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종'에 대한 검색 결과
- 전체(163) 선택됨
- 발간물(95) 선택안됨
- 연구원소식(47) 선택안됨
- 국토교육(0) 선택안됨
- 멀티미디어(1) 선택안됨
- 콘텐츠(0) 선택안됨
- 첨부파일(19) 선택안됨
- 직원검색(1) 선택안됨
발간물 (95)
더보기발간물 > 연구보고서
공간계획을 위한 공통주제도 수치지도화방안 연구(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 지원연구 3)
국토연 96-4
저자 이종열,김대종
발행일 1996-05-31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
[KRIHS 보고서 1] 시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토지이용변화 예측 및 활용방안 연구(김대종 외 지음)
통권368호 (2012년 6월)
저자 김학열
발행일 2012-06-10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국토정책 Brief
[국토정책Brief 제572호] 국토경관 향상을 위한 경관분석플랫폼 활용방안
등록일 2024-06-03
발간물 > 세미나/공청회자료
2012 국토연구원 연구성과 릴레이 세미나_국토정보연구부문
저자 최병남, 남광우, 임은선, 김대종
연구원소식 (47)
더보기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2025년 제1회 공간정보 포럼 개최
2025년 제1회 공간정보 포럼 개최 일 시 ㅣ 2025.4.21.(월) 장 소 ㅣ 국토연구원 강당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은 3월 21일, 디지털트윈과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의 미래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가치를 논의하는 ‘2025년 제1회 공간정보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학계, 공공기관, 연구기관,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공간정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정책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3차원 공간정보가 단순한 지도에서 벗어나 실제 도시와 자연환경을 정밀하게 디지털로 재현하는 ‘디지털트윈’ 기술로 진화하고 있으며, AI, 로봇 등 물리 기반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김대종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공간정보 기반 디지털트윈은 로봇 등 Physical AI의 학습능력을 높이는 중요한 기술”이라고 설명했으며, 배경호 신한항업 연구소장은 “드론, 센서, AI 기술이 결합되면서 3D 공간정보 구축이 더 빠르고 저렴해졌다”고 평가했다. 최형환 이지스 연구소장은 국내 3차원 공간정보SW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조하였다. 송기성 전문경력관(서울특별시)은 범죄 취약지역 분석, 도시침수 예측 등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행정사례를 소개하였고, 김진곤 차장(한국수자원공사)은 수자원 디지털트윈 플랫폼인 ‘디지털가람플러스’의 해외 수출성과를 소개하였다. 국토연구원 김미정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으로 이어진 토론에는 이경주 디지털전략기획단장(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송경호 정부투자분석센터장(한국조세재정연구원), 김강수 선임연구위원(한국개발연구원), 안종욱 공간정보학회장(안양대), 박효주 기자(전자신문) 등이 참여하였으며, “6G 시대에는 건물의 형상까지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3D 공간정보는 핵심 통신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민간과 정부의 역할을 분명히 나누고, 국가 차원에서 데이터 주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번 포럼은 공간정보 기술이 산업, 정책, 국제 협력 전반에 걸쳐 전략 자산으로서 주목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민·관 협력을 통한 제도 정비와 투자 방향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등록일 2025-04-21
연구원소식 > 주요행사
국토교통부-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 정책연구실무협의회 개최
국토교통부-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 정책연구실무협의회 개최 일 시 ㅣ 2024년 1월 12일(금), 15:00~18:00 장 소 ㅣ 국토연구원 2층 강당 주 제 ㅣ 국가디지털트윈 구현과 공간정보 활용 정책 선도를 위한 추진 방안 및 연구 방향 논의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국토인프라·공간정보연구본부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는 1월 12일(금) 오후 3시 국토연구원 강당에서 국토교통부-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 정책연구실무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국가디지털트윈의 구현과 공간정보 활용 정책 선도를 위한 추진 방안 및 연구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협의회에는 박건수 국토정보정책관, 오성익 지적재조사기획관, 이대섭 국토정보정책과장, 유상철 공간정보제도과장, 유선희 공간정보진흥과장, 박진식 국가공간정보센터장 및 각 과의 사무관들을 비롯하여 국토연구원 이재용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장, 김대종 선임연구위원, 김미정 선임연구위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임시영 부연구위원이 ‘디지털트윈 종합 실증사업 기획 방안’을, 최경아 부연구위원이 ‘국토 지능화를 위한 GeoAI 활용 연구’, 이세원 부연구위원이 ‘Urban AI 기반 미래도시 예측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 방향을 발표하고 논의하였으며, 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과 김시중 사무관은 ‘국토정보정책관 정책 연구 수요’를 제시하였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 참석자들은 국토교통부와 공간정보정책연구센터의 긴밀한 정책 협력 방안을 비롯하여 ‘24년 국토정보 관련 정책 방향에 대하여 열띤 토론을 펼쳤다.
등록일 2024-01-22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국토硏, “202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S” 개최
국토硏, “202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S” 개최 □ 국토연구원(원장 심교언) 공간정보사회연구본부 주최,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 주관으로 11월 9일(목) 킨텍스에서 2023 스마트국토엑스포의 일환인 “2023 ICGIS(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S)”를 개최한다. □ 주최 기관의 개회사와 함께 미국 샬럿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지리 및 지구과학과 석좌교수 Jean-Claude Thill의 기조강연으로 시작된다. ◦ 기조강연은 ‘GeoAI - The New Frontier in Health Systems Modeling(의료시스템 모델링의 새로운 지평)’을 주제로 한다. □ 이후 ‘더 나은 삶을 위한 Geosimulation의 활용과 도전(Geosimulation for Better Life)’이라는 주제하에 초청 발표 세션이 진행된다. ◦ 일본 도쿄 도시대학교(Tokyo City University) Yuki Akiyama 교수의 ‘Research for DXing Municipal Decision Making Using Urban Spatial Information and AI to Realize a Better Life’,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Filip Biljecki 교수의 ‘Advancing Urban Modelling with Emerging Geospatial Datasets and AI’, 서울대학교 Steven Jige Quan 교수의 ‘Addressing Urban Complexity with AI Toward Sustainable City Futur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영준 실장의 ‘A Simulation of Urban Population Movement by Agent Based Modeling Methodology and Sejong City Policy Application’, 국토연구원 이세원 부연구위원의 ‘The Future of Urban AI: Implementations and Challenges’ 등의 주제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 토론자로는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김태영 에이아이팩토리 대표, 이대섭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과장, 김대종 국토연구원 공간정보사회연구본부장, 문보경 전자신문 기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등록일 2023-11-07
첨부파일 (19)
더보기직원검색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