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박진백 부연구위원 사진
박진백 부연구위원 부동산시장정책연구센터
  • 연락처 전화 : 044-960-0312 / 팩스 : 044-211-4767
  • 메일 이메일
  • 연구분야 부동산정책, 임대차시장, 인적자본, 세제정책, 유동성, 경제성장(위기)

학력

  • • 2014 한양대학교 경제학 박사

경력

  • • 2024.1 ~ 한국주택학회 이사
  • • 2023.1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주택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 2022. 12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
  • • 2021. 6. ~ 현재.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 부연구위원
  • • 2020. 12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
  • • 2016. 7 ~ 2021. 5. 한국부동산원 시장분석연구실 책임연구원
  • • 2015. 5 ~ 2016. 7.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정책제도연구부 과장
  • • 2014. 9 ~ 2015. 5.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평가실 전문위원

연구보고서

  • (연구책임 과제)
  • •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기본과제, 2024
  • • 지역별 토지자산 시가총액 과거 시계열 추정 연구, 통계청 수탁과제, 2024
  • • 주택임대차 제도개선 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수탁과제, 2024
  • • 역전세 발생 추이와 보증금 미반환 위험 연구, 국토연구원 WP 23-06, 2023
  • • 주택금융소비자의 지불능력을 고려한 대출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기본과제, 2023
  • • 저출산 원인 진단과 부동산정책 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수시과제, 2023
  • • 지역별 토지자산 시가총액 추정방법 연구 사업, 통계청 수탁과제, 2023
  • • 부동산세제의 시장 영향력 분석과 향후 정책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기본과제, 2023
  • • 주택가격 상승이 출산율 하락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 연구, 국토연구원 WP 22-29, 2022
  • • 주택가격에 대한 금리의 시간가변적인 영향 연구: 금리상승기와 금리하락기 영향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WP 22-09, 2022
  • • 전세 레버리지 리스크 추정과 정책대응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수시과제, 2022
  • • 완화적 통화정책 전환 전후 금리의 주택가격 상승 기여도 추정 연구, 국토연구원 WP 21-21, 2021
  • • 주택임대차신고제 실행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국토교통부 수탁과제, 2020
  • • 주택임대사업자 소득세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원 기본과제, 2019
  • • 주택거시모형에 기초한 주택시장 전망모형 구축 연구, 한국부동산원 기본과제, 2019
  • • 거시경제변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부동산원 기본과제, 2018
  • • 국토정보시스템 부동산 관련 정책정보 및 통계 품질개선 연구, 국토교통부 수탁과제, 2017

주요논문 및 저서

  • • 전세 기대수익률이 매매 및 전세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13(3): 271-282, 2024 (1저자)
  • • 통화정책의 주택가격에 대한 시간가변 변동 기여도 분석, 국토연구, 122: 79-97, 2024 (교신저자)
  • • 주택 매매시장과 전세시장의 시간가변적인 관계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188: 3-20, 2023 (단독저자, 국토연구원 우수논문상 수상)
  • • 서울 주택 매매시장과 전세시장의 시간가변적인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9(3): 281-286, 2023 (교신저자)
  • • 금리충격이 오피스텔의 월세 점유전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산업경제연구, 36(6): 1113-1132, 2023 (교신저자)
  • • The Time-Varying Effect of Interest Rates on Housing Prices, Land, 11(12), 2022 (교신저자)
  • • 서울 주택가격에 대한 금리의 시간가변적인 영향 연구, 한국지역경제학연구, 20(3): 27-50, 2022 (1저자)
  • • 코로나19 발생 전후 상권 생존율 변화 분석 - 서울 강남구와 대구 수성구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9(3): 121-126, 2022 (1저자)
  • • The 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accidents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10(3): 252-32, 2022 (교신저자)
  • • 연령에 따른 주택 매도가격의 차이에 대한 실증연구, 산업경제연구, 35(6): 1243-1260, 2022 (단독저자)
  • • 금리의 주택가격 상승 기여도 추정, 주택연구, 29(4): 75-100, 2021 (1저자)
  • • 주택가격과 사교육비가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영향과 기여율 추정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37(4): 65-92, 2021 (단독저자)
  • • 주택가격 상승 충격의 저출산 심화 기여도 연구,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7(4): 607-612, 2021 (단독저자)
  • • 산업재해 발생이 산업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안전학회지, 36(1): 50-55, 2021 (교신저자)
  • • 주택가격과 주택공급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9(5): 765-776, 2020 (교신저자)
  • • Does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drive down the total fertility rate?, Journal of Economic Research, 25(3): 249-269, 2020 (1저자)
  • • 직무열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22(1): 61-68, 2020 (교신저자)
  • • 비정규직 고용률과 여성 고용률이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 OECD 국가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2): 15-23, 2020 (교신저자)
  • • 전세가율 수준에 따른 유동성 증가가 주택가격 상승에 미치는 영향, 통계연구, 24(4): 102-124, 2019 (교신저자)
  • • Corporate income taxes, corporate debt, and household debt, International Tax and Public Finance, 26(3): 506-535, 2019 (1저자)
  • • 서울 주택시장의 기간별 전이효과, 금융공학연구, 18(1): 141-165, 2019 (1저자)
  • • 전매제한 규제정책의 주택가격 안정화 효과와 전매시장과 재고주택시장간 전이효과,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2): 65-91, 2019 (단독저자)
  • • 고령화 추세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분석, 4(1): 33-54, 2018 (교신저자)
  • • 보유세와 거래세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20(3): 57-83, 2018 (단독저자)
  • • 고등교육의 경제성장 효과에 근거한 고등교육재정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45(4): 351-373, 2018 (교신저자)
  • • 고령층의 주거비 부담이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보, 73: 5-19, 2018 (교신저자)
  • • 부동산 조세의 주택시장 안정화 효과 - 보유세와 거래세를 중심으로, 부동산분석, 4(2): 1-19, 2018 (1저자)
  • • 재정건전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경기변동을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19(4): 121-148, 2017 (단독저자)
  • • 경기변동에 따른 주택가격변동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0(3): 51-69, 2016 (1저자)
  • • 전매제한 규제강화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 11.3 부동산대책을 중심으로, 부동산분석, 3(1): 73-88, 2017 (단독저자)
  • • 지방재정과 지역경제성장,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2015(11): 143-164, 2015 (단독저자)
  • • 시스템적 금융위기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 신용붐, 국가채무, 주택시장 버블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62(1): 55-90, 2014 (1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