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박미선 연구위원 사진
박미선 연구위원 주거정책연구센터
  • 연락처 전화 : 044-960-0294 / 팩스 : 044-211-4768
  • 메일 이메일
  • 연구분야 주택정책, 주거복지, 임차시장 분석, 주거부담, 국제협력

학력

  • • 미국 Cleveland State University 도시정책학 박사 (주택 및 커뮤니티 개발 전공, Hous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경력

  • • 2024. 현재 주거정책연구센터 연구위원
  • • 2021.1~2023.11.주택토지연구본부 주거정책연구센터장
  • • 2011.3 ~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 기획경영본부, 글로벌개발협력센터
  • •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 「더나은 청년주거」 특별위원회 위원(2023.11~24.2)
  • • 서울특별시 약자동행위원회 위원(2023.11~현재)
  • • 서울특별시 인구변화 대응위원회 위원(2022.12~현재)
  • • 통계청 2025 인구주택총조사 자문위원(2023.6~현재)
  •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고령친화 주거환경 조성 전문가 자문단(2023.5~현재)
  • •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위원회 제도통합전문위원회 위원(2022.12~현재)
  • •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위원회 위원(2022.7~현재)
  • • 국토교통부 주거정책심의위원회 위원(2022.6~현재)
  • • 국토교통부 기타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회 위원(2021.9~23.9)
  • •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원 (2021.3~2023.3)
  • • 서울특별시 1인가구 정책자문위원(2021.11~23.11)
  • • 전라북도 주거정책심의위원(2021.9~)
  • • 2021.1~2021.6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추진단 청년 법령정비 TF
  • • 2020.1~2020.5 국토교통부 1인가구 정책 TF 주거작업반
  • • 2018.7~2018.11. 국무조정실 1인가구 정책 TF
  • • 2019.3~2022.3. 대전광역시 주거정책심의위원회
  • • 2015.5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최우수연구상 수상(임차시장 구조변화에 따른 맞춤형 주거안정 제고방안 연구)
  • • 2018.6 국토연구원장 우수연구상 수상(1인 청년가구를 위한 주거복지 정책 방향)
  • • 2019.6 국토연구원장 우수연구상 수상(교통비용을 고려한 주거부담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 • 2019.6 국토연구원장 우수연구상 수상(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방안 연구)
  • • 2020.6 국토연구원장 우수연구상 수상(주거권 실현을 위한 중앙과 지방의 역할분담 방안)

연구보고서

  • • 「오스트리아 주거정책 심층 사례 연구」 2023.12.(연구책임)
  • • 「싱가포르 주거정책 심층 사례 연구」. 2022.12.(연구책임)
  • • 2030 미혼 청년의 주거여건과 주거인식. 2022.12.국토이슈리포트(연구책임)
  • • 「청년가구 다양성을 고려한 주거여건 변화와 정책 시사점」.2022.6.(연구책임)
  • •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주거정책 분석 및 제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22.3.(연구책임)
  •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거위기가구 진단 및 대응전략」. 2021.12(연구책임)
  •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택 그린리모델링 추진방안」」. 2021.12(연구책임)
  • • 「1인가구 연령대별 주거취약성 보완 방안」. 국토연구원 워킹페이퍼 2021.(연구책임).
