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우수보고서는 원내 외 평가를 거쳐 선정된 과제의 연구보고서입니다.
연구자 인터뷰를 통해 보고서에서는 볼 수 없는 연구 수행 과정의 이야기를 전해 드립니다.
-
합리적 하천관리를 위한 기준유량 설정방안
- 저자박태선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21-06-28
- 조회수364
홍수와 가뭄을 방지하고, 하천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연중의 하천유량을 관리목적에 맞게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자연적・사회적 여건에 따라 변화하는 하천유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목적과 부합하는 적절한 기준유량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1년을 몇 개의 적절한 관리기간으로 구.. -
인구감소·지방분권시대에 대응한 지방상수도 정책 개선방안 연구
- 저자조만석 부연구위원
- 게시일2021-06-21
- 조회수363
도시민 누구나 수돗물을 이용하는 시대는 되었지만, 수돗물에 대한 불신과 걱정은 해소되지 않고 최근까지도 이슈가 되고 있다. 과연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이 가속화될 미래에 상수도는 더 나아질 수 있을까? 아니면 현재 수준을 지속하는 것마저도 버겁지 않을까? 조만석 부연구위원이 수행한 「인구감소·지방분권시대.. -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을 위한 재정·금융 지원체계구축 방안
- 저자박소영 연구위원
- 게시일2021-06-14
- 조회수454
도시재생은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의 하나로서 대규모 재정을 지원하고 있지만, 도시의 쇠퇴문제 해결에 있어서는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연구는 그 주된 원인 중의 하나를 국가의 재정지원 방식에 있다고 보고, 각 도시가 처한 쇠퇴문제 해결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의 보조금 및 금융 지.. -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 발전구성과 실천방안 연구 Ⅲ
- 저자강민조 연구위원
- 게시일2021-06-07
- 조회수337
이 연구는 낙후한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하여 지역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발전구상과 함께 이에 따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차 연도 연구에서 도출한 경기북부 접경지역 균형발전의 기본구상과 2차 연도 연구에서 제시한 실천사업을 대상으로 인천·강원 접경지역의 연계사업을 선정했.. -
지역자산화를 위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 방안 연구
- 저자최명식 부연구위원
- 게시일2021-05-31
- 조회수204
그동안 성장과 개발의 강조, 과도한 시장 의존 등으로 나타난 불평등과 사회적 소외 등의 문제에 대응하여 지역발전과 상생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최근 지역공동체가 함께 소유하고 운영하여 포용과 상생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적 부동산이 확산되고 있다. 최명식 부연구위원이 수행한 「지역자산화를 위한 사회적 부동산 활.. -
아세안국가의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개발협력전략 연구
- 저자안예현 부연구위원
- 게시일2021-05-24
- 조회수295
주요 국정과제로 신남방정책이 추진되면서 상호이해 및 아세안 수요에 기반을 둔 개발협력 추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국제협력단을 비롯한 국내 관계기관들은 신남방정책 지원을 위한 개발협력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아세안 지역 국토 부문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규모를 확대하는 추..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상업용 부동산 수요 및 이용행태 변화 연구
- 저자이태리 부연구위원
- 게시일2021-05-14
- 조회수455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보통신과학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이하 ICT)의 발전은 산업구조와 도시 공간구조 변화를 야기했고,이에 따라 도시 내 상업용 건물 이용에 대한 전통적인 수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태리 부연구위원이 수행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상업용 부동산 수요 및 이용행태 변화.. -
주택구매소비자의 의사결정구조를 반영한 주택시장 분석 체계 구축
- 저자박천규 연구위원
- 게시일2021-05-06
- 조회수232
날로 주택시장의 하위시장 분화가 심화되고 있다. 국지적인 시장 움직임이 지역의 개발호재, 주택수급 상황, 경제 상황 등에 따라 나타나는 등 여러 다양한 요인들이 시장과 주택구매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줘 주택시장을 진단하고 예측하는 게 어려워지고 있다. 이 연구는 주택시장 환경 및 정책 변화에 따른 주택구매.. -
지방 중소도시 재생모델 구축방안: 근린재생형 사업추진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저자박정은 도시재생연구센터장
- 게시일2021-04-29
- 조회수231
2014년부터 시작된 도시재생사업은 현재 전국 약 500여 곳에서 추진 중이다. 대도시 중심으로 시작되었던 재생사업은 빠르게 지방도시로 확대되어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지방 중소도시 재생은 이렇다 할 전략모델과 추진방향이 부재하다. 박정은 연구위원은 「지방 중소도시 재생모델 구축방안」 연구를 통해 인구유출 문제가.. -
지역 관광지 쇠퇴원인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저자이순자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21-04-22
- 조회수762
관광트렌드의 급속한 변화와 코로나19, 또 이에 따른 해외여행 수요의 국내여행으로의 전환 속에서 지역 관광지는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이하고 있다. 이에 관광지의 재정비와 관광객 눈높이에 맞춘 적극적인 변화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이순자 선임연구위원 등이 수행한 「지역 관광지 쇠퇴원인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