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토정책 Brief) 공유 모빌리티를 활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방안 제안

  • 작성일2018-12-03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7,189

 국토정책 Brief (2018.12.03)

“공유 모빌리티를 활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방안 제안“
- 기존 운송업체와 공유 모빌리티의 상생(相生)을 모색 -


서울 주변도시에서 수도권 광역철도역으로의 접근성 개선을 위해 기존 교통수단의 대안으로 공유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수도권의 교통 혼잡완화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광역철도, 광역버스 같은 광역대중교통까지의 접근성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광역철도역까지의 접근성 개선을 위해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의 한계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공유 모빌리티 활성화가 관심을 끌고 있다.
   ※ 공유 모빌리티(shared-use mobility): 카셰어링, 공공자전거 등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공유 경제형 교통서비스를 지칭하며 일반적인 대중교통과 비교해보면, 운영 경로 및 스케줄이 유동적이며, 인건비, 시설투자비 등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됨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김광호 책임연구원은 주간 국토정책브리프를 통해 ‘공유 모빌리티를 활용한 수도권의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고양·파주 축, 의정부 축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 연구팀이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기존 교통수단은 수도권 광역철도역까지 접근하는데 버스로 접근하는 경우 긴 대기시간이, 승용차의 경우 주차공간 부족이, 자전거 이용에 있어 날씨의 영향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

  ○ 공유모빌리티의 경우 카셰어링은 편도서비스 부족이, 라이드셰어링은 동승자 매칭의 어려움이, 공공자전거는 출발지 근처의 스테이션 부족 등이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
   ※ 애로사항은 고양시 및 의정부시 행정구역내 거주하는 광역철도/광역버스 정류장 이용자(1,100명)를 대상으로 대면면접방식 설문조사 실시(2017년 9~10월)

김광호 박사는 수도권 광역통행에서 공유모빌리티를 통해 접근성을 개선하려면, 공유모빌리티 지선서비스 도입, 수도권 광역철도역 유형과 특성에 따라 공유모빌리티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공유모빌리티 지선서비스 도입은 광역철도역까지 버스 접근이 취약한 정류장들이 광역철도역 주변공간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있는 경우, 카셰어링이나 라이드셰어링과 같은 중·장거리형 수단을 활용, 시내버스나 마을버스의 운영을 보완하고,

   - 버스 접근통행이 대부분 단거리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공공자전거 등의 단거리형 수단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 또한 출퇴근 시 버스 접근성이 낮고, 택시도 잘 안 잡히는 광역철도역의 주변 지역은 개인 간 카셰어링을 출퇴근 시 제한적으로 도입하고, 카풀에 대한 주차요금 할인 등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 제공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공유모빌리티 시설확충을 위해 먼저 수도권 광역통행의 접근성 개선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서울 주변도시에 소재한 주요 광역철도역을 허브로 선정하고,

   - 접근성 분석을 통해 허브 유형을 ‘고밀도 광역’,‘저밀도 광역’등으로 구분하고, 유형별로 차별화된 시설투자를 추진하는 것이다.

  ○ 역세권 개발이 이미 많이 이루어진 고밀도 허브는, 환승빈도 등 광역통행의 특성을 고려하여 역의 유휴 공간에 카셰어링 스테이션 등을 확충하고,

   - 저밀도 허브의 경우, 광역교통 측면에서의 중요도에 따라 역세권 개발을 통해 공유 모빌리티 시설에 선제적인 투자, 민간 개발업체에게 공유 모빌리티 시설도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도 고려해 볼만하다.

김광호 박사는 정책제언으로 교통, 토지이용 등에 관한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수도권 광역통행에 대한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반영한 관련 계획수립, 기존 운송업체와 공유 모빌리티 업체 간의 상생방안을 강조했다.

  ○ 광역철도 운영기관은 교통수단간 환승할인을 지원하고, 광영철도 시설관리공단은 공유모빌리티 시설확충을 위한 유휴 공간 및 부지를 제공하며,

  ○ 지자체는 지선서비스의 취약지역을 파악,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공유 모빌리티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기존 운송업체와 공유 모빌리티 업체 간의 대립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첨부파일
  • hwp 첨부파일 (보도자료) 수도권 공유모빌리티 활용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hwp (0Byte / 다운로드 64회) 다운로드
  • pdf 첨부파일 공유 모빌리티를 활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방안.pdf (0Byte / 다운로드 415회)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