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16) 선택됨
- 발간물(10)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6) 선택안됨
- 국토교육(0)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0) 선택안됨
- 콘텐츠(0) 선택안됨
- 첨부파일(0) 선택안됨
- 직원검색(0) 선택안됨
발간물 (10)
더보기연구원소식 (6)
더보기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공간정보 축제의 장… 30일 서울서 개막
http://news.donga.com/3/all/20170826/85996400/1
등록일 2017-08-28
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국제자유도시 제주 “홍가포르 넘어설 날 머지않았다”
‘호통무계 호락무한 제주(互通無界 好樂無限 濟州·교류의 경계가 없고 무한한 즐거움을 주는 곳 제주).’ 2002년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에 따라 국제자유도시가 된 제주도는 지난해 마련한 ‘자유도시 2기 10년 종합계획’의 기조전략을 ‘대(對)중국 소통’으로 정했다. 국제자유도시를 출범할 때 목표로 내걸었던 ‘홍가포르(홍콩+싱가포르)’를 능가하겠다는 제주의 꿈이 이뤄질 날이 머지않았다는 분위기다. 지난해 제주와 하와이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각각 168만 명과 260만 명. 세계 섬 관광지 패자(覇者) 중 한 곳인 하와이를 따돌리는 것도 시간문제가 됐다고 제주도는 보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과 중국 자본 투자 증가가 결정적인 요인이다. ○ “아직 배고프다” ‘평화의 섬 제주’가 관광의 핵심 지난달 21일 제주도 관광 1번지인 성산일출봉. 중국인 관광객을 태운 관광버스가 주차장에 즐비하고 등산로에서 들리는 목소리는 온통 중국어다. 성산일출봉 관리를 맡고 있는 이철헌 세계자연유산관리단 자연유산관리팀장은 “지난해 일출봉을 찾은 293만 명 중 외국인은 112만 명으로 이 중 76%가 중국인”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제주도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 대비 90.1%가 늘어난 108만 명으로 처음 100만 명을 넘어섰다. 제주특별자치도 오정훈 관광정책과장은 “중국 관광객이 폭증하고 있지만 이제 시작이라며 세계 7대 자연경관을 가진 제주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튼튼한 관광제주’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4곳인 중국 내 제주도 홍보관을 올해 한 곳 더 늘리고 30개인 중국 도시와의 정기 및 부정기 항공노선도 올해 32개로 늘린다. 중국인 탑승객 비율이 80% 이상인 크루즈 운항편수도 지난해 80회(약 14만 명)에서 올해 172회(35만 명)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중국 기업들의 ‘인센티브 관광지’로 부상하고 있다. 제주도는 2001년 1만1200여 명을 보낸 바오젠(寶健)사에 대한 감사 표시로 제주시 연동에 ‘바오젠 로(路)’를 명명한 데 이어 내년 암웨이사가 2만5000명을 보내오면 ‘암웨이 로(路)’(가칭)도 지정할 계획이다. 제주관광공사 문경호 마케팅사업처장은 “앞으로 제주 관광은 관광지를 둘러보는 ‘단순 관광’에서 벗어나 골프 승마 웨딩 패러글라이딩 요트 등이 ‘5대 부가가치 관광 상품’으로 집중 개발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관광객 모집에서도 온라인을 통해 개별 관광객을 모으는 진화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제주 토종업체인 예하여행사 이민구 대표는 “온라인을 통해 여행상품을 구입한 고객이 스스로 비행기 표를 구해 제주공항에 도착하면 그때부터 관광시킨다”고 소개했다. 중국이 일본과 영토 갈등을 빚자 일본으로 가는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한 것에서 보듯 관광에서도 ‘정치적 변수’가 크게 작용한다. 제주도가 다음 달 표선 해비치호텔에서 올해로 8회째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을 개최하는 것도 ‘평화의 섬 제주’라는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홍영기 평화협력과장은 말했다. 서귀포매일올레시장상가조합은 65개 시장 연합체인 저장(浙江) 성 항저우(杭州)의 농산물시장협회와 2011년 11월 자매결연을 해 한중 간 ‘재래시장 교류’라는 새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조합의 한팔용 상무는 “중장기적으로 양측 상가 품목의 상호 수출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중국 관광객들이 시장을 찾게 하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의 가장 큰 축제인 10월 탐라문화제에는 지난해 제주에 개설한 중국 총영사관과 공동으로 문화교류 활동도 벌인다. ○ ‘차이나 머니’ 제주에 눈독 3월 21일 서귀포시 동홍동 중국상하이녹지(上海綠地)그룹의 ‘제주헬스케어타운’ 공사 현장. 