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전환 취약지역 지원방안
안예현 부연구위원, 윤은주 부연구위원, 박종화 부연구위원, 김은화 연구원, 홍나은 연구원
● 우리나라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부처별로 취약계층·산업·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나 공간적·통합적 접근이 미흡
● 해외의 경우, 기후정의(Climate Justice) 관점에서 지역사회 수요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명확한 기준을 적용하여 취약지역을 선정하고, 공간적·통합적 지원계획 수립
● 지역 내 탄소배출, 지역의 감축 부담 및 영향, 지역대응력을 고려하여 지역의 탄소중립 전환 취약성을 분석하고, 고위험·저역량 취약지역을 확인
● 사례분석 결과 지역주민, 지자체 공무원 등 이해관계자별로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시각이 다르며, 지역의 관련 정책·사업 경험에 따라 주민 수용성과 정책 효과가 상이
- 분절화된 감축 활동과 부처 간 칸막이를 극복할 수 있는 증거기반의 통합적 계획 필요
- 탄소중립기술의 국지적 환경영향과 그로 인한 지역사회와의 갈등에 대한 대응 필요
정책방안 |
① 부처별 탄소중립 추진전략에 기후정의를 주류정책화하여, 취약지역에 대한 전략과 과제를 포함하는 범부처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범정부 취약지역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 ② 취약지역에 대한 지원이 정책 변화에 영향받지 않도록 과학적인 추진기반을 마련해야 하며, 그 일환으로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탄소중립 전환으로 인한 취약지역의 경제·사회·환경적 영향을 면밀히 조사 시행
③ 배출원 부문별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 부문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도록 섹터커플링(Sector Coupling)을 촉진하는 취약지역 전환계획을 수립하고, 계획 이행을 위한 공간 단위 지원을 제도화 ④ 장소기반 접근(Place-based Approach)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의 협력과 참여를 독려하고, 정책 이행역량 및 주민 수용성 제고 |
- 국토정책Brief 910호.pdf (807.64KB / 다운로드:928)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