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청년친화형 산업공간 육성전략 연구
  • 저자조성철 책임연구원
  • 게시일2020-04-23
  • 조회수782
조성철 책임연구원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Residential mobility and social trust in urban neighborhoo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2019)
    • Putting Behavior into Context: Exploring the Contours of Social Capital Influences on Environmental Behavior(2017)
    • Network Structures and Local Supplier Upgrading in Thailand(2017)
    • 창업·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한 산업입지 전략 연구(2018)
    • 산업단지 정주환경 분석을 통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2018)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제조업발 고용한파가 국가적인 이슈로 논의되고 있다. 제조업 고용위기의 구조적인 추세를 분석하면 두 가지 특징이 관찰된다. 첫째는 임해공업지역을 따라 입지하고 있는 전통적인 산업도시들에서 급격한 고용감소가 진행됐다는 점이다. 둘째는 50대 이상의 중·고령층 근로자 수는 오히려 증가한 반면, 20~30대 청년 산업인력의 이탈이 급격하게 발생했다는 점이다. 상기한 두 가지 특징은 사실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즉, 생산기능에 특화되어 있는 기존 산업도시의 공간적ᐧ기능적 한계는 밀레니얼 청년세대의 산업공간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해 본 연구는 청년고용의 문제를 공간적으로 탐구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조성철: 입사하고 처음 책임을 맡았던 과제는 산업단지 정주환경에 대한 연구였다. 연구 결과, 타 연령대에 비해 청년 종사자들이 직장 주변 정주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을 반복해서 관찰할 수 있었다. 보고서가 발표된 뒤, 연구내용에 대한 문의를 몇 차례 받았는데, 대부분 청년고용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묻는 내용이었다. 그래서 후속 연구에서는 청년 고용환경에 대해 산업단지 경계를 넘는 분석을 담아보고 싶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조성철실증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근로자 수준의 미시적인 고용자료를 분석해 청년고용 증감을 좌우하는 입지적인 요인을 탐색했다는 데 있다. 더불어, 사례지역들의 청년 재직자, 예비 취업자, 지원기관 담당자 및 스타트업ᐧ시민단체 대표와의 심층적인 면접을 통해 청년 고용환경의 문제를 현장에서 탐색했다는 데 의미를 갖는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조성철창원국가산업단지에서 종사하는 청년 재직자 다섯 분과 어렵게 간담회 자리를 마련할 수 있었다. 청년들은 저마다의 경험을 담아 공장에서의 근로환경에 대해 이야기했고, 친인척 낙하산으로 채워지는 관리직, 대학졸업장의 의미와 산업도시의 전망 등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이야기가 깊어질수록 정책을 통해 구인과 구직시장의 미스매칭(mismatching)을 메울 수 있을 지점이 관찰되기도 했지만, 치열한 현장의 이야기에 마음이 답답하기도 했던 시간이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조성철함께 해준 연구진들의 노고로 방대한 고용 데이터를 분석했으나 그 시사점을 보고서에 충분히 녹여내지 못했던 것이 아쉽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조성철: 지방도시들의 새로운 청년일자리 거점은 산업단지 같은 전통적인 공간이 아니라 매력적인 골목길 같은 대안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었다. 젊은 창의인력들이 즐겨 찾고 창작ᐧ창업을 위해 머물고 싶어 하는 공간에서 이들과 함께 하려는 혁신기업들이 입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지방도시의 맥락에서 거리와 골목의 산업적인 잠재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보고 싶다.

 


조성철 책임연구원은 2013년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산업입지연구센터에 재직 중이다. 관심을 갖고 있는 연구 분야는 산업입지, 지역경제, 기술혁신 등이다. 최근 연구실적에는 등이 있다.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청년친화형 산업공간 육성전략 연구.pdf (0Byte / 다운로드:250)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