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민간기업· 대학· 연구소 유치가 성공열쇠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 정부서 지원을

  • 작성일2013-07-31
  • 조회수182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곧 혁신도시 성공이란 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혁신도시에 공공기관만 덩그러니 있을 경우 지방이전 효과는 반감된다. 혁신도시가 애물단지로 전락하면 또 다른 갈등의 불씨가 되살아날 수 있다. 최근 공공기관 이전을 둘러싼 이해당사자들의 마찰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이런 갈등은 시간이 지나면 치유될 것이란 게 대체적 분석이다. 문제는 혁신도시의 자족기능 확보 여부다. 혁신도시 기반은 공공 부문이 다지고 있다. 이제 새로운 성장동력을 갖춰야 한다. 그러나 현 상황은 이전에만 매달려 있을 뿐 투자 유치까지 신경 쓰기에는 힘이 부친다. 전문가들은 혁신도시가 기능을 제대로 하기 위해선 기업 등의 민간투자가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전 공공기관과 연계된 기업, 대학, 연구소의 유치를 추진했다. 그러나 유치 실적은 초라하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기존 혁신클러스터 용지 분양률은 9.4%에 불과하다. 몇몇 혁신도시에선 클러스터 용지 분양을 문의한 곳이 한 곳도 없었다.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인센티브 제공이다. 지자체와 협의해 9개 혁신도시(10개 혁신도시 중 강원 원주 제외)에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지정하고, 이 단지로 지정된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산업단지 캠퍼스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대구, 부산과 같이 기존 대도시와 인접한 혁신도시의 경우 충분히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인프라가 낙후돼 있는 지역은 단지 지정만으로 기업이나 연구소들이 선뜻 오겠다고 나설지는 미지수다. 국토연구원 김광익 연구위원은 “공공기관 관련 연구소나 민간기업들이 들어와야 시너지를 내고 혁신도시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경기가 둔화하면서 기업들도 투자에 소극적이라 이전 수요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10개 혁신도시가 같이 건설에 들어갔지만 기업 유치 등에 따라 향후 도시의 모습은 크게 차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혁신도시 내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이 가능토록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며, 각 혁신도시들은 산학연 클러스터 유치를 위한 투자설명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혁신도시 추진 지자체가 통일돼 있지 않아 애를 먹는 경우도 있다.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는 10개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두 광역단체가 함께 추진했다. 그러다 보니 기관들의 건의나 요청이 있어도 전라남도, 광주시, 나주시 등 3개 시ㆍ도에 해야 하고, 답변도 각각 들어야 한다. 나주시는 나주시대로 전남도와 광주시보다 더 많은 지원을 했다고 하고, 전남도와 광주시는 이전 부지가 있는 나주시가 나서는 것이 당연하다는 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