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토정책 Brief) 사회적 배제 해소를 위한 교통포용지수 활용방안

  • 작성일2019-07-08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5,930

 국토정책 Brief (2019.7.8)

사회적 배제 해소를 위한 교통포용지수 활용방안

- 국토정책브리프 721호 -


교통 측면의 사회적 배제란 지역별 교통 서비스(제공되는 교통수단·통행비용) 등의 차이로 인해 시설물 접근이 어려워 활동 참여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한다.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배윤경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주간 국토정책 브리프 『사회적 배제 해소를 위한 교통포용지수 활용방안』에서 교통분야 사회적 배제 실증분석, 교통포용지수 지역별 순위와 활용방안 등을 제시했다. 

  ◦ 연구팀은 사회적 배제 현상과 영향요인 분석을 인프라 공급 측면에서 지역별로 도로·철도·대중교통 공급수준 차이 등과 이용자 측면에서는 시설물에 대한 접근성과 실제 활동량을 분석해 교통서비스 수준과 교통 측면의 사회적 배제 현상을 분석했다. 
    ※ 웹 크롤링(Web Crawling: 웹페이지의 내용 중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하는 기법) 방법을 사용해 교통·생활 서비스 시설물의 접근시간을 분석
  ◦ 지역별 접근성 분석을 통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도시 순으로 도시 규모가 작아질수록 교통·생활서비스 시설물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설물로의 접근시간 분석을 통해 지역 내 교통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수단 간 접근시간 차이를 통해 대중교통서비스 취약 지역을 판별했다.​


연구팀은 지역의 교통특성을 제시할 수 있는 도로 및 철도연장, 정보제공비율 등 공급 측면의 지표와 생활서비스 시설접근성, 교통시설 접근성 등 이용자 측면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표를 구성하고 교통전문가 대상설문조사를 통해 지표의 적절성과 지표간 가중치를 산정했다.​

  ◦ 교통포용지수의 지역분류에 따라 산정된 순위는 대도시에서는 서울시 지자체, 중소도시에서는 경기도가 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존 지역낙후도지수와 비교했을 때  광역시와 특별시의 순위를 비교해보면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은 지역낙후도지수와 교통포용지수 순위가 유사하나, 울산·세종의 경우 지역낙후도지수 순위에 비해 교통포용지수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

  ◦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교통포용지수 측면에서는 기본시설에 대한 접근성, 교통시설 접근성, 대중교통 노선 연장 등의 분석결과가 타 지역과 비교해 좋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배윤경 책임연구원은 교통포용지수의 정책적 활용방안으로 ▲교통사업 의사결정 시 사회적 포용지수로 활용 ▲지역 내 교통서비스 수준의 평가지표 ▲대중교통서비스 취약 지역 지표와 기존 지표의 연계와 활용 ▲시설물과 교통서비스 공급을 함께 고려해 지자체 계획에 반영을 제안했다.



첨부파일
  • hwp 첨부파일 (보도자료) 사회적 배제 해소를 위한 교통포용지수 활용방안(국토연구원).hwp (0Byte / 다운로드 113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브리프 721호.pdf (0Byte / 다운로드 285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