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슈리포트 (2021.2.10)
프랑스 파리의 주택정책 변화와 시사점 ‘임대차시장 안정과 모두를 위한 주택공급’ |
이수진 프랑스 낭트대학교 박사, 박천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요약| |
■ 프랑스 행정구역과 지역 맞춤형 정책을 위한 지역구분 ◦ 프랑스의 행정구역은 코뮌(commune), 코뮌연합(intercommunalité), 데파르트망(département), 레지옹(région) 4단계 체계를 갖춤 ◦ 프랑스는 지역 맞춤형 주택정책 수행을 위해 ABC지구, I·Ⅱ·Ⅲ지구를 설정하고, 지구별 특성에 맞게 임대차시장 정책, 금융 및 세제 정책 등을 수행 ■ (파리시 주택정책) 임대차시장 안정과 모두를 위한 주택공급 ◦ 파리시는 2025년까지 복지주택(logement social, 공공임대주택과 유사) 비율 25% 달성 약속 ◦ 파리시는 공공부동산기업을 설립하여 중산층을 위한 시세보다 저렴한 중간임대료 주택 등을 공급 ◦ 임대료 제한조치(주택 임대료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정한 조치)를 법 정비 후 재실시 ◦ 에어비앤비(airbnb) 연간 활동 일수를 축소하는 등 주택 임대차시장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 ■ 우리나라 주택정책에 주는 시사점 ① 지역 맞춤형 정책 시행을 위한 지역구분의 다양화를 통한 주택정책 효과성 증대 ② 공공주택의 입주대상 계층 확대 및 품질 개선과 부담 가능한 주택의 지속 공급, 친환경·소셜믹스(Social Mix)* 실현을 위한 주거단지 개발 ③ 임대차시장 관련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정책 지원 활동 수행과 정보 공유를 통한 시장 투명성 제고 |
-
국토이슈리포트 35호.pdf (0Byte / 다운로드:273)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