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HS Newsletter] 미분양주택 위기단계별 정책 대응방향
- 발행일2024-01-10
- 조회수298
KRIHS 국토연구원
KRIHS Newsletter 국토연구원 뉴스레터
2024년 1월 둘째주 지난호보기▶
- 국토연구원 페이스북
- 국토연구원 유튜브
- 국토연구원 인스타그램
- 국토연구원 블로그
‘피할 수 없다. 인구감소시대의 대안 생활-체류인구’ 유튜브 채널[국토 TV] 영상 클릭!
국토정책 Brief
미분양주택 위기단계별 정책 대응방향
- 급격한 금리 인상과 유동성 축소에 따른 분양가 상승, 일부 지역은 공급 과잉 등의 요인으로 인해 2022년 하반기 이후 미분양주택은 증가추세
- 미분양주택의 위기단계는 장기평균수준을 고려하여 정상, 관심, 위험진입, 위험발생 등 4개로 구분할 수 있으며 2023년 10월 현재 수도권은 정상단계, 지방은 관심단계를 보임
- 미분양주택의 위험은 PF대출 부실, 주택착공 감소, 건설업 폐업과 부도, 건설업 취업자 수 감소로 이어져 국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과거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전국의 미분양주택이 10만 호를 넘어서면서 본격적인 대책이 추진되었으며 수요자 측면에서는 세제 지원이 공급자 측면에서는 환매조건부 매입정책과 유동화채권(P-CBO)을 통한 유동성 지원정책이 미분양주택 해소에 큰 역할을 담당
- 미분양주택 해소방안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국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고려하면 위험수준에 따라 제한적인 지원책이 필요
황관석 부연구위원, 김지혜 부연구위원, 이윤상 부연구위원
국토정책 Brief 미분양주택 위기단계별 정책 대응방향 No.948 전문보기→
워킹페이퍼
아일랜드 임대료 보조프로그램의 사례와 시사점
- 우리나라는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시작한 이래, 임대료 보조제도는 오랜 시간 동안 다소 제한적인 역할에 그쳐왔음
- 임차급여나 전월세 보증금 융자제도는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지 못한 사각지대를 일부 보완해 왔으며, 공공임대주택 입주대상을 중산층으로까지 확대하는 기조가 강화될 경우 상대적으로 입주기회가 감소할 수 있는 저소득 가구를 임대료 보조제도로보완할 필요가 있음
- 아일랜드는 중·단기적으로 사회주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주거지원금(Housing Assistance Payment HAP)를 통한 민간임대 부문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지방정부의 차등 임대료 시스템으로 직간접 주거지원이 적절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
- 임차급여 수급자의 주거환경 수준은 여전히 열악하며, 임대시장의 규제를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행하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함
박기덕 부연구위원
아일랜드 임대료 보조프로그램의 사례와 시사점WP23-12 전문 보기→
국토연구 특집호
- 한국형 축소도시의 정의와 진단: 축소도시 쇠퇴도시, 지방소멸관련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무엇이 도시의 생존을 위협하는가? : 도시축소에 대한 구조적 이해
- 축소시대의 장래 생산연령인구와 경제활동인구의 변화 :시지역을 중심으로
- 축소도시근로자의 이직행태 및 임금분석 : 비수도권 중간규모 도시를 중심으로
- 인구감소 중소도시의 공간적 축소에 관한 연구
- 지방중소도시의 도시규모적정화방안연구
- 문의전화:044-960-0114
- 팩스번호 : 044-211-4760
- 이메일 : webmasterkrihs@krihs.re.kr
채용정보
▶ 2024년 청년인턴(1차) 공개채용(제한경쟁)공고 [마감일: 2024.1.24]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연구과제 상시제안
자료회원서비스
국토정책 Brief
본 메일 정보통신망법률등 관련 규정에 의거하여 메일 수신동의여부를 확인한 결과 수산 동의하셨기에 발송되었습니다.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실 경우 [이메일 수신거부]를 [클릭]하여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KRIHS 국토연구원
[30147]세종특별자치시 국책연구원로 5 (반곡동)
Copyright@2020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보호정책 / 서비스이용약관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국토연구원 페이스북 QRcode https://m.facebook.com/KoreaResearchlnstituteforHumanSett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