  • • 「초고령 사회 도래에 따른 지원주택 정책방향과 사업모델 개발」. LH. 2021. (연구책임)
  • • 「임차가구 주거입지 분석을 통한 주거비·교통비 경감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세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 (연구책임)
  • • 「중남미 도시지역 저렴주택 공급 및 민간참여 방안 연구」(Local Housing Solutions and Private Sector Involvement: Korean Experiences for LAC Cities,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2020. (연구책임)
  • • ‘주거지원 정책과 저출산(저출산 시대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 재검토)‘ , 「저출산에 대응한 통합적 정책방안」, KDI, 경사연 보고서. 2020. (부문책임)
  • • 「주거권 실현을 위한 중앙과 지방의 역할분담 방안」. 국토연구원, 2019 (연구책임)
  • •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기획 및 분석)」. 국토교통부, 2018
  • • 「교통비용을 고려한 주거부담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8 (연구책임)
  • • 「공공임대주택 대기자 명부 도입 및 유형 통합 방안」. 2018 (연구책임)
  • • 「신혼부부 주거지원 강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단독, 연구책임)
  • •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책임)
  • • 「1인 청년가구를 위한 주거복지 정책 방향」. 국토연구원 (연구책임)
  • • 「Lessons from Korea: Recommendations for Rental Housing Policy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연구책임)
  • • 「해비타트 III 의제(New Urban Agenda) 이행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2017
  • • 「지역별 주거복지 현황 평가 연구」. 국토교통부, 2017
  • • 「빅데이터 시대의 국토정책 추진 방향」. 국토연구원., 2017
  • • 「해비타트III와 한국 도시정책에의 시사점」, 국토연구원, 2017
  • • 「중남미 도시개발 현황 및 여건 분석에 따른 개발협력 사업 발굴 및 추진방향 수립 연구」, 국토연구원, 2016
  • • 「Geography of private rental market in Korea」, 국토연구원, 2015 (단독, 연구책임)
  • • 「주거급여 개편제도 평가체계 구축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2015
  • • 「공유경제 기반의 도시공간 활용 제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5
  • • 「임차시장 구조변화에 따른 맞춤형 주거안정 제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5 (연구책임)
  • • 「사회경제변화에 따른 주거비용 산정방법 및 변화 분석」, 국토연구원, 2014
  • • 「주택바우처 사업설계 연구」, 국토교통부, 2014
  • • 「2013년도 주거실태조사」, 국토교통부·국토연구원, 2014
  • • A Primer on the Korean Planning and Policy: Housing Policy, PKPP 2013-07, KRIHS (단독, 연구책임)
  • • ‘자가소유 촉진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 「부동산 정책의 과제와 정책방안」, 국토연구원, 2013, (부문 책임)
  • • 「사회적 경제조직에 의한 주택공급 방안」, 국토연구원, 2013
  • •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정책의 평가와 향후 정책방향 연구: 2008년 이후의 정책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12
  • • 「서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주거지원서비스 체계 구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부문 책임)
  • • 「주택바우처 모델구축 연구」, 국토해양부, 2010 등

주요논문 및 저서

  • <학술논문>
  • • 박미선, 2023. ‘주거권 실현수단으로써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발전 경로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찰’. 「공간과 사회」. 한국공간환경학회. 제33권 제1호(통권 83호), pp.11-47. (단독저자)
  • • 박미선, 2020. ‘포용주택 공급을 통한 사회적 혼합 가능성 탐색: 미국의 포용주택 제도를 중심으로’ 「지역연구」, 한국지역학회지, 제36권제4호. pp.43-56. (단독저자)
  • • 박미선. 2020. ‘’주거복지정책 지방화의 가능성과 한계: 광역지방자치단체의 특화사업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한국주택학회지, 제28권제4호, pp.5-43. (교신저자)
  • • 박미선. 2017.12.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한국공간환경학회 제27권 4호, pp.110-140. (단독저자)
  • • 박미선, 2016.12. ‘유엔 해비타트III 새로운 도시의제의 기조에 비추어 본 한국 주택정책의 성과와 과제,’ 「공간과 사회」 한국공간환경학회 제26권 4호, pp.40-76. (단독저자)
  • • 박미선, 2015.5. ‘미국 주택바우처 프로그램 부정수급 특성 및 시사점,’ 「주택연구」 한국주택학회 제23권 2호, pp.79~101. (단독저자)
  • • Miseon Park, 2013.9. ‘Housing vouchers as a means of poverty deconcentration and race desegregation: Patterns and factors of voucher recipients’ spatial concentration in Cleveland,’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28(3), 451~468 (DOI 10.1007/s10901-012-9319-0) (SSCI)
  • • 박미선, 2013.9. ‘주택 점유형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시대적 변화 연구: 1990년 ~ 2010년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26권 제2호, pp.291-314. 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pp.291~314. (단독저자)
  • • 박미선. 2012.6. ‘미국 주택바우처 프로그램의 저소득층 주거안정 성과와 정책적 시사점’, 「도시행정학보」, 제5권 제2호, pp.121~154. (단독저자)
  • • Miseon Park, 2010.6. ‘Social Mix Policy: Lessons from Experiences in the United States,’ 「주택연구」 제18권 제3호, pp.119~148. (단독저자)
  • <저서 및 역서>
  • • 박미선 외 번역. 2023. 「미국의 주거정책」. Housing Policy in the United States.
