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250) 선택됨
- 발간물(11)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237) 선택안됨
- 국토교육(1)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0) 선택안됨
- 콘텐츠(1) 선택안됨
- 첨부파일(0) 선택안됨
- 직원검색(0) 선택안됨
발간물 (11)
더보기연구원소식 (237)
더보기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해외수주 2조달러 향해 뛰는 K건설… ‘영토 확장’ 최대 관건
등록일 2025-02-19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 산업구조 전환 전략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 산업구조 전환 전략" 국토硏, 국토정책Brief 제998호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 지방소멸, 청년 인구 수도권 쏠림의 동인 중 하나로 지역 내 주력산업의 경쟁력 하락을 꼽을 수 있음 ◦ 지방소멸 위험에 직면한 산업 및 인구 소멸위기지역에 관한 심층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 산업구조 전반의 문제점 파악과 지역 맞춤형 정책제언 제시 필요 □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산업입지연구센터 전봉경 부연구위원과 연구진은 국토정책 Brief 제998호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 산업구조 전환 전략”을 발간을 통해 경상북도 지자체 중 산업위기를 겪는 전통적 산업도시 구미와 인구 소멸위기에 직면한도농복합시 영주에 관한 심층 사례연구 수행하였다. □ (구미 산업구조 전환 전략) 1970년대부터 지역에 자리 잡은 반도체 소재, 방위산업 부품 관련 대기업을 중심으로 주력산업 다각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 고도화, 식품산업 같은 신산업 육성 등을 추진 □ (영주 산업구조 전환 전략) 정부정책에 따른 ‘첨단베어링 국가산업단지’ 조성, 지역 정치인을 통한 3개의 대기업 및 1개의 중견기업 유치 활동과 공장 신·증설 유인에 따른 제조업 기반 확대 □ 전봉경 부연구위원과 연구진은 지방 산업구조 전환을 위한 정책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정책 사각지대 중소도시 지원)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에 중요한 거점 산업도시이지만 ‘인구감소지역’,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등에서 소외된 중소도시에 대한 지원 필요 ◦(투자세액공제 현금 환급방안) 기업이 비수도권에 공장 신증설 등을 통해 일정금액(예: 500억) 투자 혹은 신규 일자리 창출(예: 500인)에 기여하면, 투자세액공제를 현금으로 환급하는 방안 논의 필요 - 예를 들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배터리, 태양광 등 제조시설 투자액 최대 30% 세액 공제액을 전액 현금 지급 ◦(가치사슬 중심 지역산업 육성) 역내 대기업의 주력 산업군보다는 특정 산업의 가치사슬이나 글로벌 공급망 내 위상을 고려해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 필요
등록일 2025-01-21
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공간정보 국제컨퍼런스 2024 ICGIS 개최
공간정보 국제컨퍼런스 2024 ICGIS 개최 일 시 ㅣ 2024.11.6.(수) 장 소 ㅣ 일산 킨텍스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는 11월 6일(수) 킨텍스에서「2024 ICGIS(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S)」를 개최했다. 본 국제컨퍼런스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공간정보 기술 교류 박람회인 「2024 K-GEO Festa(舊 스마트국토엑스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올해 ICGIS의 주제는 ‘더 나은 삶을 위한 GeoAI의 활용과 도전(GeoAI for Better Life)’으로, 주최 기관인 국토교통부 개회사(국토교통부 국토도시실장 이상주)와 함께 기조연설이 이어졌다. 기조연설은 발표자 순서대로, 미국 퍼듀 대학교 에이만 하비브(Ayman Habib, Purdue University)는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근접 및 초근접 센싱: 기회와 도전 과제」,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 캠퍼스 송가오(Song Gao,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는 「공간 인공지능의 기회와 도전 과제」, 홍콩 폴리텍 대학교 웽 치하오(Weng Qihao,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는 「지구의 도시 환경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지구 관측 및 GeoAI 기술」을 주제로 발표하였다. 이후 초청발표에서는 이강재 경북대학교 교수, 리나 한양대학교 교수, 세키모토 요시히데 동경대학교 교수, 장요한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재호 세종대학교 교수의 순서대로 5개 분야 발표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발표 내용으로 Geo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연구 성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등록일 2024-11-06
국토교육 (1)
더보기콘텐츠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