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영'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39) 선택됨
- 발간물(28)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9) 선택안됨
- 국토교육(0)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0) 선택안됨
- 콘텐츠(0) 선택안됨
- 첨부파일(1) 선택안됨
- 직원검색(1) 선택안됨
발간물 (28)
더보기발간물 > 연구보고서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차세대 국가공간정보 전략 연구
기본 17-18
저자 사공호상,임시영,성혜정
발행일 2017-12-31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
[연구자의서가 75] 경험, 노하우, 직감이 아닌 데이터로 세상을 볼 수 있을까?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
통권515호 (2024. 9.)
저자 임시영
발행일 2024-09-10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정책 Brief
[국토정책Brief 제990호] 데이터 개방에서 활용으로, 공간정보가치 증대를 위한 FAIR 원칙 도입방안
등록일 2024-11-20
연구원소식 (9)
더보기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국토교통부-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 정책연구실무협의회 개최
국토교통부-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 정책연구실무협의회 개최 일 시 ㅣ 2024년 1월 12일(금), 15:00~18:00 장 소 ㅣ 국토연구원 2층 강당 주 제 ㅣ 국가디지털트윈 구현과 공간정보 활용 정책 선도를 위한 추진 방안 및 연구 방향 논의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국토인프라·공간정보연구본부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는 1월 12일(금) 오후 3시 국토연구원 강당에서 국토교통부-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 정책연구실무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국가디지털트윈의 구현과 공간정보 활용 정책 선도를 위한 추진 방안 및 연구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협의회에는 박건수 국토정보정책관, 오성익 지적재조사기획관, 이대섭 국토정보정책과장, 유상철 공간정보제도과장, 유선희 공간정보진흥과장, 박진식 국가공간정보센터장 및 각 과의 사무관들을 비롯하여 국토연구원 이재용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장, 김대종 선임연구위원, 김미정 선임연구위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임시영 부연구위원이 ‘디지털트윈 종합 실증사업 기획 방안’을, 최경아 부연구위원이 ‘국토 지능화를 위한 GeoAI 활용 연구’, 이세원 부연구위원이 ‘Urban AI 기반 미래도시 예측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 방향을 발표하고 논의하였으며, 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과 김시중 사무관은 ‘국토정보정책관 정책 연구 수요’를 제시하였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 참석자들은 국토교통부와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의 긴밀한 정책 협력 방안을 비롯하여 ‘24년 국토정보 관련 정책 방향에 대하여 열띤 토론을 펼쳤다.
등록일 2024-01-22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국가공간정보 기반 디지털트윈 KOREA’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공간정보정책 평가방안
“‘국가공간정보 기반 디지털트윈 KOREA’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공간정보정책 평가방안” 국토硏, 국토정책Brief 제940호 □ 국내외 디지털트윈 시장이 빠르게 성장, 이에 공간정보의 역할이 강조됨에 따라 공간정보정책의 장기적 일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가체계가 필요한 상황 ◦ 개별 사업의 결과만 평가하는 기존 공간정보 평가체계를 개선하여 개별 사업의 성과와 영향, 국가공간정보정책의 종합적인 방향을 평가하는 것은 국가공간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중요 □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공간정보사회연구본부 임시영 부연구위원은 국토정책Brief 제940호 “‘국가공간정보 기반 디지털트윈 KOREA’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공간정보정책 평가방안”을 통해 공간정보정책 평가체계 개선 및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성과 심사, 품질 평가, 시행계획-집행실적 평가로 이루어진 기존의 평가체계를, ‘목표에 따른 산출-성과-영향’이라는 종합적 판단하에 ‘기본계획-시행계획-개별 사업’을 연계하여 평가하는 체계로 개선 □ 임시영 부연구위원은 공간정보정책 평가체계 개선 및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공간정보정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 풀(pool)을 개발하여 ‘종합 평가와 연계 평가’를 동시에 수행하는 새로운 평가체계 도입 ◦ 공간정보정책 평가 틀을 제도화하고 전문성 있는 전담기관을 지정하는 등 제도기반 마련 ◦ 기존 공간정보사업 평가 모델(통합관리사업)을 고도화해 새로운 평가체계를 도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데이터에 근거하여 추정하는 계량(분석)모형을 우선적으로 개발 ◦ 공간정보사업 일선 담당자가 적극적으로 평가체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과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에게 홍보할 수 있는 채널 다각화
등록일 2023-11-14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그리고 3차원 공간정보가 나아갈 길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그리고 3차원 공간정보가 나아갈 길” 국토硏, 국토정책Brief 제905호 □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을 연결하는 디지털트윈,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상공간을 만드는 3D 공간정보의 중요성 증대 □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임시영 부연구위원은 국토정책Brief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그리고 3차원 공간정보가 나아갈 길』을 통해 3D 공간정보 분야에 인공지능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 ◦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에는 가상공간을 만드는 역할이 필요하다는 공통점이 있음 ◦ 디지털트윈, 메타버스의 기반이 되기 위해 기존 3차원 공간정보가 가진 한계점을 극복해야 하고 ◦ 한계 극복을 위한 방법으로 3차원 공간정보 분야에 인공지능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안 □ 임시영 부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최근 인공지능기술이 발달하고 널리 활용되면서, 수작업을 대체하고 빠르게 판단하며 자동으로 무엇인가를 만든다고 하면 제일 먼저 인공지능기술을 떠올릴 수 있다’고 하며 ‘3차원 공간정보 분야에 인공지능기술을 도입함으로써 기술 혁신과 생태계 확장을 추구해야 하는 시점’으로 이를 지원하기 위한 12가지 정책방안을 제시함
등록일 2023-02-20
직원검색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