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기'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171) 선택됨
- 발간물(12)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159) 선택안됨
- 국토교육(0)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0) 선택안됨
- 콘텐츠(0) 선택안됨
- 첨부파일(0) 선택안됨
- 직원검색(0) 선택안됨
발간물 (12)
더보기연구원소식 (159)
더보기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국토연구원-용정중학교 국토교실 프로그램 개최
국토연구원-용정중학교 국토교실 프로그램 개최 일 시 ㅣ 2025.8.28.(목) 장 소 ㅣ 국토연구원 강당 국토연구원은 28일 국토연구원 강당에서 '대생성형 AI 시대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과 미래 전망'을 주제로 국토교실 진로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특강은 중학생들이 미래 사회에서 인공지능과 국책연구기관의 역할을 이해하고, 진로 탐색의 시야를 넓힐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행사는 국토연구원 기획조정실 인재개발팀의 신한별 2급행정원이 강사로 참여하여, 생성형 AI가 직업 세계에 미치는 변화와 연구기관의 미래상을 중심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또한 학생들이 연구자의 직업적 특성과 필요한 역량에 대해 질문하고 답변하는 시간을 통해, 실질적인 진로 교육의 장이 마련되었다. 이번 국토교실은 미래 세대가 AI 시대의 사회 변화와 공공연구기관의 역할을 폭넓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국토연구원이 청소년 대상 교육 확산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다.
등록일 2025-08-28
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2025년 국토연구원 도시재생 북 콘서트 개최
2025년 국토연구원 도시재생 북 콘서트 개최 일 시 ㅣ 2025.8.12.(화) 장 소 ㅣ 국토연구원 라운지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정비연구센터는 12일 오후 국토연구원 라운지에서 도시재생 공론화 및 지식공유 확산사업의 일환인 2025년 도시재생 북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북 콘서트는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및 번역서를 저자와 역자가 직접 소개하고 토론하는 정보 공유의 장을 조성하기 위해 진행됐다. 임상연 연구위원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도서 '프랑스 도시재생을 위한 주거 고밀화'를 강연 주제로 한 한승훈 디자이너(프랑스 Chaire-ETI)의 발제가 이루어졌다. '살기 좋은 도시의 밀도는 어떠해야 하는가?', '주거지의 밀도는 누가 정해야 하는가?' 등 급변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도시는 과연 어떤 밀도를 꿈꿔야 하는지 다각도의 시선을 담은 강연과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이번 북 콘서트는 지속 가능한 도시의 밀도를 위하여 단순한 인구 밀집의 논리를 넘어, 도시 밀도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 맥락을 사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NIMBY와 젠트리피케이션, 주택 접근성과 토지 가치, 교외의 '소프트 고밀화' 등 도시 현상 전반을 아우르는 프랑스의 실제 사례와 실험을 중심으로 밀도라는 개념을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시간이었다.
등록일 2025-08-12
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방글라데시 차토그램 광역권 공무원 연수단 방원행사 개최
방글라데시 차토그램 광역권 공무원 연수단 방원행사 개최 일 시 ㅣ 2025.5.13.(화) 장 소 ㅣ 국토연구원 강당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은 5월 13일(화), 방글라데시 차토그램 광역권의 교통 및 도시개발 분야 공무원 연수단을 맞이하여 ‘교통인프라 개발과 국토균형발전’을 주제로 강연을 개최하였다. 이번 연수단은 교통, 도시 및 철도 개발 관련 부처의 정책과 계획 수립에 관여하는 실무자 및 관리자들로 구성되었으며 국토연구원 전시관을 견학한 후, 강당으로 이동하여 이상건 선임연구위원의 강의를 수강하였다. 이날 강연에서는 국토종합계획의 개요, 한국 도로개발의 역사, 개발계획의 성공요인 등을 중심으로 한국의 교통 인프라 발전 경험이 소개되었다. 이상건 선임연구위원은 특히 간선도로망 구축이 한국의 경제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음을 강조하며, 수도권 순환도로 및 지방으로 연결되는 고속도로망 사례를 통해 도로 인프라가 국토의 균형발전에 미친 영향을 설명하였다. 이번 행사는 국토연구원이 한국의 교통인프라 개발 및 국토균형발전 경험을 방글라데시 카토그램 공무원들과 공유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방글라데시의 정책적 적용 가능성을 함께 모색해 보는 뜻깊은 계기가 되었다.
등록일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