응모 가능(동일인 1편 이상 응모 시 첫 번째 작품 심사) ◦ 작품 접수 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서 제출 ◦ 출품작은 외부에 유출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하되, 대회 운영(심사 및 우수작품집 제작 등)에 필요한 경우 공개할 수 있음 □ 글짓기 주제 ◦ 여행을 다녀온 곳 중 기억에 남는 곳과 우리 동네 비교하기 ◦ 나만 알고 있는 우리 동네 자랑하기(100년 후에도 그대로이길 바라는 곳) ◦ 우리 동네, 더 살기 좋게 만들기(바꾸고 싶은 공간, 환경) ◦ 어떻게 하면 농어촌(지방/시골)에 사람들을 더 많이 살게 할 수 있을까요? ◦ 내가 새로운 도시를 만든다면?(내가 살고 싶은 고장, 마을, 교통수단 등) ◦ 어린이들이 즐겁고 행복한 마을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공간, 시설, 교통 등) □ 주요일정 ◦ 응모 기간 : 2025. 8. 18.(월) ~ 9.12.(금) ※ 9.12.(금) 소인분까지 ◦ 수상자 발표 : 2025.10.30.(목) 예정 ◦ 시상식 개최 : 2025.11.15.(토) 예정 □ 시상내용 ◦ 개인부문(137명) 구 분 시상 내용 대 상 국토교통부장관상 1명 상장 및 장학금 100만 원 금 상 국토연구원장상 2명 상장 및 장학금 70만 원 은 상 국토연구원장상 4명 상장 및 장학금 50만 원 동 상 국토연구원장상 30명 상장 및 문화상품권 10만 원 국토사랑상 국토연구원장상 100명 상장 및 상품(또는 문화상품권) ◦ 단체부문(5개교) 구 분 시상 내용 대 상 국토교통부장관상 1개교 상장 및 문화상품권 100만 원 금 상 국토연구원장상 1개교 상장 및 문화상품권 70만 원 은 상 국토연구원장상 1개교 상장 및 문화상품권 50만 원 동 상 국토연구원장상 2개교 상장 및 문화상품권 30만 원 ◦ 지도교사부문(2명) 구 분 시상 내용 우 수 교육부장관상 1명 상장 및 문화상품권 50만 원 국토교통부장관상 1명 상장 및 문화상품권 50만 원 ※ 시상내용은 일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상세 내용 및 대회 문의 ◦ 문 의 : 044-960-0582(지식홍보팀), jhkim@krihs.re.kr
등록일 2025-07-14
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제29회 전국 초등학생 국토사랑 글짓기 대회 시상식 개최
제29회 전국 초등학생 국토사랑 글짓기 대회 시상식 개최 일 시 ㅣ 2024.12.7.(토) 장 소 ㅣ 국토연구원 강당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은 제29회 전국 초등학생 국토사랑 글짓기 대회 시상식을 12월 7일(토) 오후 2시에 국토연구원 강당에서 개최했다. 이 대회는 교육부와 국토교통부가 후원하고 국토연구원이 주최하는 행사로 아동문학가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3차에 걸친 심사를 통해 339명의 수상자를 선정했다. 개인부문은 박슬빈 어린이(대구범어초등학교 2학년)의 ‘이런 길 없나요’가 대상(국토교통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심사위원을 맡은 강인석 아동문학가는 박슬빈 어린이의 작품에 대해 “내가 매일 다니는 우리 동네 길에 대한 경험과 생각 그리고 2학년으로 할 수 있는 제안까지 담겨 있는 알찬 글”이라는 심사평을 전했다. 이외, 개인부문 금상에 박다인 어린이(수원초등학교 1학년), 권시윤 어린이(손곡초등학교 5학년)를 비롯해 은상, 동상, 국토사랑상, 국토슬기상 등 최종적으로 339명이 선정됐다. 단체부문은 대상(국토교통부장관상)에 영신초등학교가, 금상(국토연구원장상)에는 리라초등학교가 선정됐다. 지도교사부문의 우수상(국토교통부장관상, 교육부장관상)은 김영신 교사(개운초등학교), 문성희 교사(영신초등학교)가 수상했다. 글짓기 대회는 미래 국토의 주역이 될 어린이에게 국토와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전하고 삶의 터전인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하고자 1996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등록일 2024-12-09
국토교육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