해발 약 250∼300m의 완만한 구릉을 따라 콘도식 휴양시설 건설이 한창이었다. 녹지집단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와 지난해 10월 본 계약까지 체결하고 이곳에 대단위 콘도를 짓고 있다. 153만 m²의 면적에 JDC가 당초 예상한 투자 규모는 6000억 원가량이었다. 하지만 녹지그룹 측은 “콘도와 부대시설을 더욱 고급스럽게 해야 한다”며 “총 1조500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아 JDC 의료사업처 대리는 “이르면 올해 상반기 분양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상하이 시 지분이 51%로 공기업인 녹지그룹은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투자를 물색하다 제주도를 첫 해외 투자지역으로 선택했다. 녹지그룹의 장위량(張玉良) 회장은 한라산을 뒤로하고 푸른 바다를 조망하는 자연환경이 중국인 부유층 선호에 맞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회사 관계자는 전했다. JDC가 서귀포시 안덕면 399만3000m²에 2018년 완공 목표로 조성 중인 신화역사공원에도 안후이(安徽) 성의 부동산 투자기업 L그룹과 후난(湖南) 성의 S중공업 등이 투자 협상을 진행 중이다. JDC 측은 제주공항에서 30분 거리인 이곳에 건설되는 복합위락단지에 ‘차이나 타운’ 건설도 검토 중이다. 2008년까지 제주도에 대한 중국 자본 투자는 ‘0’이었으나 지난해 말 직간접 투자가 3조191억 원에 이른다. ○ 숙원은 공항 확장과 부가세 환급 제주에 유일한 제주국제공항은 시간당 최대 34회 비행기가 이륙 또는 착륙할 수 있다. 도가 국토연구원에 의뢰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에는 포화상태에 이른다. 제주도 강성후 신공항건설추진단장은 “내외국인 관광객이 급격히 늘고 공항건설에 10년가량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기존 공항 확장이나 신공항 건설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평화협력과 김남진 주무관은 “렌터카비용 토산품 기념품 등 제한된 품목에 한해 부가세를 환급하는 것은 제주특별자치도법에 규정되어 있으나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관광 활성화에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 불로초 구하러 온 ‘서복’ 등 中기념물 곳곳에 ▼ 제주 서귀포시 정방로에는 진시황의 명을 받고 불로초를 구해기 위해 서해 바다를 건넜던 방사(方士) 서복(徐福)을 기념하는 ‘서복전시관’이 있다. 2003년 개관한 뒤 주변 지역도 서복공원으로 단장됐다.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는 한중 수교 15주년인 2007년 방한해 서복공원(徐福公園)이라는 글씨도 직접 써줬다. 공원에는 산둥(山東) 성 정부가 2008년 4월 기증한 전신(全身) 석상인 서복기사비(紀事碑·사진)가 설치되어 있다. 서복의 고향으로 전해지는 산둥 성 룽커우(龍口) 시와 서복이 출발한 허베이(河北) 성 친황다오(秦皇島)도 기념물과 자료 등을 기증했다. 서복은 기원전 219년과 210년 두 차례에 걸쳐 친황다오를 출발해 서귀포에 잠깐 들른 후 일본에 정착해 돌아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서귀포시 자치행정과 오은숙 중국담당 주무관은 “제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 중 서복전시관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라며 “2000여 년 전의 서복을 매개로 친밀감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제주시는 중국 지방자치단체의 홍보게시판이나 상징물을 곳곳에 세워 시를 찾는 중국 관광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용담2동 용두암공원 주차장에는 광시좡(廣西壯)족 자치구 구이린(桂林) 시의 대표적 관광지인 리장(리江)의 대형 사진을 설치해 놓았다. 시 관광진흥과 박은하 씨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제주에서 리장을 보게 됐다며 기념사진을 찍는 등 매우 반가워한다”고 말했다. 노형동 ‘신비의 도로’에는 훈춘(琿春) 시의 동북쪽 끝 팡촨(防川)의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중국 러시아 북한의 3국 접경 사진이 설치됐다. 일도2동의 신산공원에는 산둥 성 라이저우(萊州) 시가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기 이전인 2001년 1월 북제주군에 기증한,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의 월계선자(月季仙子) 석상이 세워져 있다. 당시 북제주군도 문무관 돌하르방 한 쌍을 기증해 라이저우 시 광장에 돌하르방이 설치됐다.
