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지도로 보는 우리 국토 49] 연도별 청년인구 비율 변화와 대학 졸업자의 직장이동

  • 작성자
  • 조회수1409

[지도로 보는 우리 국토 49] 연도별 청년인구 비율 변화와 대학 졸업자의 직장이동 2 - 자세한 내용은 하단 참조

국토 2023년 1월호(통권 495호)
지도로 보는 우리 국토 49
국토연구원 KRIHS
연도별 청년인구 비율 변화와 대학 졸업자의 직장이동
카토그램으로 보는 연도별 청년인구 비율
•1966년 이후 청년인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은 지속적으로 강화됨
•2000년 이후에는 모든 지역에서 전체인구 중 청년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지고 있음
1966년,1980년,2000년,2020년
청년인구는 통계청 인구총조사(전수부문 시군구 단위에서 제공하는 ~34세를 대상으로 함
자료: [균형발전 모니터빌&이슈Briel] 청년의 지역이동과 정착, 60, 80, 세층 국토연구원
광역권별 대학 졸업자의 직장이동
• 지방 대학을 졸업하고 수도권에서 첫 직장을 잡는 대출자 비율은 19.4%로 높은 반면, 수도권 대학을 졸업하고 지방에서 첫 직장을 잡는 비율은 2.5%로 제한적임.
•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직하는 비율은 5.0%,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이직하는 비율은 6.8%로 취업자의 수도권과 지방간 이동의 폭은 크지 않음
표1 2009년 대학 졸업자의 수도권 지방 첫 직장동
대학소재지 첫 직장 취업자수(명) 비율(%)
수도권 수도권 1,067 40.4
지방 수도권 513 19.4
수도권 지방 67 25
지방 지방 513 19.4
전체 2,644 100,0
표2 20년 대학 졸업자의 수도권 지방직함이봄
대학소재지 첫 직장 취업자수(명) 비율(%)
수도권 수도권 1,448 54.8
지방 수도권 181 6.8
수도권 지방 132 5.0
지방 지방 883 33.4
전체 2,644 100.0
*총 설문대상지는 18,271명이며, 첫 직장과 현직장이 모두 있는 대흥지는 2644명임
※2011년 대출자 직업 이동경로 조사한국고용정보원, 2022)를 바탕으로 작성
작성: 국토연구원 신연구원 부연구위원(hsshin@krihs.re.kr), 이차의 부연구위원(cha0324@krihs.re.kr), 심혜민 연구원(simhm@krihs.re.kr)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지도로 보는 우리 국토 49] 연도별 청년인구 비율 변화와 대학 졸업자의 직장이동.PDF (1.21MB / 다운로드 635회) 다운로드
  • jpg 첨부파일 [지도로 보는 우리 국토 49] 연도별 청년인구 비율 변화와 대학 졸업자의 직장이동.jpg (2.69MB / 다운로드 179회) 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