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사회ㆍ경제구조 전환기의 주택정책 패러다임 정립방안 연구표지

기타 사회ㆍ경제구조 전환기의 주택정책 패러다임 정립방안 연구

  • 연구진 이수욱 
  • 보고서번호국토연 IP 2011-13
  • 페이지수32
  • 발행일2011-12-31
  • 조회수142

초록

제1장. 서론

제2장. 사회ㆍ경제적 여건변화와 주택정책의 과제

제3장. 주택시장 뉴트렌드와 주택정책 패러다임 변화

제4장. 여건변화에 대응한 외국의 주택정책

제5장. 사회ㆍ경제적 여건변화에 대응한 주택정책 방향

제6장. 결론

목차

1~2인 중심의 소형가구 증가, 저출산ㆍ고령화, 경제성장 둔화와 가계실질소득 감소, 그리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주택가격 안정과 임대차시장 변화 등은 새로운 주거트렌드와 새로운 유형의 주택수요가 등장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
주택시장의 구조변화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인구 및 주택시장과 관련한 변수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지난 2009년부터 주택시장에서 구조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인구요인의 영향으로 2018년을 전후해 새로운 시장 상황으로 주택시장이 진입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사회ㆍ경제적 여건변화와 주택시장의 구조변화 진행에 따라 향후 주택시장은 주택재고 확충과 가격상승 기대 감소로 안정세를 보일 전망이다. 하지만, 주택에 대한 국민 선호도 조사 결과, 도심에서는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형주택 수요 증가와 도심재생을 통한 주택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구성원, 직업, 에너지, 기후변화 등을 고려한 주택설계와 성능으로 다양한 맞춤형 주택과 첨단화ㆍ장수명화ㆍ녹색화된 주택보급도 점차 확산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사회ㆍ경제적 환경변화가 반영된 미래 주택시장 뉴트렌드는 수요와 공급, 그리고 주거복지 서비스 측면에서 각각 다른 형태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측면에서는 주택소유 의식의 변화, 선호주택 유형의 변화, 공급측면에서는 주택규모와 유형의 다양화, 그리고 주거복지 서비스 측면에서는 건강ㆍ의료ㆍ녹색 등 주택의 기능과 성능 등이 미래 주택시장과 주거의 뉴트렌드를 선도하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인구ㆍ가구구조, 주택시장 내부 환경, 거시경제여건 등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주택시장의 뉴트렌드와 소비자 수요행태 변화를 감안한 주택수요 추정 결과, 새로운 주택수요에 부합하는 주택공급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지식정보팀
  • 성명 임지수
  • 연락처 044-960-0426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