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연구사업안내

2013년은 국토연구원의 새로운 물결, 생활국토 창조의 해"
-
경영 VISION
- 고객 선도현 국토정책 연구기관
-
5대 경영 목표
- 창조적 국토 정책 연구(창조)
- 실용적 정책 개발(실용)
- 융복합적 연구체계 수립(융복합)
- 활동형 글로벌 싱크탱크 구축(글로벌)
- 경영혁신을 통한 연구역량 극대화(혁신)
- 경영지침
- 고객 선도의 창조적 "정책연구상품" 개발
- 5대 핵심전략
고객 선도형 글로벌 연구기관
- 1. 국토의 미래를 열어갈 창조적 국토정책 선도
- 2. 국민생활에 밀착된 실용적 국토정책 개발
- 3. 융복합 연구의 심화 및 성과창출
- 4. 개도국 개발을 선도하는 싱크탱크 구축
- 5. 효율적 연구조직 기반 구축 및 연구문화 조성
국토연구원의 연구사업 운영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01
고품격 생활국토 구현
- 국토 및 지역정책의 창조적 발전에 관한 연구 수행
- 공생국토 구현, 고품격 국토기반 구축 연구 강화
- 한반도·동북아 경제권 형성 및 국토 미래 대응전략 연구 확대
02
더불어 사는 건강하고 성숙한 도시환경조성 실천
- 사회적 약자와 더불어 사는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
- 지역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및 경제활력 증진
- 시민사회와 함께 추진하는 도시정비과정 모색
03
국민생활 밀착형 주택·토지·건설정책의 선도와 역량 강화
- 사회적 약자와 더불어 사는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
- 지역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및 경제활력 증진
- 시민사회와 함께 추진하는 도시정비과정 모색
04
교통서비스와 효율성 제고를 선도하는 통합 인프라 구축
- 생활교통 서비스의 품격 및 질적 수준 강화
- 저비용·고효율 통합교통체계 구축 기반 마련 및 활성화
- 사회환경 여건변화에 부응하는 新교통 인프라개발·운영정책개발
05
지역 동반발전을 위한 기반 구축
- 인구 안정화시대의 수도권 및 지역정책 방향 정립
-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업입지 활성화방안 연구
- 전국적 지역연구 네트워크 정비 및 협력기반 구축
06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문화국토 구현
- 안전하고 자연친화적인 국토환경 조성
- 일상생활 속의 국토품격과 문화 창조
- 건강하고 활력이 넘치는 도시생활환경의 조성
07
스마트사회를 선도하는 공간정보 융합역량 강화
- 공간정보 생태계와 플랫폼 조성 및 글로벌 협력기반 구축
- 안전·편리한 생활국토 조성을 위한 스마트 정보화 전략연구 강화
- 합리적 국토정책의사결정지원체계 구축전략연구 강화
01
범국가적 연구과제(National Project)
- 국가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한 범국가적 과제와 주요 정책현안 관련 과제
02
실용·실증·현장 연구를 통한 정책기여도가 높은 과제
- 현지조사·설문조사 등을 통한 현실감 있는 현장중심의 연구로 정부정책 및 제도 개선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과제
- 국민들의 삶의 질과 환경을 중시하는 실사구시 과제
03
산·학·연·관 협동연구의 우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과제
- 기관의 전문분야를 특화하고, 전문분야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과제
0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높고, 구체적인 연구결과 도출이 가능한 과제
05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정관 및 연구기관 평가기준 고려
- 국정목표 및 국정과제, 연구원 경영목표와 부합하는 과제
- 과제 선정과정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정책활용 경쟁력이 높은 과제를 선정
06
기초·정책연구의 균형적 수행
- 전체 기본연구사업 중 정책적 기여가 큰 정책과제를 70% 이상 선정
- 전체 기본연구사업 중 학술적 기여가 큰 기초과제를 30% 이하 선정

- 연구원 설립목적
- 연구주제 수요조사(국토정책고객패널 300인)
- 정책연구협의회
- 대내외 환경 및 사회적 요구
- 先 연구테마 선정
- 2013년 연구사업목표 선정 : 7대 연구테마 선정
- 본부별 연구사업목표 및 추진방향 제시
- 後 연구과제 발굴
- 본부별 연구과제 발굴
- 본부별 정책실무협의회 개최 - 본부별 연구과제 발굴로 feedback
- 연구사업계획서 제출(10페이지 연구사업계획서) - 본부장검토
- 본부별 연구과제 발표회 - 연구사업계획서 제출로 feedback
- 기본과제, 일반사업 평가 (원내외 평가단 구성)
- 1차 운영위원회 (최종평가 대상과제 선정)
- 2차 운영위원회 (연구제안자 의견제시 및 최종과제 선정)
- “연구자문위원회” 자문 (공무원 및 자문가 자문)
- 2013년도 사업계획서 연구회 제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