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슈리포트 (2021.1.29) 공간데이터로 살펴 본 고령자 대상 독감백신 접종기관의 접근성과 잠재수요의 격차 |
이보경 부연구위원, 임은선 공간정보사회연구본부장
|요약| |
■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의료자원의 적시적소(適時適所) 배분에 공간데이터를 적극 활용할 필요성 증대 ◦ 코로나19 이후 마스크·손소독제·백신 등 의료자원의 공적 확보와 효율적 배분의 중요성과 국민의 관심이 크게 높아짐 ◦ 감염병 유행 수준과 세밀한 공간단위의 인구밀도, 자원 배분 의료기관(보건소, 민간 병·의원, 약국 등)의 위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 ■ 격자단위 공간통계를 활용한 접종기관의 배후 잠재수요 진단방법 ◦ 미시적 공간단위 데이터 및 분석방법을 제안하고, 고령자 대상 독감백신 접종 사례에 적용하여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도출함 ◦ 2020년 고령자 대상 독감백신 예방 접종 지정의료기관(민간 병·의원 및 보건소) 위치 정보와 250m 격자단위 고령인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접종 사각지역과 의료기관별 배후 잠재수요를 추정함 ■ 고령자 99%가 고령자 대상 독감백신 접종 지정의료기관 서비스권역(중생활권 기준 5㎞) 내 거주, 그러나 접종기관별 배후 잠재수요의 규모는 천차만별로 혼잡 우려 ◦ 고령자 대부분 독감백신 접종을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 서비스권역(5㎞) 내 거주하고 있어 접근성 사각지역은 없음 ◦ 배후 수요의 규모가 커서 혼잡이 예상되는 22개 시군구(부산 서구, 인천 미추홀구, 광주 동구 등)에 대해서는 특별한 대응책 모색 필요 ■ 코로나19 백신 접종 혼잡예방과 편의 제고 위해 차등적 의료자원 배분 대책 필요 ◦ 마스크 대란의 경험을 교훈으로 삼아 의료자원(백신)의 현황을 누구나 실시간 위치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함 ◦ 순차적인 백신 확보에 따라 기존 독감백신 접종 지정의료기관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아스트라제네카 및 얀센과 같은 백신의 경우, 이 리포트에서 제시한 미시적 공간단위의 배후 고령자 잠재수요 추정방법 등을 고려하여 현장 밀착형 백신 배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 |
-
국토이슈리포트 33호.pdf (0Byte / 다운로드:201)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