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토경관보호를 위한 경관충격지표 개발 연구표지

정책 국토경관보호를 위한 경관충격지표 개발 연구

초록

본 연구는 국토 곳곳에서 일어나는 개발행위의 결과물들을 경관보호라는 시각으로 바라보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지표개발을 시도하였다. 개발에 의한 새 건조물군이 오래된 경관 속으로 침입하면서 만들어 낸 여러 현상들을 중요한 경관관리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경관형성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동 시대에 짚고 넘어가야 할 몇 가지 이슈와 이를 밝히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경관의 시지각적(視知覺的) 영향의 결과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써 ‘경관충격지표(景觀衝擊指標, Visual Impact Indicator, 이하 VII라 함)’를 개념화하고 이의 측정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1장 연구개요

연구 전체에 걸친 내용의 골격을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 연구의 차별성, 기대효과 순으로 정리하였다. 우선 국토를 경관관리의 시각으로 바라 본 이유와 의미, 국토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특징적인 현상, 관련한 국내·외의 큰 흐름 등을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연결하였다. 여기에 관련 선행연구를 되짚어 연구의 범위와 전체적인 틀을 자세히 하였다.
본 장에서는 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경관의 시지각적 영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써 경관충격지표를 개념화하고, 이의 측정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기존 경관관련 지표를 살펴보았다. 특히 2000년 이후 발표된 경관관련 연구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 및 기존 경관관련지표와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제2장 기존 국토경관 관련 지표 검토

경관충격지표를 개발하기 앞서 기존 연구 및 현황을 검토하여 정치경제학적 영역, 자연생태학적 공간, 정주환경, 생산활동의 기반 등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국토의 개념을 경관관리 차원에서 재정리하였다. 국토경관의 개념을 공간위계상으로 규모가 작은 건축물 및 구조물 경관부터 도시(마을)경관과 광역경관을 초월하는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경관으로 위치시키고, 또한 주제별 구분인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국토경관 형성과정에서 파생된 경관형성의 주요 특징과 경관훼손 실태 등을 면적(面的)인 택지개발사업지구와 재개발사업지구를 중심사례로 기존 자료와 현장답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공통적으로 심하게 높고 넓은 건축물군이 주요 충격적인 경관형성의 대상으로 파악되었으며, 원인으로는 중원경차원에서 수평·수직적 관계의 부조화, 근경 차원에서의 부지경계부 처리의 미흡으로 조사되었다.
지표의 개발에 앞서 기본적으로 짚고 넘어가야 할 지표(indicator)의 개념을 지수(index)와 정보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의사결정과정에서 지표의 중요성과 역할, 지표의 활용방안을 이용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였다.
또한 경관관련 지표들을 기존 문헌 및 연구논문을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조사된 지표는 보호대상별로 산지·구릉지·하천 등 자연경관자원 보호, 개방감·차폐감 등 인공경관에 대한 시각환경 관리, 용적률·건폐율 등 건축밀도 및 형태관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만들어야할 경관충격지표의 개선과제로서 지표 적용의 타당성 문제, 장소특성에 적합한 지표적용범위의 문제, 지표 계산방식의 단순화로 인한 경관형성의 왜곡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제3장 경관충격지표의 개발

경관충격지표의 개발에 앞서 경관의 개념을 인간과 자연 혹은 인간과 인공물 사이의 거리와 시각적 초점이 이루는 관계에 따라 크게 조망형과 환경형 경관으로 구분하고, 지표의 적용범위를 중원경 차원의 조망형경관으로 한정하였다.
경관에 대한 생리학적 접근, 정신물리학적 접근 등을 통해 보고 느끼는 시지각적인 차원의 접근방법을 검토하고 ‘충격’과 유사한 ‘변화’, ‘영향’의 용어들을 비교하여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앞선 선행연구 검토와 현장조사, 설문조사결과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관충격지표의 개념상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경관충격지표에 관련된 시거리, 시야 등 관련 주요 변수들을 추출하여 자세히 살펴보았으며, 이를 계산수식에 각각 적용하였다. 지표의 개발과정에 따라 경관충격지표의 개발은 기본 전제사항을 바탕에 놓고 관련 변수를 도출하여 경관변화량 계산법에 실험설문을 통한 변별역(辨別域, difference thresfold) 지수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 중 략 >

목차

서 문 ⅰ
요 약 ⅲ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6
3. 선행연구 주요내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9
1) 주요 내용 9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8
4. 연구 골격 21

제2장 기존 국토경관 관리지표의 개선과제
1. 국토경관의 개념과 분류 23
1) 국토경관의 개념 23
2) 국토경관의 분류 25
3) 국토경관형성 과정 27
2. 국토경관 훼손사례 32
1) 개발사업지 경관훼손사례 32
2) 경관훼손 특징 35
3. 기존 경관관련 지표의 개념 및 종류 38
1) 지표의 개념 및 역할 38
2) 기존 경관관련 지표의 종류 및 특징 41
4. 국토경관 관련 지표개발의 주요과제 44

제3장 경관충격지표의 개발
1. 경관충격지표의 정의 47
1) 경관 개념상의 범위 설정 47
2) 경관의 지각(Perception) 과정 49
3) 경관충격(Landscape Impact)의 본질 51
4) 경관충격의 특성 54
5) 지표의 성격 57
6) 경관충격지표의 정의 58
7) 경관충격지표 개발단계 60
2. 경관충격지표의 개발과정 61
1) 기본전제 61
2) 관련 변수 도출 63
3) 경관충격지표 계산 수식 72

제4장 경관충격지표의 시뮬레이션 검토
1. 시뮬레이션 검토 개요 83
1) 검토 목적 83
2) 검토 방법 및 과정 84
2. 시뮬레이션 결과 및 지표값 비교 89
1) 거리별 지표값 비교 89
2) 층수 및 대상지 규모별 93
3) 입지 특성에 따른 지표값 96
4) 건축물 형태 및 배치 99
3. 검토 종합 101

제5장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 연구의 요약 103
1) 국토경관 관리지표의 개선과제 103
2) 경관충격지표의 개발 105
3) 시뮬레이션 검토 107
2. 경관충격지표의 의의 및 활용방안 108
1) 경관충격지표의 의의 108
2) 경관충격지표의 활용방안 109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추진과제 110

참고문헌 113
SUMMARY 119
부 록 123
1) 시뮬레이션 대표 이미지
2) 시뮬레이션 결과: 경관충격지표 계산자료
3) 설문조사 양식
4) 자문회의 내용(제1차, 제2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지식정보팀
  • 성명 임지수
  • 연락처 044-960-0426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