등록일 2013-04-01
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전국 27곳 '생태하천' 만든다
▶ 이런 콘크리트 둔치를 콘크리트 제방으로 둘러싸인 함평천. 홍수는 막았지만, 주변 경관과 생태계를 망가뜨렸다. ▶ 이런 초록빛 공원으로 자연 환경을 되살려 나비생태계를 만들게 될 함평천의 미래 모습. 전남 함평군의 함평천은 1990년대 초까지 홍수가 나면 둑이 무너져 주변 농경지에 피해를 주었다. 홍수를 막기 위해 구불구불한 하천을 쭉 펴 물이 쉽게 하류로 흐르도록 하고, 둑이 무너지지 않게 콘크리트로 제방을 쌓았다. 홍수를 막는 데는 성공했으나, 주변 경관과 생태계가 망가졌다. 정부는 862억원을 들여 함평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고, 나비축제로 유명한 함평군의 이미지를 살려 하천 안팎에 나비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런 식으로 2011년까지 전국 27개 하천을 생태하천으로 조성하는 내용의 '도시하천 환경개선 계획'을 확정했다고 15일 밝혔다. 도로나 주차장, 하수도로 이용되는 하천을 서울 양재천처럼 친환경적으로 정비해 공원이나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또 도시하천의 복개 행위를 전면 금지할 방침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올해 17개 지구를 시작으로 27개 하천변에 있는 전국 50개 지구가 2011년까지 도시별 테마 생태하천으로 탈바꿈한다. 이를 위해 1조181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사업 대상 주요 하천은 안양천.낙동강.함평천.섬강.영산강.한강.남강.태화강 등이다. 건교부는 우선 안양천을 비롯한 부산 화명(낙동강), 아산(곡교천), 원주(섬강) 등 17개 지구의 환경개선작업을 연내 시작하고 나머지 33지구의 사업도 2007년 이내에 시작할 방침이다. 연도별 예산은 올해 99억원, 내년 700억원, 2007년 1200억원, 2008년 1500억원, 2009년 1700억원, 2010년 3300억원, 2011년 3311억원이다. 건교부는 이를 통해 낙후된 지방도시의 하천을 지역 특성과 연계해 테마가 있는 생태하천으로 만들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오염하천의 대명사였던 안양천은 1급수 어종인 버들치 서식처로 복원된다. 또 함평천은 나비생태계로, 상주시 낙동강변은 강과 도심을 잇는 자전거 도로망으로 조성된다. 정부는 도시하천을 자연상태로 보존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하천정비기본계획에 따라 부분적으로 허용됐던 하천 복개 행위를 전면 금지할 수 있도록 하천법과 소하천정비법을 정비키로 했다. 하천법 개정안은 조만간 입법예고되며, 정기국회에서 처리되면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된다. 정부는 이미 복개된 하천에 대해서는 가급적 서울 청계천처럼 복원할 방침이다. 서울시의 경우 하천의 29%가 복개돼 물의 정상적 흐름과 생태 이동 통로를 가로막고 있다. 전국적으로 복개된 법정 하천은 165개, 231㎞에 달한다. 건교부는 앞으로 ▶생태.경관.역사.문화자원이 우수한 하천은 보전지구▶인위적 환경파괴가 진행된 곳은 복원지구▶인구밀집지역은 친수지구로 지정해 특별관리하기로 했다. 또 환경부.소방방재청과 합동으로 협의체를 구성해 하천환경정비사업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전병성 건교부 수자원국장은 "강이 흐르는 주요 도시에 문화와 역사를 집대성한 홍보관이나 박물관을 세우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등록일 200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