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제조업 수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경제의 중추기반시설이므로 최근 새롭게 국제질서로 자리 잡고 있는 탄소중립과 RE100에 대한 보다 적극적 대응이 필요
◦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에너지 소비량은 국가전체의 53.5%, 전체 산업부문의 83.1%를 차지하고 있으며, 석유(51.4%)와 석탄(23.7%)을 대부분 소비하고 있어 화석연료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
◦ 파리기후협약을 비롯해 RE100,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등 산업부문의 기후변화 관련 탄소규제가 새로운 글로벌 질서로 재편 중이므로 우리나라 산업단지도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
■ 중국, 영국, 미국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탄소중립과 RE100에 대응하기 위한 관련 정책과 사업이 진행 중
◦ 쑤저우경제특구는 2014년 탈탄소를 위해 목표책임평가 시스템을 도입한 후 주요 석탄소비기업들과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수립하고 사업계약 관련 재정을 지원하기 시작
◦ 영국은 산업클러스터를 중심으로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2030년까지 5GW의 수소생산과 10Mt의 탄소포집을 계획 중이며, 미국도 수소를 활용하여 산업클러스터의 탈탄소화를 추진 중
◦ 우리나라는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제도를 도입, 탄소배출 25% 절감을 목표로 추진 중
■ 각국의 탄소중립 산업클러스터 모델은 공통적으로 ① 기업과 시설 간의 자원 순환, ② 탄소포집 및 이용(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③ 그린수소 인프라 구축과 발전, ④ 스마트 그리드 조성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
■ 일반 산업용지와 RE100 산업용지를 구분하고, 탄소포집이 가능한 LNG 연료전지와 지붕태양광을 활용해 맞춤형 에너지를 공급하는 친환경에너지 복합 콤플렉스(가칭 그린이노파크) 도입 필요
◦ 발전효율이 높은 LNG 연료전지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탄소포집을 통해 탄소배출을 절감
◦ 일반 산업용지의 지붕태양광과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을 활용, RE100 산업용지에서 필요로 하는 친환경에너지 공급
◦ 포집된 탄소는 산업소재로 재생하거나 인근 스마트팜에 시비하여 자원의 순환 달성
■ 탄소중립과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시사점
① 자원 순환과 친환경에너지 공급을 위한 입지규제 완화, ② 탄소배출 절감과 RE100 요구 기업에 대한 맞춤형 개발, ③ 개별 제조기업의 생산시설을 친환경에너지로 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