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thumb_20220706210818897.jpg

광역교통의 재난 및 사고에 대한 회복탄력성 평가 지표 연구


 워킹페이퍼 WP 21-22

광역교통의 재난 및 사고에 대한 회복탄력성(Resilience) 평가 지표 연구


황진욱 부연구위원






■ 최근 20년(2000~2019년)간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홍수·태풍·가뭄·지진 등)의 발생빈도가 크게 증가하는 등 국토교통의 안정적인 운영·관리를 위협하는 위험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발생빈도도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위험 발생 시 교통 인프라 및 서비스에 대한 단기적·구조적 대응방안 외 장기적·비구조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와 논의가 부족함

  - 최근 수립된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은 ‘안전하고 회복력 높은 안심국토 조성’을 위해 ‘국토관리 전(全) 주기 방재체계의 구축·이행’을 제시했기에, 재난 발생 직전과 직후로 한정되는 대응 범위를 벗어나 재난 샹황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회복탄력성(Resilience) 개념 논의가 필요

  - 이 페이퍼에서는 교통 회복탄력성 평가 요인 및 지표에 관한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광역교통 회복탄력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광역교통 회복탄력성의 개념) 광역교통 수단과 시설을 포괄하는 교통 시스템이 직·간접적 충격에 의한 위험 상황을 대비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변화된 상황에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손상된 수행력(performance)을 회복하는 능력


(교통 회복탄력성의 단계별 주요 평가 지표) 문헌 연구를 통해 교통 회복탄력성의 단계별 평가 지표로 대비단계에서 ‘대비성·예비성·가용성’, 흡수단계에서 ‘취약성·존속성·강건성’, 적용단계에서는 ‘융통성·적응성’, 마지막 회복단계에서는 ‘회복력·회복시간, 회복 비용’이 도출됨


■ (광역교통 회복탄락성 평가 지표 활용방안) 기존의 단기적·구조적 대응방안을 벗어나 교통 인프라 및 서비스를 포괄하면서 장기적·비구조적으로 위험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교통 방재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며, 이 페이퍼에서 논의한 교통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지표를 활용한 평가 방안은 이를 위한 전략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

  - 장기적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활용한 종합적 교통 방재체계 구축은 2019년 수립된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서 제시한 ‘국토관리 전(全) 주기 방재체계의 구축 및 이행’을 위한 국토교통 부문 전략으로 활용 가능성이 큼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WP 21-22_광역교통의 재난 및 사고에 대한 회복탄력성 평가 지표 연구.pdf (0Byte / 다운로드:333) 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연구기획팀
  • 성명 문보배
  • 연락처 044-960-0438
  • 최종수정일202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