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41] 영국 도시재생 정책의 실체표지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41] 영국 도시재생 정책의 실체

  • 연구진 양도식
  • 보고서번호단행본
  • 페이지수261
  • 발행일2013-07-01
  • 조회수124

초록

지역계획의 창시자인 페트릭 게데스(Patrick Geddes)는 도시를 생성·성장·쇠퇴의 과정을 거치는 생물학적인도시관을 주장하였다. 즉, 도시를 생물체처럼 하나의 유기체로 보았다. 루이스 멈포드(Lewis Mumford)는 도시의 성장 단계를 에코폴리스(ecopolis, 작은 마을)→폴리스(polis, 마을의 군집)→메트로폴리스(Metropolis, 자본주의 도시의 출현)→메갈로폴리스(Megalopolis, 자본주의 도시의 쇠퇴 시작)→티라노폴리스(Tyrannopolis, 경제
적 도시시스템의 과대 팽창)→넥트로폴리스(Nektropolis, 전쟁과 기근으로 버려진 도시)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의 성장과 쇠퇴의 양상을 설명하였다. 페트릭 게데스와 루이스 멈퍼드가 설명한 도시의 진화 양상은 크게 ‘규모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설명된다. 규모적 측면에서는 도시의 발전 과정을 그 크기가 커지는 과정에서 서서히 멈추는 양상을 설명하였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도시 규모의 성장 동력이 되는 자본, 노동력, 건축환경이 도시에 집중되어 도시 성장의 한계를 설명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말처럼, 산업혁명 이후 선진도시는 도시화·산업화를 통한 급격한 성장을 하였고 2차 대전 이후 산업구조의 재편으로 쇠퇴를 경험하였다. 멈포드의 주장처럼, 산업화와 함께 등장한 메트로폴리스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양적인(혹은 규모적) 성장을 통해 급속한 도시화를 이루었다. 이 도시의 양적인 성장은 2차 대전 이후 산업·인구·자본을 재편하였다. 그리고 경제구조의 재편은 왕성한 산업도시의 쇠퇴를 야기시켰고 이는 물리적·사회적·경제적·환경적 문제로 이어졌다. 영국의 맨체스터, 글라스고우, 런던, 미국의 디트로이트, 시카고, 세인트루이스, 볼티모어, 유럽의 산업 도시들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도시의 물리적·공간적 쇠퇴는경제적·사회적 침체를 동반하였다. 게데스와 멈포드의 주장처럼 도시의 성장과 쇠퇴가 필연적인 과정이라면,도시재생은 쇠퇴해 가는 도시의 물리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환경적 차원에 관여함 (Roberts & Sykes,2000)을 통해 도시쇠퇴를 치유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도시재생이란 이런 도시의 규모적 측면(양적 성장의 도시화)과 내용적 측면(양적 성장으로 인한 도시의 물리적·경제적·사회적·환경적 변화)의 성장이 한계에 이르고 이로 인해 물리적·경제적·사회적·환경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도시정책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목차

018 01. 영국 도시재생 정책의 개념과 이해
022 01.1 도시재생이란
023 01.2 도시재생 이론의 양상
026 01.3 영국의 문맥으로 본 도시재생 정책
028 02. 영국 도시재생 정책의 역사적 변천
032 02.1 영국 도시재생의 역사적 변천 차원
032 02.1.1 시대적 도시문제 차원의 역사적 변천
035 02.1.2 공간적 유형 차원의 역사적 변천
044 02.1.3 내용적 차원의 역사적 변천
055 02.1.4 도시재생 수단 차원의 역사적 변천
082 03. 영국 도시계획 체계 속의 도시재생 정책
086 03.1 영국 도시계획 체계의 이해와 도시재생 정책
098 04. 영국 도시재생에 영향을 준 조직과 운영
102 04.1 영국 도시재생 정책과 조직 개관
103 04.2 영국 도시재생에 영향을 준 조직의 활동
103 04.2.1 영국 주택공사과 도시재생
106 04.2.2 영국 주택협회와 도시재생
110 04.2.3 도시개발공사와 도시재생
113 04.2.4 잉글리시 파트너십과 도시재생
116 04.2.5 광역지역개발청과 도시재생
121 04.2.6 탬즈게이트웨이 파트너십과 도시재생
125 04.2.7 도시재생회사와 도시재생
128 04.2.8 주택커뮤니티청과 도시재생
132 05. 사례로 본 영국 도시재생의 실체
136 05.1 영국 도시재생 사례의 유형과 도시재생
137 05.2 영국 주거지 도시재생 사례
138 05.2.1 맨체스터 노스무어 주거지
142 05.2.2 런던 그린니치 밀레니엄 빌리지
148 05.3 영국 도심 상업지역 도시재생 사례
153 05.3.1 버밍험 불링 중심상업지구
157 05.3.2 버밍험 브린들리플레이스
160 05.4 산업지역 도시재생 사례
160 05.4.1 런던 도클랜드 도시재생 사업
183 05.5 영국 역세권 도시재생 사례
183 05.5.1 런던 킹스크로스 역세권 재생사업
190 05.6 영국 문화지구 도시재생 사례
190 05.6.1 브리스톨 문화지구 도시재생
193 05.6.2 맨체스터 살포드 독 문화 재생사업
199 05.7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재생 사례
199 05.7.1 버밍험 캐슬베일 커뮤니티 도시재생
202 05.7.2 런던 코인스트리트 커뮤니티 재생
206 05.8 중심금융지구 도시재생 사업 사례
206 05.8.1 런던 브로드게이트 중심금융지구
220 06. 영국 도시재생 사업의 모니터링과 평가
224 06.1 영국 도시재생 모니터링·평가의 이해
225 06.2 모니터링·평가 개념과 이해
227 06.3 모니터링·평가 영역과 구조
228 06.4 모니터링·평가 체계의 구성요소
229 06.5 도시재생 모니터링·평가 체계의 특징
242 06.6 도시재생 차원의 모니터링·평가체계
246 06.7 영국 도시재생 모니터링·평가 사례
246 06.7.1 도시개발보조금
247 06.7.2 단일재생예산
250 06.7.3 뉴딜커뮤니티 프로그램
251 06.7.4 그리니치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
253 06.7.5 리버풀비전도시재생회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