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우수보고서는 원내 외 평가를 거쳐 선정된 과제의 연구보고서입니다.
연구자 인터뷰를 통해 보고서에서는 볼 수 없는 연구 수행 과정의 이야기를 전해 드립니다.
-
계획입지의 체계적 공급·관리방안 연구
- 저자장철순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16-04-18
- 조회수358
1961년 울산공업지구가 정부에 의해서 최초로 계획입지 형태로 개발된 이후 수출주도 성장전략, 국토균형발전, 낙후지역개발 등 여러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계획입지제도를 도입ㆍ추진하였고 상당부문 경제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선택과 집중, 확산”이라는 계획입지 본래의 목적 보.. -
ITS 빅데이터를 이용한 도시 모빌리티 분석 및 정책 활용방안
- 저자이백진 연구위원
- 게시일2016-04-17
- 조회수345
합리적 교통정책 수행을 위해서는 도시의 교통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고 이용자들의 다양한 수요(needs)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최근 빅데이터(Big-data)를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첨단교통시스템(ITS)을 통해 실시간 수집되는 교통정보 빅데이터(이하 ITS 빅데이터)를.. -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 저자이수욱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16-04-04
- 조회수397
청년 주거문제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정부도 젊은 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주택공급과 정책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지만, 주택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청년 주거불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이수욱 선임연구위원 등이 수행한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 -
공유경제 기반의 도시공간 활용 제고방안 연구
- 저자김은란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6-04-03
- 조회수366
공유경제가 다양한 생활영역을 확장되면서 공유에 기반한 도시공간의 시공간적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는 소유에서 공유로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토 및 도시관리 정책방향 설정하고 제도적 정비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김은란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공유경제 기반의 도시공간 활용 제고방안 연구」는 공유기반 도시공.. -
공공임대주택 공급체계 개선방안 연구
- 저자김근용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16-03-21
- 조회수440
무주택서민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시켜 주거안정성을 제고하고, 임대차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공공임대주택은 198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2015년 8월에는 공공주택특별법 체계 개선을 통해 기존 산재되어 있던 공공임대주택 공급 관련 규정을 통합하는 등 제도 정비에도 힘써왔다. 그러나 현행 공공임대주.. -
국토정책 지원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수요에 관한 연구
- 저자강민조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6-03-20
- 조회수390
위성정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국토교통부는 국토관측을 위한 차세대중형위성 1·2호기(2019년·2020년에 발사예정)를 개발 추진 중이다. 강민조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국토정책 지원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수요에 관한 연구」는 국토분야 현업지원을 위한 국토위성정보 활용분야 도출 및.. -
미래 국토를 선도하는 국토종합계획의 발전방안 연구
- 저자권영섭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16-03-07
- 조회수454
국토종합계획은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국토의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법정・종합계획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최상위 공간계획으로서 위상과 실효성이 크게 저하되고 있다. 권영섭 선임연구위원 등이 수행한 「미래 국토를 선도하는 국토종합계획의 발전방안 연구」는 미래 국토종합계획의 성격, 위상, 체계, .. -
가뭄 위험도 평가기법 구축 및 정책적 활용에 관한 연구
- 저자이상은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6-03-06
- 조회수469
가뭄이라는 자연현상은 장기적으로 심화될 경우 우리 사회에 큰 피해를 발생시키는 재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상은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가뭄 위험도 평가기법 구축 및 정책적 활용에 관한 연구」는 최근 국제적으로 논의되는 재난위험도 관리의 틀 안에서 효과적인 가뭄저감대책이 필요한 지역을 객관적으로 선정하는 데.. -
부동산시장 여건변화에 대응한 주거지재생 효과분석 시스템 구축(Ⅲ)
- 저자변세일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6-02-02
- 조회수392
주택보급률 100% 초과, 경제성장률 둔화 등 주택 수급여건 변화 및 주택노후화에 따라 최근 주거지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 갈등 해소 및 재산권 보호를 위해 주거지재생 사업에 대한 사전 파급효과 분석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필요성이 함께 커지고 있다. 변세일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부동산시.. -
도심의 기존 기능과 연계한 점진적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인구감소 지방 중소도시를 중..
- 저자박정은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6-02-01
- 조회수436
지방 중소도시 도심은 거점기능이나 재정수입 측면에서 도시경제를 살릴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공간이나, 도시 침체와 더불어 그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방 중소도시 도심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과 사업 등의 추진은 미미한 상황이다. 박정은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도심의 기존 기능과 연계한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