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연구사업안내

"창의와 효율, 지식기반공유를 중시하는 경영"
- 총체적 연구역량의 강회
- 국토연구의 국제적 중추기관
- 국토정책 개발의 선도
-
연구원의 비전
- 미래의 新국토 가치를 창조하고 세계로 도약하는 국토정책연구의 싱크탱크
-
2005년도 연구사업목표
- 동북아 경제중심 시대의 실현과 통합국토 네트워크 강화
-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국토환경 조성
- 지역경쟁력 강화와 살고 싶은 도시환경 조성
국토계획/국토환경 분야
- 목표 : 통합국토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연구 활성화
추진방향 | 연구과제명 | 과제특성 |
---|---|---|
지역간 통합 네트워크 구축 연구의 강화 |
지방분산·분권과 국토균형발전의 대응과제 | 중장기(N.P) |
통합국토를 향한 지역간 공동발전방안 연구(III): 제도기반 구축을 중심으로 |
국가경쟁력 | |
환경과 개발의 통합을 위한 연구 활성화 |
국책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사회합의형성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국가경쟁력 |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지역주민참여유도를 위한 과제도출 | 국가경쟁력 | |
자원 통합관리 네트워크 구축 연구 추진 |
연구 추진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재원확보방안 연구 | 일반 |
동북아 분야
- 목표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를 실현하기 위한 인프라기반 조성
추진방향 | 연구과제명 | 과제특성 |
---|---|---|
동북아 협력과 남북협력의 정착 을 위한 인프라 구축전략 수립 |
남북인프라협력사업의 통합적 추진방안 연구? | 남북협력 |
지역/도시 분야
- 목표 : 지역경쟁력 강화 및 지속가능한 도시 건설
추진방향 | 연구과제명 | 과제특성 |
---|---|---|
지역균형발전 투자재원 확보 및 혁신클러스터 육성 |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개발투자재원 확보방안 연구 | 국가경쟁력 |
지역특성화 발전을 위한 혁신 클러스터 육성방안 | 국가경쟁력 | |
기성시가지 관리 및 도시개발제도의 합리화 |
인구저성장시대의 도시관리정책 방향 연구 | 미래사회 |
도시개발제도 개선방안 연구 | 일반 | |
지역중심의 발전전략 | 자립적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잠재력 분석 연구(II) | 국가경쟁력 |
SOC 건설경제분야
- 목표 : SOC 투자의 효율성 극대화 및 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
추진방향 | 연구과제명 | 과제특성 |
---|---|---|
교통정책의 효율성 제고 | 통행수요 추정의 신뢰수준 제고 방안 연구 | 일반 |
광역대도시권 SOC 정책의 새로운 방향(II): 도시·지역계획과 교통계획의 통합 평가를 중심으로 |
국가경쟁력 | |
고속철도와 국토공간구조의 변화 (I): 고속철도의 영향 평가체계 정립연구 |
국가경쟁력 | |
국가기간교통망의 유고(有故) 대응전략 연구 | 일반 | |
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 | 대형 공공건설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 국가경쟁력 |
건설경기의 구조적 진단과 대응방안 연구 | 국가경쟁력 |
토지주택 분야
- 목표 : 주거복지 실현 및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추진방향 | 연구과제명 | 과제특성 |
---|---|---|
국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기반조성 |
지역간·계층간 주거서비스격차 완화방안 연구(I) | 일반 |
국민경제 안정을 위한 주택산업 발전방향 연구 | 미래사회 | |
지방분권시대의 주택거버넌스체계 정립방안 연구 | 미래사회 | |
계획적 국토관리를 위한 토지의 효율적 활용 |
유휴농지의 효율적 활용·관리방안 연구 | 국가경쟁력 |
계획적 국토관리 위한 산지관리제도의 개선방향 | 국가경쟁력 |
GIS연구 분야
- 목표 : 時空自在의 국토 창조 및 GIS활용 고도화
추진방향 | 연구과제명 | 과제특성 |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신기술 수용연구 추진 |
신기술 수용연구 추진 時空自在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Ⅱ) | 미래사회 |
GIS활용 고도화 연구 중점 추진 | 방재국토 구축을 위한 GIS활용방안 연구(Ⅰ): GIS기반 방재국토 구축 기본구상 |
일반 |
시공간통합 국토시뮬레이션모형 개발 연구(Ⅰ) | 미래사회 | |
통합국토 네트워크 실행력 향상 | 남북교류 증진을 위한 북한지리정보 구축방안 연구 | 남북협력 |
기본원칙
- 연구원의 설립목적과 고유목적사업에 부합하는 과제
- 연구원의 경영목표를 달성하고 중장기 발전방향에 부합하는 과제
- 국가의 정책개발, 정책수립·결정을 위하여 시의성 및 활용성이 높은 과제
- 산·학·연 협동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전문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과제
- 기 수행된 연구과제 또는 수행 중인 연구과제와 차별성이 부각되고, 중복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과제
선정기준
01
기초적/중장기적 과제 우수 선정
- 기본연구사업은 연구목적과 과제 특성에 따라 국토관련분야의 이론적, 학문적, 정책적 기초가 되는 과제, 연구원의 경영목표 및 중장기 발전방향에 부합하는 중장기 과제(연구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과제)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함
- 전체 기본연구사업 중 기초적 과제 및 중장기 과제를 30% 이상 선정
02
범국가적 연구과제범국가과제(National Project) 및 기획과제 우수 선정
- 참여정부의 국정목표와 국정과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범국가과제(National Project)를 발굴·선정
- 2004년도 주무부처(건교부), 유관부처(재경부, 환경부, 산자부, 기예처 등)의 업무수행현황 및 연초 대통령 업무보고자료 (각 부처 홈페이지) 등을 참조하여 과제 발굴
0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높고, 고유사업영역의 독창적 과제 우선 선정
- 연구결과의 활용도 및 기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차별성이 높은 과제를 우선 선정
- 소관연구기관간 연구 중복성 탈피를 위하여 고유사업영역의 독창적 과제 우선 선정
04
산/학/관/언 협동연구를 우선 선정
- 기관의 전문분야를 특화하고, 전문분야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산/학/관/언 협동연구를 우선 선정
- 모든 연구과제는 필요 시 국내외 협동연구를 수행하도록 유도
05
분야별 연구 인력에 따른 적정 연구과제수 선정
- 모든 정규 연구 직원은 1인 1기본과제 참여를 원칙으로 하고, 1과제 당 3~5명이 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연구과제 수 결정
- 2005년도 예상 기본과제수는 총 26건 내외로 발굴·선정할 예정이며, 기본과제로 선정되지 못한 경우 필요 시 정책과제로 선정하여 수행

- 2005년 연구사업 구상
- 사업목표 설정
- 추진전략 구상
- 과제발굴 : 범국가과제, 기획자제 발굴, 연구회 협동과제 중장기과제발굴, 기본정책과제 발굴
- 외부전문가/관계부처 수요자 조사
- 과제선정 : 전문 분야별 기본연구과제 선정, 신 학 연 협동과제 선정
- 원내/외 공개세미나 및 주요 연구결과 종합 토론회(외부전문가 의견수렴), 외부원로저눈가 연구자문회의
- 과제 수행 공모 : 전 직원 과제제안서 공모, 과제제안서 심의 평가
- 연구운영위원회 심의
- 과제선정위원회 심의평가
- 과제 책임자 결정 과제수행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