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도시공간정책 개선방안
신서경 부연구위원, 손재선 부연구위원, 이다예 부연구위원
● 우리나라 도시공간정책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기울여온 정책적 노력을 되짚고 해외사례 고찰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추진과제를 제시
● 국내 현황을 검토한 결과, 중앙정부는 지자체 도시계획·제도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방안 이행을 ‘권고’하는 데 그쳤고, 도시공간정책 또한 의무적 온실가스 감축이행 미흡
● 국내 여건과 유사한 해외 도시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도시공간정책 추진 중
- (도시계획·제도) 도시의 물리적 확장을 감안한 도시성장 관련 법률에 따라 도시계획과 토지이용계획 수립, 도심과 외곽의 개발사업 관리에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하는 정책기조 구현
- (공간사업) 도시개발·정비사업계획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이터 기반의 최적 입지 검토 플랫폼 제공, 도시재정비정책에 온실가스 감축목표 반영과 사업추진 지원
- (정책 사후 관리) 도시계획에 활용 가능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체계를 마련하고 계획에 의거하여 추진하는 사업과 제도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관리하는 데이터 기반 관리 시스템 구축
정책방안 |
① 도시 외곽의 토지이용과 관련하여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결정하는 지구지정단계 등 도시계획의 의사결정제도와 심의기준 개선 - 국가의 공급정책과 지자체 도시계획 간 정합성 확보를 위해 의제처리기준 개선, 시가화 조정구역 관리기준 강화, 시가화예정구역 산정 시 온실가스 발생 영향을 반영하는 방식 마련 ② 도시계획의 구체적 온실가스 감축방안 적용을 위해 탄소중립·녹색성장계획과 정합성 확보 - 도시계획과 탄소중립·녹색성장계획의 수송·건물(토지이용)·에너지(기반시설) 분야 간 제도를 활용한 연계집행 추진 ③ 도시개발·재정비사업의 온실가스 감축방안 적용 및 평가기준 강화와 아울러 평가지원체계 마련 ④ 온실가스 감축방안의 효과를 관리·검증하는 도시공간정책 사후 관리체계 구축 |
-
국토정책Brief 919호.pdf (643.83KB / 다운로드:2,922)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