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워킹페이퍼) 산불피해, 위성영상과 국토격자통계로 하루 만에 파악할 수 있어

  • 작성일2020-04-17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3,470

산불피해, 위성영상과 국토격자통계로 하루 만에 파악할 수 있어​​​​"

국토硏, 워킹페이퍼 『재난지역 피해규모 산정을 위한 위성영상과 국토통계 활용 방안​​​​​​​​​​​』 -


산림청의 산불통계연보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연평균 약 500여 건 이상의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하고, 78%가 3~5월에 발생하고 있다. 2019년 4월 강원도 산불피해지역옥계-강릉 지역의 공식 발표된 피해면적은 여의도의 3.6배인 1033ha로 소실된 건축물은 125동이며, 이재민은 128명이다.


□ 산불 같은 대형 재난사고는 넓은 면적에서 재산 및 산림자원에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초기 대응부터 진화, 피해면적 산출, 복구와 모니터링까지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체계가 필요하다.


□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임륭혁 연구원은 워킹페이퍼『재난지역 피해규모 산정을 위한 위성영상과 국토지표 활용 방안』에서 2019년 강원도 산불피해지역(옥계-강릉)을 위성영상과 국토격자통계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공식 발표 통계와 비교하였으며, 재난대응체계에서의 공간정보 활용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보고서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약 1051⁓1160ha의 피해면적이 산출되었으며, 피해지역 내 124동의 화재취약건축물이 있고, 최소 117명의 생산가능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피해면적은 정규산화율지수(Normalized Burn Ratio, NBR),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로 산출


□ 기존 산불피해지역 분석방법(NBR, NDVI)과 국토격자통계․위성영상을 접목한 산불피해지역 분석결과는 신속 초기 대응기초분석용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 임륭혁 연구원은 보고서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정부 및 소관 기관의 대외 발표 면적인 1033ha와 유의미한 오차범위 내에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짧은 시간(1일 이내)내 피해지역을 분석할 수 있다고 했다. 긴박한 산불의 초기 대처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의미를 가진다는 설명이다.

 ◦ 국토격자통계(인구/건축물)는 산불피해지역의 인구와 건물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 구조 동선, 구조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구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건물의 피해 정도 산정에 효과적이고 단시간 내 예상피해액 분석에도 용이하다. 


□ 임륭혁 연구원은 재난·재해 등에 공간정보나 위성영상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보안시설 촬영 여부 점검 등 보안성 검토와 배포허가제로 위성영상의 신속한 구득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관기관 간 업무협력체계를 강화하거나, 위성영상의 배포·공유 체계를 조정하여 위성영상 구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산불과 같은 대형 재난재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공간정보기술을 적용한 재난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재난용 장비·시설의 위치시각화와 실시간 현황파악을 위한 대시보드 ▲대응반의 효과적인 동선파악을 위한 GPS Tracker 지급과 지도를 통한 진압현황 파악위성영상과 국토격자통계를 활용한 피해현황 파악피해복구 지원 등을 제안했다.



첨부파일
  • hwp 첨부파일 (보도자료)산불피해, 위성영상과 국토격자통계로 하루 만에 파악할 수 있어(국토연구원).hwp (0Byte / 다운로드 66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워킹페이퍼) 재난지역 피해규모 산정을 위한 위성영상과 국토지표 활용 방안(국토연구원).pdf (0Byte / 다운로드 1,377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