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토이슈리포트) 스마트기술로 신속한 미세먼지 대응체계 마련 필요

  • 작성일2019-12-18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5,882


스마트기술로 신속한 미세먼지 대응체계 마련 필요

국토硏, 국토이슈리포트 『도시의 적(敵) 미세먼지, 줄일 수 없을까?​ -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박종순 연구위원등은 국토이슈리포트 제11호『I도시의 적(敵) 미세먼지, 줄일 수 없을까?』를 통해 생태적·화학적·물리적 기법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과 미세먼지 대응 도시 정책방향 등을 제안했다.  


미세먼지로부터 위협받고 있는 도시에서는 배출원(排出源)과 교통수요의 관리뿐만 아니라, 배출된 미세먼지를 저감할 방안에 대한 요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미세먼지 배출 억제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기 이전에 배출원을 사전에 관리하는 것으로 차량 2부제, 도심 내 자동차 진입제한 정책 등이 해당한다.
  ◦ 도시별로 미세먼지 배출량과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주요 배출원의 종류도 다르므로 도시별 상황을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다.
  ◦ 교통부문에서는 친환경 차량 이용, 배출가스 최대 저감 지역 설정 등이 필요하다.

미세먼지 저감기술은 생태적·화학적·물리적 기법이 있으며, 도시 차원에서 이러한 기법을 어디에 적용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 (생태적: 식물의 흡수·흡착 능력 활용) 런던의 녹색 벽, 멕시코의 수직정원, 국내의 녹지조성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기오염 수준 저감 효과를 봤다. 
   ◦ (화학적: 칼슘 마그네슘 아세테이트[CMA], 광촉매 등 활용) CMA는 다른 물질보다 경제적이며, 광촉매 페인트·모듈 등이 시범 적용되고 있다.
   ◦ (물리적: 여과, 전기집진, 원심력 집진기술 등 활용) 네덜란드의 스모그 프리 타워(Smog Free Tower) 등은 정전력을 이용, 시간당 3만㎡의 공기를 여과하고 있다. 
   ◦ (바람길 활용) 바람길에 순응할 수 있도록 토지계획 및 지구단위계획 등을 통해 아파트의 배치를 변경한다면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보고서는 가칭 ‘스마트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주민에게 고해상도 미세먼지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인공지능(AI) 기반 미세먼지 저감시설의 운영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 스마트기술로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능동적으로 관리하며, 정밀한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해 주민의 대응력을 향상시키고, 관련 행정부서 간 협력적 대응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박종순 연구위원 연구팀은 미세먼지 대응 도시 정책방향으로는 ▲단일 정책보다는 여러 대안 모색, ▲미세먼지 저감기술 시범도시에 적극 도입,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배출원·교통수요 관리뿐만 아니라 배출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물리적·화학적·생태적 기법을 도시 공간상에서 적절하게 구현할 필요가 있다.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물리적·화학적·생태적 기법의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해서 도시 차원에서 검증된 사례는 드물며, 시범도시를 선정하고 그 효과를 면밀하게 살펴봐야 한다.

  ◦ 도시 환경정책의 당면 과제는 미세먼지 저감이지만, 궁극적으로 친환경 녹색도시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도시민의 삶의 질 개선을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한다.​

 

※ 국토이슈리포트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해결중심의 정책을 고안하기 위해 빅데이터 등 첨단기법을 국토연구에 융합하고, ‘데이터로 국민 삶과 지역의 문제를 촘촘하게 진단’하여 생활밀착형 정책연구결과를 담아낼 예정입니다.

첨부파일
  • hwp 첨부파일 (보도자료) 스마트기술로 신속한 미세먼지 대응체계 마련 필요 (국토연구원).hwp (0Byte / 다운로드 57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국토이슈리포트) 도시의 적(敵) 미세먼지, 줄일 수 없을까(국토연구원).pdf (0Byte / 다운로드 86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