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북아 핵심경제지역의 발전 전망과 연계망 구축 (Ⅰ) : 지역 현황 및 발전 전망과 지역연계 분석표지

기본 동북아 핵심경제지역의 발전 전망과 연계망 구축 (Ⅰ) : 지역 현황 및 발전 전망과 지역연계 분석

  • 연구진 김원배 
  • 보고서번호국토연 2007-25
  • 페이지수254
  • 발행일2007-12-31
  • 조회수1277

초록

지난 20여 년간 동북아의 경제지리는 상당한 변화를 경험하였다. 일본 중심의 기러기 편대 발전 모형은 그 적실성을 상실하였고, 일극체제에서 다극체제로 전환되고 있다. 동시에 동북아 지역 내 경제 상호의존성의 증대는 한 지역의 발전이 단순히 지역 내부적 요인이 아니라, 지역 간 관계에 의해 무시하지 못할 영향을 받게 되는 상황을 만들고 있다. 현재 논의 중인 동북아 3국 간의 자유무역협정이 실현되면, 국가 간의 장벽이 약화되어 도시나 지역 경제 간의 경쟁과 협력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동북아 8대 핵심지역의 경제 및 산업클러스터 현황과 성장전망, 8대 지역 간 교역 및 투자 관계, 물자와 사람의 흐름을 통한 연계 관계를 분석하여 상호관계의 보완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동북아 핵심지역 간의 역학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주변국과의 동반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긴요한 과제다. 중국과 일본 핵심지역의 주력 산업이나 산업클러스터에 직접 맞서기보다는, 이들 산업클러스터와 보완적 관계를 구축하여 틈새시장을 확보하는 것이 보다 현명할 것이다. 즉 중국이나 일본 핵심지역 경제의 성장과 구조변화에 따른 수요를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이들 지역경제와 차별화될 수 있는 발전 전략을 한국의 주요 경제지역에 실현하는 것이 우리 지역경제 정책의 기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1, 2차 연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게 되어 있다. 이번 1차 연도 연구에서는 주로 현황 파악과 연계분석에 중점을 두고, 내년 2차 연도에서는 동반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공공부문의 지역정책 및 일부 산업에서의 기업 차원의 연계전략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의 과정에서도 드러났듯이, 지역단위의 통계 부재로 연구 결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핵심지역 간 교역액의 추정과 지역 간 연계관계의 계량적 분석 결과는 관련 분야 학자들의 후속 연구에 기초를 마련했다고 본다.
연구의 수행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외부 연구진들께 감사의 마음을 표하고자 한다. 지역관계 분석을 수행한 서울대학교 김의준 교수, 한․중 교역과 투자 관계를 분석 정리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양평섭 박사, 한․일 교역과 투자 자료를 분석 정리한 현 동의대학교 이홍배 교수, 그리고 중국 관련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담당했던 전 보고경제연구소 양광식 팀장에게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이번 연구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핵심지역 발전 추이와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개최한 워크숍에 참여해 주신 일본경제산업성의 히사타케 마사토 박사, 오사카 시립대학의 나가오 겐키치교수, 북경대학의 허 찬페이 교수, 상해사회과학원의 투 치위 교수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 및 토론자로 참여해 주신 부산대학교 임정덕 교수,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한영주 박사, 숭실대학교 김성배 교수, 한양대학교 김홍배 교수, 가톨릭대학교 한동훈 교수에게도 감사드린다.
끝으로 동북아 연구 학도들과 먼 길을 함께 하기를 바라면서, 추사선생이 실록을 모셔오라는 명을 받고 강화 사고에 가서 마니산 정상에 올라 지은 시의 한 구절을 붙인다.

坡老袖中有舊因(파로수중유구인)
소동파 노인 소매 속에 동해의 인연 있으니
蓬萊閣海比西隣(봉래각해비서린)
봉래각 바다가 우리 서쪽 이웃 일세
碧環妙喩誰能解(벽환묘유수능해)
푸른 고리 반지 묘한 비유, 뉘라서 알리
世上幾多蠡測人(세상기다려측인)
세상에는 조개껍데기로 바닷물 되질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홍찬유 감수, 정희수 역 추사 김정희 시 전집에서>

목차

<br>발 간 사 4<br> 서 문 6<br> 요 약 9<br><br>제1장 연구의 개요 1<br>1. 배경과 목적 1<br>2. 연구의 대상지역과 범위 2<br>3. 연구의 방법 4<br>4. 선행연구의 검토 5<br><br>제2장 핵심경제지역의 위상과 경제지리 변화 9<br>1. 동북아 및 아태지역에서의 핵심경제지역의 위상 9<br>2. 동북아 지역의 경제지리 변화 13<br>3. 입지계수로 본 동북아 핵심경제지역의 경제지리 변화 21<br>4. 동북아 경제지리 변화의 요약 29<br><br>제3장 핵심경제지역의 개관 31<br>1. 중국 3대 핵심경제지역의 현황 31<br>2. 일본 3대 핵심경제지역의 현황 66<br>3. 한국 수도권과 영남권의 현황 88<br>4. 8대 핵심경제지역의 산업군집 및 공간구조 요약 103<br><br>제4장 동북아 핵심경제지역의 대외연계 107<br>1. 한․중․일 3국 간 교역 현황과 특징 107<br>2. 중국 3대 핵심경제권의 대외경제 연계 111<br>3. 한국 핵심경제지역의 대중국 교역과 투자 124<br>4. 일본 3대 경제지역과 동북아 연계 150<br>5. 한․중, 한․일 핵심지역 간 물리적 연계 169<br>6. 핵심지역 대외연계의 특징 178<br><br>제5장 핵심경제지역의 성장과 지역 간 관계 변화 전망 180<br>1. 경제성장 전망 180<br>2. 지역간 경쟁-보완관계 분석 197<br>3. 다국적 기업과 지역 간 관계 변화전망 210<br>4. 지역 간 관계 분석의 시사점 216<br><br>제6장 주요 결과와 시사점 218<br>1. 주요 결과와 그 의미 218<br>2. 후속 연구의 과제 225<br><br> 참 고 문 헌 227<br> SUMMARY 235<br> 부 록 245<br>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지식정보팀
  • 성명 임지수
  • 연락처 044-960-0426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