  • • 박미선. 2022. ‘함께 거주할 수는 없는가: 공공 임대 주택을 둘러싼 혐오와 차별’.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왜 문화다양성인가」. 유네스코. 도서출판 컬처룩.
  • • 박미선. 2021. ‘빅데이터와 주택정책’. 「도시주택정책의 이해」. 대학국토·도시계획학회.
  • • 박미선. 2021. ‘감염병 시대, 당신의 거처는 안전한가?’. 「코로나19와 국토전환」 . 국토연구원.
  • • 박미선. 2020. ‘미국의 포용적 지역지구제와 포용주택 공급을 통한 사회통합 시도’. 「주거복지 해외에 길을 묻다」, 주거복지포럼
  • • Miseon Park, 2016.10. Book Chapter in Naoyuki Yoshino and Matthias Helble, Editors. (2016). [The Housing Challenge in Emerging Asia: Options and Solutions]. Asia Development Bank Institute. Tokyo, Japan. (ISBN 978-4-89974-065-0 (print)). Chapter 3. Housing Poli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Kyung-Hwan Kim and Miseon Park. pp.92-125.
  • • 박미선, 2012, ‘주택바우처 프로그램’, 하성규 외 공저, 「한국주거복지정책: 과제와 전망」, 박영사 (제14장 주택바우처 프로그램)
  • • Kyung-Hwan Kim & Miseon Park, 2016, ‘Evolution of Housing Poli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Housing Policies for Emerging Asia」, Asia Development Bank Institute. ADBI Working Paper Series No.570. Tokyo: Japan.
  • • Miseon Park. 2017. Public Policies Towards Affordable Housing in Korea. Unpublished material, Paper prepared for the OECD Housing Dynamics in Korea project. (OECD 2018. 「Housing Dynamics in Korea: Building Inclusive and Smart Cities」. OECD. OECD Publishing Paris. http://dx.doi.org/10.1787/9789264298880-en. ISBN 978-92-64-29886-6 (print))
  • • Miseon Park. 「Developing a Location Affordability Index in Korea that Incorporates Transportation Costs」. Special Report. Vol.46. KRIHS. 2019
  • • Miseon Park. 「Housing support for Young Generation in Korea Responding to Socioeconomic Changes」, Special Report. Vol.39. KRIHS. 2017
  • • Miseon Park. 「Geography of Private Rental Market in Korea」. Special Report. Vol.. KRIHS. 2015
  • <비학술 논문 및 원고>
  • • 2024.2. 청년주거 취약의 다면성과 정책 과제. 「주거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제언들」. 한국주거복지포럼 총서4.
  • • 2023.9. 1인가구의 연령대별 주거취약성, 다면성과 사회적 고민. 「서울복지매거진」 통권89호.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 • 2023.4. 1인가구 연령대별 주거여건 변화와 시사점. 「Land & Housing Insight」 통권49호.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2022.6. 사회변화에 대응한 새 정부 주거정책 방향 제언. 「부동산포커스」 통권121호. 한국부동산원.
  • • 2023.9. 1인가구의 연령대별 주거취약성, 다면성과 사회적 고민. 「서울복지매거진」 통권89호.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 • 2021.8. 얼어붙은 이행기, 청년 주거불안 양상과 정책 시사점. 「경사연리포트」 통권35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 2021.7. 주거정책 실현의 주체, 지방정부의 중요성과 역할. 「부산복지이슈공감」 vol.13. 부산복지개발원.
