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노동시장의 공간적 미스매치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Spatial Mismatch in Local Labor Market and Policy Directives)표지

기본 지역노동시장의 공간적 미스매치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Spatial Mismatch in Local Labor Market and Policy Directives)

초록

- 구조적 미스매치 중 공간적 미스매치에 의한 실업은 국가 및 지역경기의 회복으로도 해소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제약으로 존재
- 2019년 기준 국내는 수요부족으로 인한 일자리 부족이 전체 구직자의 약 47.5%로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적 미스매치로 인한 제약이 약 8.8%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음
- 공간적 미스매치는 대도시의 중심 및 주변지역이 분화하는 과정에서 크게 나타나며, 특・광역시의 경우는 구직자의 비중이 크고, 광역도의 경우 구인기업의 비중이 커서 공간적으로 미스매치가 발생하는 양상이 나타남
- 일자리 매칭의 핵심적인 요소는 근무조건 못지않게 접근성, 생활편익시설, 주택 여건 등 정주여건에 대한 중요도가 높으며, 특히 광역적인 접근성 개선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남
- 지역노동시장권(Local Labor Market Areas)을 획정하는 경우 전체 공간적 미스매치는 개선되나, 직종 및 지역에 따라 공간적 미스매치 개선이 미흡하거나 심화되는 경우도 존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역노동시장, 실업관련 이론 및 정부 고용정책 검토
제3장 지역의 실업현황과 실업유형별 분석
제4장 구직-구인의 공간 불균등 분포 분석
제5장 지역노동시장권과 공간적 미스매치
제6장 지역노동시장의 일자리 매칭에 대한 인식조사
제7장 공간적 미스매치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제8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목록으로