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슈리포트) 스마트기술로 신속한 미세먼지 대응체계 마련 필요
- 작성일2019-12-18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6,569
스마트기술로 신속한 미세먼지 대응체계 마련 필요 - 국토硏, 국토이슈리포트 『도시의 적(敵) 미세먼지, 줄일 수 없을까?』 - |
□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박종순 연구위원등은 국토이슈리포트 제11호『I도시의 적(敵) 미세먼지, 줄일 수 없을까?』를 통해 생태적·화학적·물리적 기법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과 미세먼지 대응 도시 정책방향 등을 제안했다.
□ 미세먼지로부터 위협받고 있는 도시에서는 배출원(排出源)과 교통수요의 관리뿐만 아니라, 배출된 미세먼지를 저감할 방안에 대한 요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미세먼지 배출 억제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기 이전에 배출원을 사전에 관리하는 것으로 차량 2부제, 도심 내 자동차 진입제한 정책 등이 해당한다.
◦ 도시별로 미세먼지 배출량과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주요 배출원의 종류도 다르므로 도시별 상황을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다.
◦ 교통부문에서는 친환경 차량 이용, 배출가스 최대 저감 지역 설정 등이 필요하다.
□ 미세먼지 저감기술은 생태적·화학적·물리적 기법이 있으며, 도시 차원에서 이러한 기법을 어디에 적용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 (생태적: 식물의 흡수·흡착 능력 활용) 런던의 녹색 벽, 멕시코의 수직정원, 국내의 녹지조성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기오염 수준 저감 효과를 봤다.
◦ (화학적: 칼슘 마그네슘 아세테이트[CMA], 광촉매 등 활용) CMA는 다른 물질보다 경제적이며, 광촉매 페인트·모듈 등이 시범 적용되고 있다.
◦ (물리적: 여과, 전기집진, 원심력 집진기술 등 활용) 네덜란드의 스모그 프리 타워(Smog Free Tower) 등은 정전력을 이용, 시간당 3만㎡의 공기를 여과하고 있다.
◦ (바람길 활용) 바람길에 순응할 수 있도록 토지계획 및 지구단위계획 등을 통해 아파트의 배치를 변경한다면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일 수 있다.
□ 보고서는 가칭 ‘스마트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주민에게 고해상도 미세먼지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인공지능(AI) 기반 미세먼지 저감시설의 운영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 스마트기술로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능동적으로 관리하며, 정밀한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해 주민의 대응력을 향상시키고, 관련 행정부서 간 협력적 대응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박종순 연구위원 연구팀은 미세먼지 대응 도시 정책방향으로는 ▲단일 정책보다는 여러 대안 모색, ▲미세먼지 저감기술 시범도시에 적극 도입,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배출원·교통수요 관리뿐만 아니라 배출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물리적·화학적·생태적 기법을 도시 공간상에서 적절하게 구현할 필요가 있다.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물리적·화학적·생태적 기법의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해서 도시 차원에서 검증된 사례는 드물며, 시범도시를 선정하고 그 효과를 면밀하게 살펴봐야 한다.
◦ 도시 환경정책의 당면 과제는 미세먼지 저감이지만, 궁극적으로 친환경 녹색도시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도시민의 삶의 질 개선을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한다.
※ 국토이슈리포트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해결중심의 정책을 고안하기 위해 빅데이터 등 첨단기법을 국토연구에 융합하고, ‘데이터로 국민 삶과 지역의 문제를 촘촘하게 진단’하여 생활밀착형 정책연구결과를 담아낼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