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 onerror="this.src='/error/img/noimage.gif'" alt="지속가능한 교통 실현을 위한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도입방안 연구 - 자발적인 승용차 이용 저감 방안을 중심으로 -표지" />

기본 지속가능한 교통 실현을 위한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도입방안 연구 - 자발적인 승용차 이용 저감 방안을 중심으로 -

초록

도시교통 정책은 최소한의 교통시설 확충, 교통수요관리,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정비 등 하드 측면에서 주로 추진되어 왔다. 향후 지속가능한 교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진할 소프트 측면의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사회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에 기여한다는 가치관과 우리가 같이 노력해야 할 환경 의식을 감안할 때 자발적으로 승용차 이용을 줄일 수 있는 도시교통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통행관리기법의 개념, 기존 도시교통 정책의 한계를 검토하고 통행관리기법의 이론 검토와 분석방법론을 설정하였다. 외국사례에 대한 시사점과 우리나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통행관리기법 도입을 위한 사례분석을 수요자 계층별, 통행목적별로 세분화하여 직접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결과를 계층화 모형, 구조방정식 모형 그리고 기술통계분석을 통한 기대효과를 계량적으로 검토하였다. 통행관리기법의 도입을 위한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방자치단체와 교통 사업자, 그리고 지역단체 등 추진주체별 역할 분담방안을 설정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의 특징은 통행관리기법 계획단계에서 수요자의 특성에 따른 계층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통행관리기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이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지속적인 승용차 이용 저감을 위해서는 통행관리기법의 추진계획과 도로, 교통, 도시계획 분야의 연계 추진전략이 마련될 때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통행관리기법의 실행단계에서는 지역별, 계층별 차별화 전략을 추진할 지방자치단체별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단체, 개인기업, 학교 등과의 협력체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저비용의 예산으로 사업효과가 높으므로 시범사업을 우선 시행하고 전국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캠페인과 매스컴을 활용하고 대중교통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도시교통 정책의 일환으로 수요자의 자발적인 승용차 이용 저감 방안을 모색하고, 통행관리기법 추진주체별 역할 분담을 제시한 특징을 갖는다. 한편 기법의 세부 추진절차와 프로그램 작성보다는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라는 한계를 갖고 있다.
국가와 지방의 통행관리기법 공통 기준의 작성과 시범사업 실시를 위한 가이드라인은 조속히 마련된 필요가 있다. 승용차 발생을 근원적으로 줄일 수 있는 직주 근접, 대중교통 중심의 공공 공간 설계 기법 등은 향후 연구과제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 녹색교통 네트워크와 결합, 대중교통 관련 보조금 제도의 도입, 개인과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의 제도 활성화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구 수행과정에서 아낌없는 조언과 격려를 보내주신 연구심의위원 그리고 연구협의와 자문을 해주신 여러 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목차

발간사 ⅰ
서 문 ⅲ
요 약 ⅴ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 시공간적 범위 3
2) 내용적 범위 3
3) 연구 방법 5

제2장 통행관리기법의 개념

1. 도입배경 - 지속가능한 교통으로의 패러다임 변화 9
2. 지속가능한 교통의 국가별 정의 10
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정의 10
2) 유럽연합(European Union) 10
3) 일본 12
3. 기존 도시교통정책의 한계 14
4. 통행관리기법의 개념과 추진 절차 16
1) 통행관리기법의 정의 16
2) 통행관리기법의 특성 17
3) 통행관리기법의 추진요소 18
4) 통행관리기법의 추진절차 21

제3장 이론 연구 및 분석방법론 정립

1. 선행연구 검토 23
1) 관련 이론 검토 23
2) 주요 선행연구 현황 25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6
2. 분석방법론 정립 28
1) 계층화 모형 29
2) 구조방정식 모형 31

제4장 통행관리기법 외국사례 및 국내 적용가능성 검토

1. 외국사례 37
1) 오스트레일리아 퍼스(Perth) 도시권 트래블 스마트(travel smart) 37
2) 영국 런던의 종합적인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Travel Plan 39
3) 일본의 정중한 커뮤니케이션 기법의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41
4) 과도한 통행발생 지역에서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패기지 사업 45
5) 수요자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사례 48
2. 외국사례 시사점 50
1) 통행관리기법 참여대상자의 심리적 변화를 유도 50
2) 기존 교통정책과 연계 시행 51
3) 다양한 소프트 정책과 병행 시행 53
3. 국내 적용가능성 검토 56

제5장 통행관리기법 도입을 위한 사례분석

1. 분석의 개요 59
2. 설문조사 61
1) 이용자 통행행태 및 승용차 이용절감 의식조사 61
2) 통행관리기법 효과 조사 (2차 조사) 63
3. 분석결과 65
1) 기초통계분석 65
2) 수요자의 계층별 통행 행태 분석 67
3) 이용자 행동변화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71
4) 통행관리기법의 효과분석 76
4. 종합분석 및 시사점 79

제6장 통행관리기법 도입방안 83
1. 대국민 심리적 변화 유도 83
1) 적극적인 대화(커뮤니케이션) 기법의 개발 83
2)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사업자의 고객주의) 84
3) 자발적 참여자 인센티브 85
2. 기존 교통정책과 연계 시행 87
1) 주요 교통정책으로 통행관리기법의 도입 및 운용 87
2) 도로·교통·도시계획 분야 연계 추진 90
3) 수요자 계층별 차별화 전략의 추진 95
4) 개인(거주자)에서 공공기관, 학교, 개인기업 등으로 확대 시행 95
3. 다양한 소프트 정책의 병행 97
1) 시범사업을 통한 전면 추진 97
2) 저비용 고효율 통행관리기법의 예산 지원 체계 확립 97
3) 통행관리기법의 지속적 추진 강화 99
4) 통행관리기법의 추진주체별 역할 분담 100



제7장 결 론

1. 연구의 의의 및 기대효과 103
1) 연구의 의의 103
2) 연구의 기대효과 104
2. 연구의 특징 및 한계 105
3. 정책대안 및 향후 연구과제 106

참고문헌 109
SUMMARY 112
부 록 115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지식정보팀
  • 성명 임지수
  • 연락처 044-960-0426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