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슈리포트) 전국 22만 6,829건의 뉴스기사로 사회의 코로나19 관심 흐름 파악, 코로나19로 유동인구의 빈익빈부익부 현상 발생
- 작성일2020-04-24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4,778
“전국 22만 6,829건의 뉴스기사로 사회의 코로나19 관심 흐름 파악, 코로나19로 유동인구의 빈익빈부익부 현상 발생” - 국토硏, 국토이슈리포트 『빅데이터로 살펴본 코로나19의 기록(1)』 - |
□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은 국토이슈리포트 제16호 『빅데이터로 살펴본 코로나19의 기록(1)』을 통해 국내 코로나19 전파 이후 긴박했던 최근 3개월의 흔적들을 그간 보도된 뉴스기록과 휴대전화 기반의 유동인구 등 빅데이터를 통해 되돌아보고, 데이터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이슈와 국민 체감도 등을 분석했다.
◦ 특히, 대전시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지역에서의 코로나19 관련 시민의 행태 변화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했다.
□ 전국 54개 언론매체에서 보도된 22만 6,829건(2020.1.1~2020.4.6)의 코로나19 관련 뉴스기사를 분석한 결과, 초기 ‘국제’ 뉴스로 보도되던 것이 점차 ‘지역’, ‘사회’ 뉴스로 이동, 골든크로스를 기점으로는 ‘경제’ 뉴스로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 골든크로스 : 코로나19 회복자 수가 확진자 수보다 많아진 시점
◦ 감염병 위기경보가‘경계’로 격상된 날(2020.1.27) 전·후로 뉴스보도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다, 감염병 위기경보가‘심각’으로 격상된 날(2020.2.23) 최다 뉴스기사가 보도됐다.
◦ ‘마스크’관련 뉴스기사가 기타 ‘코로나19’,‘병원·진료소’등 관련 뉴스기사보다 일찍 ‘지역’뉴스로 이동·확대된 것은 코로나19 전염확산과 관련하여 개인의 위생에 대한 시민들의 염려와 대응이 더 일찍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 골든크로스를 기점으로 코로나19 확산이 어느 정도 진정기에 접어들며,‘마스크’ 관련 뉴스는 줄어든 대신, 국가․지역 경제를 우려하는 뉴스가 증가했다.
□ 한편, 대전시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발생 전·후의 유동인구를 분석한 결과, 2019년 대비 2020년 2월은 평균 –6.23%, 많게는 –66.04% 감소했고, 3월에는 평균 –16.46%, 많게는 –84.89%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월보다 3월의 유동인구 감소가 더욱 두드러졌던 것으로 나타났고, 평일보다 주말의 유동인구 감소율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 연령별로는 20세 미만의 유동인구 감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50대는 일일변화율 대비 저녁 및 심야시간대(19시~05시) 감소율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 2월 하순부터 급격한 유동인구 감소추세를 보이다 3월 초순 최저점을 찍고 3월 중순 이후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아래 그래프 참조).
◦ 2018~2020년의 3개년도의 1~3월 대전시 전역의 일평균 유동인구 변화추이를 비교하면, 올해 3월 1일경 최저 유동인구를 기록한 후 상승패턴으로 돌아섰음이 확인됐는데, 코로나19 장기화 추세로 인해 시민의 경계심이 무뎌지거나 느슨해짐을 데이터로 추정 가능하다.
<2018~2020년 1월~3월의 대전시 일평균 유동인구 변화추이>

□ 유동인구의 전반적 감소추세에도 불구하고, 드라이브 스루 벚꽃길과 벚꽃명소, 외곽지역 산책로 및 체육공원 등 부분적으로 유동인구 증가 지역이 나타났다.
◦ 신천지 집단감염, 대전시 확진자 발생 전(2020.2.17)과 4주후 (2920.3.16)의 유동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 도심지역은 여전한 유동인구 감소를 나타내는 반면,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유동인구가 증가했다(<첨부 1> 참조).
◦ 이는 길어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외부활동 자제 등 자발적 사회적 거리두기의 답답함이 데이터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장요한 국토빅데이터팀장과 연구진은 코로나19 전파로 인한 사회의식과 국민체감도 변화를 빅데이터를 통해 다방면으로 확인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 이를 통해 ▲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 및 모니터링을 통해 사회적 이슈에 대한 현안 및 관심도 변화를 파악하고, 국민의 체감을 반영한 선제적 정책방안 발굴 필요, ▲유동인구 데이터를 통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에 대한 효과 및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감염병 대책 매뉴얼 등에 반영하고, 관련 정책 시행의 시점을 검토하는 데 활용, ▲ 유동인구가 급감된 지역 주변의 소상공인 파악과 신용카드 매출 등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지원이 필요한 정책적 관심지역 도출 및 재난지원금 산정 등에 활용 가능 등의 정책방안을 제안했다.
[첨부 1] 대전시 2020년 2월 17일 대비 4주 후(2020. 3. 16) 유동인구 증감지역


※ 국토이슈리포트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해결중심의 정책을 고안하기 위해 빅데이터 등 첨단기법을 국토연구에 융합하고, ‘데이터로 국민 삶과 지역의 문제를 촘촘하게 진단’하여 생활밀착형 정책연구결과를 담아낼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