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슈리포트 (2020.12.31) 빅데이터로 살펴본 코로나19의 기록 (3) - 한국의 비대면 산업 - |
안요셉 국토데이터랩 인턴, 장요한 국토데이터랩 팀장, 박서현 국토데이터랩 연구원
|요약| |
■ 한국의 비대면 산업과 코로나19 ◦ 비대면 산업은 코로나19로 촉발된 뉴노멀(New Normal) 환경 변화 적응에 중추적인 역할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관련 서비스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기존의 생활방식 전반이 디지털 기술 기반 비대면 사회 전환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 ■ 비대면 사회 전환에 따라 변화하는 산업수요의 흐름 ◦ 벤처인(VENTURE-IN) 벤처기업 등록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로나19 전후 비대면 산업 중심의 변화를 분석 ◦ 최근 3년간 등록된 벤처기업 업종명을 기준으로 ‘비대면 집중형’, ‘비대면 지원형’, ‘대면 산업형’으로 구분 후 심층 분석 ◦ 2019년에는 2018년 대비 ‘비대면 지원형’ 산업군의 신규 등록이 두드러졌지만, 2020년에는 ‘비대면 집중형’ 산업군의 등록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을 확인 ■ 비수도권 지역의 비대면 산업 벤처기업 등록 증가 ◦ 전국적으로 광역시도 중심 도심지 외곽으로 비대면 산업 벤처기업이 확산됨 ◦ 서울지역의 비대면 산업 벤처기업은 2019년 대비 2020년에도 유사하지만, 공간적으로는 경기도와 인접 행정구역으로 확장됨을 확인 ◦ 코로나19 이후 활성화된 재택근무 등의 변화도 업무 형태와 업종의 지리적 입지 선정 변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됨 ■ 시사점 ◦ 지속가능한 비대면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 ◦ 개인정보 등 분석기술 진화에 따른 데이터 보안 기술 강화 필요 ◦ 안정적인 정부 재원 및 추진력 확보와 비대면 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적절한 산업표준지침 마련이 필요 |
-
국토이슈리포트 31호.pdf (0Byte / 다운로드:414)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