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 지식산업센터 현황분석과 정책과제”

  • 작성일2022-01-03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1,516

“국내 지식산업센터 현황분석과 정책과제”

국토硏, 국토정책브리프 『국내 지식산업센터 현황분석과 정책과제』​​​​​​​​​​


□ 1970년대 서울 대도시 내 공장용지 부족으로 인한 소규모 작업장 및 무등록공장의 집단화를 위해 시작된 아파트형 공장은 2000년대 첨단산업 입주가 가능한 지식산업센터로 발전해왔다. 

  ◦ 지식산업센터 등장은 1970~1980년대 대도시 기반의 도시형 제조업과 영세민 지원에 대한 해결책이었으나 1990년대 이후 정책환경은 지식산업이 대도시 입지를 활용함에 있어 특별한 규제 혹은 높은 지대의 지불 없이도 건설 및 분양이 가능했던 제도적 배경에 있다. 

  ◦ 2021년 4월 기준 전국 지식산업센터 1,235개 중 약 81%가 수도권에 분포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수도권 지식산업센터 승인 건수는 약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유현아 부연구위원 연구팀은 주간 국토정책Brief 제848호 『국내 지식산업센터 현황분석과 정책과제』에서 국내 지식산업센터 관련 법·제도, 입지분포, 이용행태 등을 종합 분석하고 지식산업센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 비수도권 지식산업센터 이용은 여전히 제조시설의 성격이 수도권에 비해 강하며, 비주거용 건물임대업의 사업체 수 비중이 수도권 및 비수도권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다. 

  ◦ 지식산업센터는 관습적으로 「건축법」상 공장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입지정책 흐름과 최근 건축물 형태 등 공장의 일종으로 분류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용도 및 특성이 변하고 있다.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권역 내 공장 신·증설에 관한 제한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이하 산집법)상 예외조항에 의거하여 지식산업센터는 별다른 관리방안 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수도권에 공급되고 있는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에 대한 사후관리방안 역시 부족하다. 


□ 연구팀은 지식사업센터 활성화를 위해 ▲ 건축물 용도 규정, ▲ 입주업종 표준화, ▲ 지역별 차별적 관리, 통계자료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제도적 개선과제로는 도시관리 차원에서의 지식산업센터 건축물 용도의 법적 유형 논의 필요, 지식산업센터 입주 허용업종 혼재 개선, 수도권 및 비수도권에 대한 차별적 관리방안 모색, 지식산업센터 시장의 거래데이터 및 통계자료 구축을 강조했다. ​




첨부파일
  • hwp 첨부파일 (보도자료) 국내 지식산업센터 현황분석과 정책과제(국토연구원).hwp (0Byte / 다운로드 167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국토정책브리프 848호 국내 지식산업센터 현황분석과 정책과제(국토연구원).pdf (0Byte / 다운로드 1,652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