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영지지연구표지

통영지지연구

  • 연구진 국토지지연구회
  • 보고서번호단행본
  • 페이지수249
  • 발행일2005-05-31
  • 조회수771

초록

< 서 문 >

우리 마을과 도시들은 지리(地理), 생리(生理), 인심 그리고 산수(山水) 등을 고려하여 형성되어 왔다. 지리는 수구(水口)와 들(野)의 형세, 산의 모양, 흙 빛 그리고 물이 흐르는 방향과 형세와 앞산과 앞 물을 뜻한다. 우리의 지역정서가 바로 지리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생리는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름진 땅과 물자를 교류할 수 있는 여건을 지닌 곳을 선택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인심은 풍속을 의미하며 자연적 여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이해하고 있다. 그래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보면 각 지역의 토산품은 물론 지역에 주요 인물 그리고 특정 사건들을 나열하여 지역의 생리와 인심조건을 풀어 놓고 있다. 한편 산수는 집 근처에 유람할 만한 산수가 있어야 정서를 함양할 수 있다 하여 살기 좋은 조건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생활터전으로 여유로운 삶을 향유할 수 있는 것까지를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곳에서 살아온 우리는 지역특성을 파악하고 미래지향적인 발전 방향을 위한 정책을 발굴하는 과정에서는 지역의 이와 같은 형성과정이나 지역의 정서는 도외시 하여 왔다. 지역특성은 인구규모, 산업구조, 경제력, 각종 시설수, 도로율 등과 같은 지표로서 파악하여 왔다. 물론 자연환경조건을 고려하지만 주로 개발가능여건의 관점에서의 검토대상이지 지리와 지역주민간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
우리 연구원에서는 지금까지 지역연구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2003년도에 「국토지지연구팀」 구성하였다. 첫 해에는 무엇을 하여야 할지에 대한 방향설정을 위하여 관련전문가와의 토론회를 개최하고,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독해하는 등의 기초학습을 하였다. 그리고 지지연구를 지역지지와 주제지지로 추진하되, 연구원에서 스스로 연구수행능력을 배양할 때까지 관련전문가 중심으로 기획시리즈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계획하였다.
2004년도 첫 번째 기획시리즈로서 추진한 지역지지연구의 대상은 “통영”이다. 통영은 문화와 역사적으로 다양한 여건을 지니고 있고, 과거 지역경제가 활발한 시기에는 내륙과 해양에서 주요한 거점의 역할을 하여 온 지역이다. 지역의 정체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지역연구의 틀을 시도하는 대상으로는 참으로 매력적인 지역으로 판단되었다.
통영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지지 연구는 통영과 관련되었거나 이곳이 고향인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원고를 의뢰하는 형식으로 연구를 추진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연구의 틀을 짜기 위한 여러 시도의 하나로서 통영을 진정으로 담아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하겠다. 오히려 시행착오를 각오하고 몇 개의 주제를 선정하였으나 아직까지 그것을 정리할 수 있는 토대가 미흡하고 또한 우리의 연구방식이 과거 틀에 익숙하였기 때문에 쉽게 새로운 틀에 적응하지 못한 아쉬움도 있었다.
그럼에도 이 연구는 새로운 방향에서 지역연구를 시작하였다는 데에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연구를 계속 진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역연구방향을 정립해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05년 5월
연구총괄 최 영국

목차

발간사 ⅰ
서 문 ⅲ

제1장 통영지지연구를 열며(국토지지연구회) 1

제2장 통영의 설립 경과와 군사적 중요성(이민웅)
1. 머리말 9
2. 통영의 자연지리 조건 10
3. 통영의 설립 배경과 과정 12
4. 통영의 군사적 중요성 17
5. 통영의 규모와 역할 22
6. 맺음말 30