  • • 2021.7. 예방과 치유, 투 트랙 접근 필요한 청년의 주거문제. 「공공정책」 vol.189. pp.23-26. 한국자치학회 공공정책연구원.
  • • 2021.6. 위기가 상존하는 시대의 주거정책 사각지대와 정책 방향 제언. 「지방자치 이슈와 포럼」. vol.37. pp.32-4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 2021.5. 최근 해외의 주거정책 전환양상과 시사점. 해외리포트 「국토」. 제475호. pp.102-107. 국토연구원.
  • • 2021.4.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거위기의 특성과 주거정책 재구조화 방향. 「부동산포커스」. 한국부동산원 출범기념 특집호.
  • • 2021. 1인가구 주거컨퍼런스에 들어가며: 총론발표 1인가구 증가와 주거정책. 서울하우징랩 기고. 주거컨퍼런스
  • • 2020.8.18. 지방분권 시대의 주거권 실현을 위한 중앙과 지방의 역할 분담 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 • 2020.5.25.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상시 위기 시대, 1인가구 주거불안 양상과 주거정책 시사점. 「국토이슈리포트」. 국토연구원
  • • 2020.2.3. 연령대별·성별 1인가구 증가 양상과 주거특성에 따른 정책 대응 방향.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 • 2019.2.11. ‘교통비용을 고려한 주거부담 수준 측정 및 정책 활용 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 • 2018.5.31. ‘1인 청년가구 주거불안정 양상과 주거복지 정책방안’. 「부동산포커스」. Vol.112. 한국감정원.(단독)
  • • 2018.5.21.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 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 • 2018.4.30. ‘주거사다리 강화를 위한 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단독)
  • • 2017.10. ‘청년의 주거지원 필요성과 정책지원 방향’. 「국토」 10월호 특집원고. pp.26-32. 국토연구원. 세종(단독)
  • • 2017.09. ‘영국의 HMO 주택임대 운영 사례와 시사점’. 「국토」 9월호 해외리포트. pp.85-92. 국토연구원. 세종(단독)
  • • 2017.08.21. ‘1인 청년가구 주거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 • 2016. 10. ‘Habitat III and Housing Pathways in Korea’, [Space and Environment]. Special Edition. Vol. 67. pp.44-53. (단독)
  • • 2015. ‘Changing Landscape of Private Rental Market in Korea’, 「Space & Environment」, Vol.62. (Quarterly Magazine), KRIHS (단독)
  • • 2015. ‘세상을 바꾼 정책1: 국민의 90%에게 주택을 공급하다-싱가포르의 주택정책’, 「미래정책 포커스」, 경제인문사회연구회(단독)
  • • 2014. ‘주택임차시장 구조변화에 따른 맞춤형 주거안정 제고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 • 2014. ‘주거급여제도의 확대 개편과 향후 과제-임차가구 주거급여를 중심으로-’,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공동)
  • • 2014. ‘싱가포르 주택정책의 전개와 중앙연금기금의 역할’, 「주택금융월보」, 한국주택금융공사, pp.4~19.(단독)
  • • 2014. ‘해외 주거비 보조 제도: 미국의 주택바우처 프로그램의 도입, 운영 및 시사점’ 「주거」, 한국주거학회, pp.1~16(단독)
  • • 2014. ‘미국의 주택바우처’ 「도시와 빈곤」, 한국도시연구소, pp.87~106.(단독)
  • • 2014. ‘임차시장 선진화 방안’. 「주택저널」(단독)
  • • 2013. ‘싱가포르 주택정책과 자가소유 지원정책의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제445호, 국토연구원 (공동)
  • • 2013. ‘미국 커뮤니티 개발기구(CDCs)의 저소득층 주택공급 활동과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제441호, 국토연구원(단독)
  • • 2013. ‘미국 주택바우처 프로그램의 성과와 정책적 시사점’ 「부동산포커스」, 한국감정원, pp.61~77(단독).
