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5) 선택됨
- 발간물(3)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2) 선택안됨
- 국토교육(0)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0) 선택안됨
- 콘텐츠(0) 선택안됨
- 첨부파일(0) 선택안됨
- 직원검색(0) 선택안됨
연구원소식 (2)
더보기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산딸기쨈 맛보실래요? 친환경 농산물 키워 건강한 먹거리 만들죠”
최근 은퇴 후 전원생활을 꿈꾸는 이들이 많다. 국토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은퇴한 다음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비율이 45%로 도시 생활 희망 비율(34%)보다 높다. 이에 귀농하는 사람들도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아산 신봉면에서 30여 가지의 작물을 재배하며 전원생활을 즐기고 있는 윤규제(64)씨. 그 역시 지난 2005년 남편과 도시생활을 정리하고 이곳으로 왔다. 그는 지역에 적응하기 위해 아산향토음식회장직을 도맡아 하고 이웃들에게 농산물을 나눠주며 제 2의 인생을 살고 있다. 윤씨를 만나 그의 전원생활 이야기를 들어봤다. “농약을 치지 않은 산딸기로 잼을 만들면 몸에도 좋고 맛도 일품이죠. 요즘 이런 재미로 전원생활을 즐기고 있습니다.” 지난 4일 오후 3시에 만난 윤씨는 자신의 집 앞 마당에서 천연 딸기잼을 만들고 있었다. 그의 집 뒷마당에서 직접 재배해 갓 딴 산딸기가 주재료였다. 그는 현재 아산농업기술센터에서 주관하는 아산향토음식반 회장을 3년간 맡고 있다. 자신이 직접 재배하는 친환경 농산물로 여러 음식들을 만드는 취미 탓에 향토음식에도 관심을 갖게 됐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자신의 대지 2314 ㎡(약 700평)에서 재배하는 농산물은 딸기·복숭아·사과·고구마·상추 등 30여 가지. 대부분 농약을 주지 않는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하고 있다. “직접 농사를 짓고 그 농산물로 향토 음식들을 만들기 시작했어요. 누군가에게 판매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우리 가족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함이었죠. 지역민들과 친해지기 위해 아산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여러 음식 동아리에 참여하다 향토음식반이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현재는 하루도 빠짐없이 수업에 참가하고 여러 지역민들께 제가 만든 향토음식을 주기도 해요. 여러 비법도 전수하고 있는 중입니다.” 은퇴 후 전원생활을 꿈꾸며 무작정 시골로 내려왔다가 적응하지 못해 다시 도시로 거처를 옮기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하지만 윤씨는 그와 반대로 점점 농촌생활에 재미를 느끼고 있다고 한다.
등록일 2013-06-11
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정부, 한계농지에 골프장 건설 허용
앞으로 골프장이 산지외에 해안구릉지 한계농지 등에도 들어설 수 있게 된다. 또 18홀 기준 1백8만제곱미터 이하로 규정돼 있는 골프장 부지면적 제한이 폐지 되고 골프장내 숙박시설 건립도 가능해진다. 문화관광부는 22일 이같은 내용의 골프장건설 규제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이르 면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문광부는 산림훼손을 최소화하고 골프장 난립방지를 위해 관광레저형 복합도시 등에 대규모 골프단지가 들어설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에따라 골프장 부지면적 및 클럽하우스 면적제한 등 불합리한 규제를 풀고 골 프장 사업계획 승인신청시 시.군.구청장을 거치지 않고 시.도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골프장 건설관련 민원을 일괄처리하는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이 마 련된다. 대중골프장 건설을 촉진하기 위해 국민체육진흥기금도 지원할 계획이다. 반면 문광부는 골프장에 대한 환경관리는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사업승인을 받은후 장기간 공사를 하지 못할 경우 사업승인을 취소하고,골프장 에서 아예 농약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환경관리를 엄격하게 해나가기로 했다. 문광부 조용남 체육국장은 "이 방안이 시행되면 골프장 건설에 소요되는 행정 절차기간이 평균 3~4년에서 1~2년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등록일 200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