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토이슈리포트) 종합병원·응급의료시설·소방서 접근이 어려운 의료취약지역에 그들이 살고 있다

  • 작성일2020-03-17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4,756


“종합병원·응급의료시설·소방서 접근이 어려운 의료취약지역에 그들이 살고 있다” 

국토硏, 국토이슈리포트 ​『응급의료 취약지도로 본 농촌 VS 도시​ -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부각된 중증 응급 환자에 대한 빠른 치료와 이송을 제공할 수 있는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지역 간의 격차와 사각지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은 도시와 농촌의 인구와 관련 인프라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로나19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응급의료대책이 시급한 지역을 찾아봤다.
  ◦ 손재선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국토이슈리포트『응급의료 취약지도로 본 농촌 VS 도시』를 통해 응급의료 취약지역 평가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농촌과 도시의 격차 비교 결과를 제시했다. 
  ◦ 응급의료시설에 대한 시·군·구 평균 접근성최저기준의 서비스권 바깥에 거주하는 취약인구(영유아 및 고령자)비율을 활용하여 응급의료 취약지역을 평가·분석했다.
  ◦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및 지역의 거점도시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양호하고 서비스권 외 취약인구비율도 낮은 편이나, 농촌과 산간, 일부 해안지역취약하여 지역 편차가 크다.
    ※ 종합병원 취약인구가 많은 지역(취약인구 3만명 이상 6개, 2~3만 명 20개 시·군)은 지원시 우선 고려 필요

□ 특히, 특별광역시, 특별자치시를 제외한 152개 시·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중 농촌(군郡지역)과 도시(시市지역)의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 시지역에 비해 군지역에 사는 취약인구의 응급의료 서비스 수준은 매우 낮다.
    ※ 종합병원은 58.9%p, 응급의료시설은 39.8%p, 소방서는 22.9%p의 격차
  ◦ 정량적 격차뿐만 아니라 농촌은 소수의 취약인구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도시는 반대로 많은 인구가 좁은 지역에 분포하여 도·농간 응급의료 서비스 지원 전략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 손재선 책임연구원은 취약인구와 지역 특성을 고려한 의료서비스 체계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면서, 공간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응급의료 취약지역을 종합평가한다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대응과 의료체계 개선 시 취약지역 타깃팅 등 차등적 지원, 지역 의료자원 배분의 선택과 집중, 우선 지원 시급지역 파악 등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언급하였다.
  ◦ 정책제안으로는 ▲취약인구를 배려한 원격의료와 위기전달체계 강화, ▲ 공간정보기반 국토지표(격자통계)를 「공공의료보건법상에 관한 법률」의 의료취약지 모니터링에 반영, ▲ 농촌과 도시의 격차를 고려한 차별성 의료지원 기준과 정책 발굴을 제안했다.


※ 국토이슈리포트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해결중심의 정책을 고안하기 위해 빅데이터 등 첨단기법을 국토연구에 융합하고, ‘데이터로 국민 삶과 지역의 문제를 촘촘하게 진단’하여 생활밀착형 정책연구결과를 담아낼 예정입니다.


첨부파일
  • hwp 첨부파일 (보도자료) 종합병원·응급의료시설·소방서 접근이 어려운 의료취약지역에 그들이 살고 있다(국토연구원).hwp (0Byte / 다운로드 161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국토이슈리포트) 응급의료 취약지도로 본 농촌 VS 도시(국토연구원)(최종).pdf (0Byte / 다운로드 159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