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도시·인프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성과관리 개선방안
이천재 부연구위원, 하태훈 연구원, 김민지 전문연구원
● 국토·도시·인프라부문 개발협력사업은 특성상 사업성과 측정이 어렵거나 애매하고, 사업관련 기초자료 데이터 및 활용 가능한 통계 데이터 부족
● 국토·도시·인프라부문 개발협력사업 수행기관 간에는 ‘성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
- 수행기관의 사업방식에 따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계 및 달성, 수원국 정부 수요 반영, 해외 건설사업 수주와의 ‘연계성’ 여부 등을 성과로 인식
● 국토·도시·인프라부문 개발협력사업은 주로 단기에 성과를 달성하기 쉬운 사업이 중심이기 때문에 성과관리체계의 통합 구축에 한계
● 국토·도시·인프라부문 개발협력사업 성과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부문별, 지역별 전문성 및 개발협력사업 평가 경험을 갖춘 인력 및 예산 확보에 어려움 발생
개선방안 |
① 국토·도시·인프라부문 개발협력사업의 기획, 발굴 및 추진 단계에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향상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한 데이터 품질관리체계 구축을 제안 ② 국토·도시·인프라부문 개발협력사업 및 사업성과의 특징을 반영한 국토·도시·인프라 주제 가이드라인, 성과관리 매뉴얼, 성과지표 수립을 제안
③ ‘성과관리 전담기관’ 지정 및 운영을 통해 국토·도시·인프라부문 개발협력사업 성과관리의 공정성과 독립성, 전문성 확보 및 통합적 성과관리체계의 구축을 제안 ④ 국토·도시·인프라부문 개발협력사업 수행기관의 성과관리 역량 강화 및 지원 필요 - 다만, 줄세우기 식의 하향식 평가방식과 인센티브 및 패널티 중심의 정책은 지양하고, 개발협력사업의 성공사례 공유 및 실패사례 원인 분석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 |
-
국토정책Brief 912호.pdf (362.96KB / 다운로드:963)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