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순'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73) 선택됨
- 발간물(56)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14) 선택안됨
- 국토교육(0)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2) 선택안됨
- 콘텐츠(0) 선택안됨
- 첨부파일(0) 선택안됨
- 직원검색(1) 선택안됨
발간물 (56)
더보기발간물 > 연구보고서
독일의 자연침해 제도와 정책제언
국토연 2012-17
저자 최영국,박종순,최인태
발행일 2012-11-21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
[특집| 탄소중립도시 조성 정책방향]
통권479호 (2021.09)
저자 박종순
발행일 2021-09-10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이슈리포트
[국토이슈리포트 제11호] 도시의 적(敵) 미세먼지, 줄일 수 없을까?
등록일 2024-06-05
발간물 > 단행본
[세계국토총서 22-203] |탄소중립시리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일본의 국토·도시정책
저자 일본 정부?지자체 탈탄소실현회의, 국토교통성 자료,박종순, 박종화, 윤은주, 이정찬 기획 및 감수
발행일 2023-09-25
발간물 > 세미나/공청회자료
[제3차 국민참여단 회의 발제 3] 국민과 함께 만드는 국토종합계획 깨끗한 국토 만들기: 국토환경 이슈와 대응과제
저자 박종순
연구원소식 (14)
더보기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2022년도 제5차 미래국토 리더스 포럼
2022년도 제5차 미래국토 리더스 포럼 일 시 ㅣ 2022년 7월 25일(월), 16:00 장 소 ㅣ 국토연구원 3층 대회의실 주 제 ㅣ 회복력 있는 미래 도시 만들기(Building Resilient Cities for Future) 국토연구원은 7월 25일(월) 국토연구원 대회의실에서 2022년도 제5차 미래국토 리더스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OECD 도시정책 및 지속가능 발전국 김수진 국장이 ‘회복력 있는 미래 도시 만들기’를 주제로 강연했다. 강현수 국토연구원장은 환영사에서 “미래국토 리더스 포럼은 미래국토의 비전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국토를 만들기 위한 정책 방안을 발굴하는 자리”라고 말하며 “이번 리더스 포럼에 OECD 김수진 국장님이 연사로 참석해주신 데 대해 감사”를 전했다. 김수진 국장은 “역사적으로 콜레라, 허리케인, 9.11 테러, 코로나19 팬데믹,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재난을 통해 전 세계가 도시 회복력을 다시 고찰하는 계기가 되었다”라고 전하며, 특히 도시의 회복을 위해 “디지털 전환에 따른 스마트 회복(smart recovery),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녹색 회복(green recovery), 형평성 문제에 초점을 맞춘 포용적 회복(inclusive recovery) 전략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어진 질의응답 및 종합토론에서는 강현수 국토연구원장, 이상건 글로벌개발협력센터 소장, 하수정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소장, 박종순 그린인프라연구센터장, 이상은 안전국토연구센터장 등이 OECD 김수진 국장과 함께 한국의 주택 문제, 탄소중립, 순환 경제, 중소도시의 회복력, 향후 양 기관 간 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기획경영본부 홍보출판팀 이유설 lys@krihs.re.kr
등록일 2022-07-25
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2022년도 상반기 국토교통부-국토연구원 정책연구협의회 개최
2022년도 상반기 국토교통부-국토연구원 정책연구협의회 개최일 시 ㅣ 2022년 4월 11일(월), 15:00장 소 ㅣ 국토연구원 2층 강당주 제 ㅣ 국토정책 핵심현안에 대한 정책협의 및 정책 아젠다 발굴국토연구원은 4월 11일(월) 오후 3시 국토연구원 2층 강당에서 2022년도 상반기 국토교통부-국토연구원 정책연구협의회를 개최했다. 정책연구협의회는 국토교통부와 국토연구원 간의 상호 교류와 국토정책 핵심 현안 및 아젠다 발굴 등을 위한 토론회로, 이번 협의회는 도심 내 양질의 주택공급 및 주거환경 정비, 국가 균형발전 등 정부의 국토정책 관련 이슈와 연구방향 모색을 위해 마련되었다.협의회에는 국토교통부의 윤성원 제1차관, 이재평 국토정책과장, 윤의식 도시정책과장, 성호철 주거복지정책과장 등이 참석했고, 국토연구원은 강현수 원장, 김태환 부원장, 조판기 기획경영본부장을 비롯해 각 연구본부장 및 센터장 등이 참석했다.윤성원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모두말씀에서 “현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을 위해 여러가지 이론 분석, 실태 파악, 정책에 대한 제언에 노력하고 있는 국토연구원에 감사”의 말을 전하면서, 이번 정책연구협의회를 통해 “상호협의 역량이 강화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정책수립에 많은 도움 바란다”고 강조했다.이어진 정책현안별 주제발표에서는 먼저 박미선 주거정책연구센터장의 「코로나 이후 주거정책 안전망 기능 강화와 초고령화 사회 대비 노인주거정책 방향」을 시작으로, 이영주 국토모니터링센터장의 「디지털플랫폼 정부 시대의 국토모니터링 추진 방안」, 박종순 그린인프라연구센터장의 「지자체 및 공간 단위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 발표되었다. 현장 및 온라인 참석자들이 함께 진행한 종합토론에서는 협업 강화방안 논의와 주제발표에 대한 질의응답, 향후 국토분야 정책현안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기획경영본부 홍보출판팀 유한나 hanna@krihs.re.kr
등록일 2022-04-11
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2022년도 제2차 미래국토 리더스 포럼
2022년도 제2차 미래국토 리더스 포럼일 시 ㅣ 2022년 3월 7일(월), 15:00장 소 ㅣ 국토연구원 3층 대회의실주 제 ㅣ 2050 탄소중립 우리가 가야 할 길국토연구원은 3월 7일(월) 국토연구원 3층 대회의실에서 "2022년도 제2차 미래국토 리더스 포럼"을 개최했다.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기조에 대응하는 동시에 포럼 운영 등을 통하여 ‘탄소중립도시’ 브랜드를 선점하고 국내 관련 연구를 선도하기 위해 개최됐다. 강연은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이자 대통령소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 민간위원장인 윤순진 위원장이 맡았다.이번 강연에서 윤 위원장은 기후위기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강조하며, 탄소중립의 핵심인 에너지 전환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한국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NDC를 소개하며 탄소중립의 성공적인 사회 안착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어진 질의응답 및 종합토론에는 국토연구원 박태선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장, 조판기 기획경영본부장, 이상은 안전국토연구센터장, 박종순 그린인프라연구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토론에서는 탄소중립의 일자리 창출 방안, 재생에너지, 탄소비용 부과 방법 등을 다루며 탄소중립에 대한 우리의 도전과 과제를 논의했다.기획경영본부 홍보출판팀 안성용 syan@krihs.re.kr
등록일 2022-03-16
멀티미디어 (2)
더보기직원검색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