  • • 2013. ‘영국의 주택부문 계획체계 및 주거비 보조제도 변화’ 「국토」, 국토연구원, pp.51~57.(단독)
  • • 2012. ‘금융위기와 유럽 국가의 주택금융정책’. 「국토정책 Brief」, 제358호, 국토연구원
  • • 2011. ‘미국 연방주택청의 주택전략계획 2010~2015’ 「국토」, 국토연구원, pp.92~99.(단독)
  • • 2011. ‘영국의 공정임대료 제도와 시사점’ 「국토」, 국토연구원, pp.95~101.(단독)
  • <세미나 발표>
  • • 2024.2.23. 싱가포르 고령화와 노인 주거지원 정책 수단. 웰주거서비스 포럼.
  • • 2024.2.2. 저출산과 주거정책 이슈. 국회의장 주최 주거정책 라운드 테이블 발표.
  • • 2023.11.16. 싱가포르의 노인 주거지원 정책. 2023 고령사회 커뮤니티 정책포럼. 초고령사회, 베이비부머 세대의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말하다.
  • • 2023.6.20. 노인주거정책 이대로 좋은가, 기조 강연. 제2회 주거복지 미래포럼.
  • • 2023.11.16.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최. 싱가포르 노인주거지원 정책 사례 발표.
  • • 2023.3.24. 노인 주거여건과 주거권 보장. 제10차 노인인권포럼. 국가인권위원회·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주최.
  • • 2022.11.21. 주거압력의 지역격차와 정책 함의. 제4회 주거복지미래포럼.
  • • 2022.11.15. 사회 변화에 대응한 청년 주거정책 방향. 「2022 대한민국 인구포럼 in 대구」. 보건복지부·대구CBS·포항CBS 주최.
  • • 2022.10.26. 청년가구 구성별 주거여건 변화와 시사점. 기조발표. 부산광역시 부산 청년정책 워크숍.
  • • 2022.8.11. 위기의 상시화 시대, 주거정책의 갈길: 코로나 이후 주거위기가구 진단 및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유쾌한 공동체 토론회.
  • • 2022.3.23. 주거정책과 지방분권: 주거권 측면에서 본 지역의 주거문제 압력과 대응양상 및 지방정부의 역할. 충남연구원 주거종합계획 전문가 워크숍.
  • • 2022.3.4. 청년가구 주거여건 다양성과 정책방향.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주최. 청년주거정책 간담회.
  • • 2022.2.25. 청년주거 실태의 다양성과 정책방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주최.
  • • 2021.6.23. ‘지원주택 수요분석’. 보건복지부 주최. 서비스연계주택 세미나. 서울.
  • • 2021.6.10. ‘1인가구 증가와 주거정책’. 서울하우징포럼 1인가구 컨퍼런스 기조강연. 서울.
  • • 2021.6.4. ‘통계로 보는 코로나 시대 주거위기’.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센터장 현안 간담회. 주제발표. 서울.
  • • 2021.4.13. ‘1인가구와 주거정책’. 서울대 관악모둠 특강 발표.
  • • 2021.2.24. ‘한국 주거정책의 길’. 주거정책연구센터 설립 기념 세미나. 발표자료. 국토연구원.
  • • 2020.12.21. ‘수도권 주거복지수준 향상을 위한 대도시권 광역교통의 역할: 교통비를 포함한 주거비부담 수준 분석’.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국토연구원 정책연구협의회 발표. 세종. 국토연구원.
  • • 2020.12.11. ‘주택과 서비스 결합모델 추진방안’,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발표. 서울.
  • • 2020.12.1. ‘지표를 통해 본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가구의 주거 실태와 특징’ 제36회 청소년정책포럼. 발표.
  • • 2020.11.. ‘City X Innovation’. Innovation and Development. KDI Global Forum on Development Cooperation. Lotte Hotel. Seoul.
