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108) 선택됨
- 발간물(26)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61) 선택안됨
- 국토교육(1)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1) 선택안됨
- 콘텐츠(1) 선택안됨
- 첨부파일(18) 선택안됨
- 직원검색(0) 선택안됨
발간물 (26)
더보기발간물 > 연구보고서
지적재조사를 위한 인공지능기술 활용방향 연구
수시 17-22
저자 김대종,황명화,임시영,임거배
발행일 2017-11-30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
[국토시론]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도시의 미래
통권444호 (2018.10)
저자 조대연
발행일 2018-10-10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정책 Brief
[국토정책Brief 제933호] 인공지능기법을 적용한 1km 격자단위 장래인구 예측 방법론 개발
등록일 2024-06-03
발간물 > 세미나/공청회자료
2018 공간정보 국제컨퍼런스 ``인공지능과 공간정보가 함께하는 미래사회``
저자 국토연구원
연구원소식 (61)
더보기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2025년 제1회 공간정보 포럼 개최
2025년 제1회 공간정보 포럼 개최 일 시 ㅣ 2025.4.21.(월) 장 소 ㅣ 국토연구원 강당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은 3월 21일, 디지털트윈과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의 미래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가치를 논의하는 ‘2025년 제1회 공간정보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학계, 공공기관, 연구기관,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공간정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정책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3차원 공간정보가 단순한 지도에서 벗어나 실제 도시와 자연환경을 정밀하게 디지털로 재현하는 ‘디지털트윈’ 기술로 진화하고 있으며, AI, 로봇 등 물리 기반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김대종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공간정보 기반 디지털트윈은 로봇 등 Physical AI의 학습능력을 높이는 중요한 기술”이라고 설명했으며, 배경호 신한항업 연구소장은 “드론, 센서, AI 기술이 결합되면서 3D 공간정보 구축이 더 빠르고 저렴해졌다”고 평가했다. 최형환 이지스 연구소장은 국내 3차원 공간정보SW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조하였다. 송기성 전문경력관(서울특별시)은 범죄 취약지역 분석, 도시침수 예측 등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행정사례를 소개하였고, 김진곤 차장(한국수자원공사)은 수자원 디지털트윈 플랫폼인 ‘디지털가람플러스’의 해외 수출성과를 소개하였다. 국토연구원 김미정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으로 이어진 토론에는 이경주 디지털전략기획단장(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송경호 정부투자분석센터장(한국조세재정연구원), 김강수 선임연구위원(한국개발연구원), 안종욱 공간정보학회장(안양대), 박효주 기자(전자신문) 등이 참여하였으며, “6G 시대에는 건물의 형상까지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3D 공간정보는 핵심 통신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민간과 정부의 역할을 분명히 나누고, 국가 차원에서 데이터 주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번 포럼은 공간정보 기술이 산업, 정책, 국제 협력 전반에 걸쳐 전략 자산으로서 주목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민·관 협력을 통한 제도 정비와 투자 방향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등록일 2025-04-21
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공간정보 국제컨퍼런스 2024 ICGIS 개최
공간정보 국제컨퍼런스 2024 ICGIS 개최 일 시 ㅣ 2024.11.6.(수) 장 소 ㅣ 일산 킨텍스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는 11월 6일(수) 킨텍스에서「2024 ICGIS(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S)」를 개최했다. 본 국제컨퍼런스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공간정보 기술 교류 박람회인 「2024 K-GEO Festa(舊 스마트국토엑스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올해 ICGIS의 주제는 ‘더 나은 삶을 위한 GeoAI의 활용과 도전(GeoAI for Better Life)’으로, 주최 기관인 국토교통부 개회사(국토교통부 국토도시실장 이상주)와 함께 기조연설이 이어졌다. 기조연설은 발표자 순서대로, 미국 퍼듀 대학교 에이만 하비브(Ayman Habib, Purdue University)는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근접 및 초근접 센싱: 기회와 도전 과제」,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 캠퍼스 송가오(Song Gao,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는 「공간 인공지능의 기회와 도전 과제」, 홍콩 폴리텍 대학교 웽 치하오(Weng Qihao,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는 「지구의 도시 환경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지구 관측 및 GeoAI 기술」을 주제로 발표하였다. 이후 초청발표에서는 이강재 경북대학교 교수, 리나 한양대학교 교수, 세키모토 요시히데 동경대학교 교수, 장요한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재호 세종대학교 교수의 순서대로 5개 분야 발표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발표 내용으로 Geo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연구 성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등록일 2024-11-06
연구원소식 > 언론보도
국토연구원, 6일 '2024 ICGIS' 개최… "공간 인공지능"
등록일 2024-11-05
국토교육 (1)
더보기콘텐츠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