제3장 조선시대 통제영의 영향권과 그 규모(이기봉)
1. 머리말 35
2. 통영의 행정적 관할 범위 36
1) 행정적 관할 범위 36
2) 방리조의 호구(戶口) 규모 42
3. 군사적 관할 범위 47
1) 군사적 관할 범위 47
2) 관할 전선과 군사의 규모 51
4. 재정과 송정(松政)의 관할 범위 56
1) 재정적 관할 범위 56
2) 송정의 관할 범위 59
5. 맺는 글 63

제4장 도시, 공간, 삶(김재홍)
1. 전통시기의 통영의 공간구조 69
1) 통제영의 입지선정 69
2) 통영성의 축조와 공간구조 70
2. 일제시기 통영의 도시발달 75
1) 시가지 조성 75
2) 통영 시구개정 도로축조 77
3) 공유수면매립과 항만수축사업 79
3. 해방후 통영의 도시발달과 공간구조 변화 81
1) 인구집적의 양상 81
4. 결론: 공간으로 본 통영의 과거와 미래 93

제5장 생업(生業)과 삶의 방식(김종만)
1. 통영어업의 특징과 구조 100
1) 전통시대의 어업활동 100
2) 일제시기의 어업활동 103
3) 해방 이후의 어업 107
2. 양식업 및 수산가공업의 발달 108
1) 양식업의 발달 108
2) 수산가공업의 발달 114
3. 통영의 상공업 120
1) 통영의 상업 120
2) 통영의 공업 124
4. 미래의 산업으로서 관광산업 126
5. 기타 통영의 산업 130
1) 농업 130
2) 임업 132
3) 수출·임업 133

제6장 통영 예술전통과 현대 마케팅(정옥주)
1. 머리말 : 예술가가 고향에 남긴 것은 139
2. 12공방과 문화유산 140
1) 12공방의 역사 140
2) 통영의 전통공예와 12공방의 후예들 141
3) 통영 전통 공예의 현대 마케팅 148
3. 통영출신의 현대예술인 152
1) 통영 근대예술의 전성기 152
2) 예술가의 고향과 예술가 154
4. 맺는 말 : 열려야 사는 통영 예술전통 161

제 7 장 나의 통영살기
1. 통영지역주민의 삶과 정서(김일룡) 167
1) 나의 성장과정 167
2) 나의 통영, 내가 느낀 통영 170
3) 통영의 변화 전망 175
2. 나의 통영, 나의 고향(김정자) 178
1) 유년시절의 통영 178
2) 아름다운 통영의 자연과 바다 180
3) 문화의 터전, 통영의 예술가들 182
4) 통영 예술의 맥과 가야할 향방 185
3. 천혜의 땅, 통영에 살며(서우승) 187
1) 나의 성장과정 187
2) 통영의 내력과 문화적 토대 190
3) '예향 통영'의 현황과 전망 194
4. 통영의 문화와 나의 춤인생(엄옥자) 197
1) 내가 아는 우리 통영 197
2) 나의 춤인생 198
3) 통영이 살아나갈 길과 무용극『칼의 노래를 넘어서』 205
5. 통영의 자연과 지역정서(정갑섭) 208
1) 나의 성장기 208
2) 통영·통영사람 212
6. 통영인의 삶과 정서(진의장) 217
1) 나의 성장기 217
2) 통영의 특성과 통영의 기질 225
3) 예측 가능한 예향 통영의 미래 228

제8장 통영지지연구의 성과와 한계(유우익)
1. 통영의 정체성 233
1) 지역 정체성(正體性)이란 무엇인가 233
2) 지역 정체성을 구성하는 네 가지 차원(次元) 233
3) 지역 정체성의 불변성(不變性)과 가변성(可變性) 235
4) 통영의 정체성: 바다의 땅 237
2. 통영(統營) 지지(地誌) 240
1) 지역 정체성과 지지, 그리고 그 너머 240
2) 지지 구성의 특색 242
3) 지지 연구로서 갖는 의의 244
4) 통영지지연구의 성과와 한계 245
3. 과제와 전망 247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