  • • 2020.11. ‘주거와 서비스의 결합 가능성 탐색’ LH-국토연구원 주관 세미나 발표. 서울.
  • • 2020.10. ‘주거정책과 지방분권’. 한국지역개발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 서울.
  • • 2020.7.22. ‘주거권 측면에서 본 지역별 주거복지 압력 차이와 대응 양상’, 지역불평등 바로보기 세미나. 세종. 국토연구원.
  • • 2019.8.29. ‘Housing Finance System and Public Rental Housing in Korea’, International Housing Forum, Brasilia, Brazil, Inter-America Development Bank.
  • • 2019. 6.11. ‘Housing Solutions and Investment, Lessons from Korea: Policy Recommendations for Rental Housing Policy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Santo Domingo, Dominican Republic, Inter-America Development Bank, Korea Trust Fund Workshop.
  • • 2018.12.14. ‘Precarious housing pathways of young adults in Korea’. 9th East Asian Regional Conference in Alternative Geography (EARCAG) conference presentation. Daegu, Korea.
  • • 2018.7.6. ‘청년 주거불안 양상과 정책지원 방안’. 2018년 제1차 인구포럼. 「저출산 고령사회 동상이몽과 공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최. 서울.
  • • 2018.6.27. ‘Young-single as emerging housing precariat in Korea’. European Network for Housing Research (ENHR) conference presentation. Uppsala, Sweden.
  • • 2018.5.18.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거지원 정책방안’. 한국주택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발표.
  • • 2018.5.17. ‘Meeting with UN 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 Presentation on explaining achievement and limitations of housing policy in Korea for UN 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 Sejong. Korea.
  • • 2018.5.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방안’. 「변화의 시기에 대응한 주택정책 세미나」. 국토연구원 주최. 서울.
  • • 2017.11.2. ‘1인 청년가구 주거불안정 개선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 「주거 안정을 위한 부동산정책 추진방향」. 국토연구원 개원 39주년 기념 세미나. 서울 페럼타워.
  • • 2017.9.19. “Evolution of Housing Policy in Korea”. KRIHS-OECD Colloquium. KRIHS, Sejong, Korea.
  • • 2016.10.17. Habitat III, Side Event Presentation. “Affordable and adequate housing in Korea: H III and housing pathway”. Quito, Ecuador. Side Event: How do you tackle urban informality? Comparing strategies in South Korea and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LAC).
  • • 2016.7. “The Korean Experience in Rental Housing Policy”, Rental Housing Seminar Presentation. Mexico City, Mexico.
  • • 2016.5. “Evolution of Housing Policy and Market in Korea”, Korea-Inter America Bank Urban Development Academy Workshop Presentation, Seoul, Korea.
  • • 2016.5. “Housing Welfare Policy for Low-income Households”, Korea-Inter America Bank Urban Development Academy Workshop Presentation, Seoul, Korea.
  • • 2015.11. “Changes and Challenges of Housing Policy in Korea”, KRIHS-WB Workshop Presentation. Washington, D.C., USA.
  • • 2015.12. “Evolution and Evaluation of Housing Policy in Korea”, KRIHS-IDB Workshop Presentation. Washington, D.C., USA.
  • • 2015.4.8. ‘거주성 제고를 위한 임차시장 정책방안’, 「국토의 미래와 도시의 경쟁력」 2015년 국토연구원 정책세미나.
  • • 2014.12.17. ‘Housing Policy in the Republic of Korea’. ADB-ADBI Brainstorming Workshop: Housing Policies for Emerging Asia. 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 Tokyo, Japan.
  • • 2014.12.19. ‘전월세시장 변화와 정책과제’, 「서민임차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세미나」. 국토연구원.
  • • 2012.8. ‘주택 점유형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시대적 변화 연구: 1990년~2010년을 중심으로’, 통계청, 인구주택 및 농림어업총조사 마이크로 자료 활용 논문 발표대회 논문발표(2012.8.30.).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