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우수보고서는 원내 외 평가를 거쳐 선정된 과제의 연구보고서입니다.
연구자 인터뷰를 통해 보고서에서는 볼 수 없는 연구 수행 과정의 이야기를 전해 드립니다.
-
신혼부부 주거지원 강화 방안 연구
- 저자박미선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8-10-08
- 조회수840
신혼부부 주거비 경감은 저출산 및 지속가능한 미래사회 대비와 깊이 연관된 사회적 이슈이다. 정부에서도 주택정책 차원에서 신혼부부의 주거비 경감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이번 정부의 중요한 정책과제로 채택하고 있다. 박미선 박사가 수행한 「신혼부부 주거지원 강화 방안 연구」는 지속.. -
혁신도시의 인구성장 분석 및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 저자윤영모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8-09-28
- 조회수737
혁신도시 정책의 1단계라 할 수 있는 도시기반 조성 및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혁신도시의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등 새로운 도시로서의 면모를 일정 수준 갖춰 나가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혁신도시로 인한 주변지역 인구 유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윤영모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혁신도시.. -
자율주행차 도입이 국토공간 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저자이백진 연구위원
- 게시일2018-09-21
- 조회수892
자율주행차가 미래 우리의 일상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를 예측해보는 다수의 국내외 연구들이 있으나 주로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영향을 개괄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백진 연구위원이 수행한 「자율주행차 도입이 국토공간 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는 포괄적인 측면에서 장래 .. -
산업단지 인·허가 선진화를 위한 GIS 활용방안
- 저자정문섭 연구위원
- 게시일2018-09-14
- 조회수484
그동안 양적인 측면의 산업단지가 개발·운영되었으나 4차 산업혁명시대 산업의 고도화 및 효율화를 위해서는 질적인 측면의 산업단지 재생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문섭 연구위원이 수행한 「산업단지 인허가 선진화를 위한 GIS 활용방안」은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공간정보 융합을 통한 산업단지 인허가 행정의 효율성.. -
저성장시대 건설산업의 미래이슈 전망과 대응전략 연구
- 저자안종욱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8-09-07
- 조회수747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이 일상화되는 뉴노멀 시대가 도래했으며, 건설산업의 생산성은 정체되어 있으나 산업의 미래전략은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는 주기적으로 산업혁신로드맵을 제시해 왔으나, 2009년 이후부터는 그마저도 중단된 상황이다. 안종욱 책임연구원 등이 수행한 「저성장시대 건설산업의 미래이슈 전망과.. -
도시지역 회복력 강화를 위한 패키지형 도시재생정책 추진방안
- 저자이왕건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18-08-31
- 조회수586
도시재생정책은 초기부터 단순한 물리적 정비를 넘어 도시의 경제, 문화, 사회적 활력회복을 목표로 다양한 정부정책을 연계하여 패키지로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실제로는 각각이 분리된 사업으로 추진되었다. 이왕건 선임연구위원이 수행한 「도시지역 회복력 강화를 위한 패키지형 도시재생정책 추진방안」은 도시재생정책.. -
중위도시를 위한 도시회복력 계획 연구
- 저자홍사흠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8-08-24
- 조회수541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도시회복력이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서울’이라는 강력한 수위도시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의 급속한 발전경험을 도시회복력 측면에서 조망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과거 우리와 비슷한 도시화 초기단계에 있는 개발도상국 중위도시의 회복력 있는 도시발전을 위한 정.. -
지역성장을 위한 도로 인프라의 전략적 공급 방안에 관한 연구
- 저자육동형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8-08-21
- 조회수503
국가균형발전은 매 정부마다 강조하고 있지만 지역별 도로 인프라에 대한 시설수준의 비교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며 인프라의 균형적 공급만 강조되어 왔다. 육동형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지역성장을 위한 도로 인프라의 전략적 공급 방안에 관한 연구」는 성장을 넘어 성숙기에 이른 우리나라의 지역성장을 위한 .. -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방안 연구
- 저자박미선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8-08-14
- 조회수1137
인구 및 가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부부와 자녀 중심의 가구구조가 1인, 2인가구 위주로 재편되면서 2015년 기준 1인가구 비율이 27.2%로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 되었다. 박미선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방안 연구」는 1인가구의 경제·사회 및 주거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소득수준.. -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향: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 저자이진희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8-08-03
- 조회수1536
국책사업으로 도시재생이 추진 및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환경이 변화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부작용이 예상된다. 정부는 다양한 정책적 수단의 시도와 관련 법·제도의 개선을 모색하고 있다. 이진희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